'24년 총지출 규모 656.9 → 656.6조원(0.3조원 순감)…2024년 예산, 국회 의결

재정수지 +0.4조원, 국가채무 △0.4조원 개선 → 건전재정기조 견지
민생경제·취약계층 지원, 국민 안전 강화, R&D·새만금 보완 등 증액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3-12-22 10:00:01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국회는 21 본회의를 개의하여 2024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을 의결·확정했다.

 

정부는 어려운 재정 여건에서도 국가채무 증가가 최소화되도록 역대 최저 총지출 증가율(2.8%)로 정부 예산안을 편성하여 국회에 제출하였다. 국회 심사 과정에서도 정부 예산안에 대한 감액 내 증액조정 원칙에 따라 4.2조원 감액, +3.9조원 증액하여 총지출 규모를 656.9조원에서 656.6조원으로 0.3조원 축소하였다. 이에 따라 관리재정수지와 국가채무가 각 0.4조원 개선되어 건전재정 기조가 더욱 강화되었다. 


확정 예산에서는 재정건전성의 개선뿐만 아니라 서민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들이 증액 반영되었다.

 

먼저, 민생경제와 취약계층 지원사업이 크게 증액되었다. 정부는 정부안 편성시에도 사회복지분야 지출을 총지출 증가율(2.8%)3배 이상인 8.7%로 편성하는 등 사회적 약자 지원을 대폭 강화하였다. 특히, 기초수급자를 위한 생계급여 지원액을 지난 5년간(’18~’22)의 총 인상액인 월 196천원보다 더 큰 규모인 월 213천원 인상한 바 있다. 국회 심사시에도 민생을 최우선에 두고 당면한 어려움을 완화할 수 있는 사업을 우선 보강하였다.

 

우선, 소상공인의 금리부담 완화를 위해 취약차주에 대해 대출이자 일부를 감면하고(+3,000억원), 영세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전기요금 인상분의 일부를 한시 지원(+2,520억원)한다.

 

또한, 농어업인의 경영부담 경감을 위해 면세유 인상분(시설농가·어업인 6.8만명)과 농사용 전기료 인상분(양식어민 1.3만호) 일부를 한시지원(+171억원)하고, 원자재 공급망 불안에 따라 가격 상승이 우려되는 무기질 비료 구입비용의 일부를 한시적으로 지원한다.(+288억원)

 

청년의 주거부담 경감을 위해 ’23년 종료예정이던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20만원 × 최대1)1년 추가 지원(+690억원)하고, 지역에서 일경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청년에게는 체류지원비(20만원×3개월)를 신규 지급한다. 또한, 정부안에서 신설한 대중교통비 환급지원 사업(K-Pass)을 조기 시행(75)하고 환급요건도 완화된다.(2115회 이상)

 

장애인을 위해서는 장애인 연금 부가급여를 ’13년 이후 최초로 +1만원 인상(+269억원)하고,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출퇴근 비용 지원 한도도 월 5만원에서 7만원으로 인상하였다.

 

저소득 노인 대상 무릎 인공관절 수술비 지원 대상을 1천명 확대하고, 기초·차상위·한부모 양육가정에 대한 분유·기저귀 지원 단가도 월 1만원 인상 하였다.(분유: 89만원, 기저귀: 1011만원)

 

요양병원에 효과적인 간병지원을 하기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85억원)한다. 루게릭과 같은 희귀질환자 대상 요양전문병원이 품질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의료장비를 지원(+20억원)한다.

 

다음으로, 국민 안전을 위한 투자도 확대하였다. 정부안에서는 수해와 같은 대규모 재해·재난의 예방과 대응체계 고도화에 중점 투자했다면, 국회에서는 생활 속 범죄나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지키기 위한 사업을 증액했다.

 

전세사기 피해자를 위한 주택융자 공급 규모를 +1,800억원 확대하여, 기존 정부안에 반영된 피해주택 매입 지원(5천호)과 함께 대부분의 피해자가 매입 또는 융자를 통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수도권 교통 개선 대책의 일환으로 혼잡도가 높은 서울 4·7·9호선과 김포 골드라인에 전동차를 추가로 편성(서울 +8편성, 김포 +5편성)하고, 광역버스도 +91/일 증차한다.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지하철역 내 역주행 방지시설이 미설치된 에스컬레이터(1천여대)는 전량 개선한다.(+75억원)

 

한편, R&D(+0.6조원)와 새만금 관련 예산(+0.3조원)은 정부안의 편성 취지를 지키면서도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하여 필요한 부분을 보완했다.

 

R&D 분야는 고용불안 해소와 차세대·원천기술 연구 지원, 최신·고성능 연구장비 지원 등 연구 인프라 확충을 중심으로 보완하였고, 새만금 분야는 입주기업·민자유치 지원을 위한 사업을 위주로 증액하였다.

 

정부는 12.26() 국무회의에 2024년도 예산안의 국회 증액에 대한 2024년도 예산 배정계획안을 상정.의결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내년 1.1일 회계연도 개시와 동시에 집행에 돌입하여 민생 현장에서 실질적인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각 부처 및 지자체에 집행사전 준비 절차를 신속히 추진하도록 독려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나홍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