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지방세입 정보화추진단’ 출범
- 정부와 지자체별로 분산된 지방세정시스템 통합
클릭 한 번으로 세금신고와 납부, 상담까지 가능 - 김시우 기자 | khgeun20@daum.net | 입력 2019-09-10 16:15:03
![]() |
행안부는 10일 오후 2시 정부서울청사에서 진영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차세대지방세입정보화추진단(추진단)」 출범식을 열었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지난 7월 23일 1단 3과 총 44명으로 구성된 차세대지방세입정보화추진단 신설 내용을 담은 행정안전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및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을 공포한 바 있다.
추진단은 총괄기획과와 시스템개발과, 인프라구축과 등 3개과로 구성된다. ▲총괄기획과는 시스템 구축관련 제도 개선과 법령정비, 운영 관리 등 시스템 구축 총괄과 조정을, ▲시스템개발과는 시스템 구축과 부가서비스 개발, ▲인프라구축과는 인프라 설계와 통합운영관리체계수립, 지방세 관련 빅데이터 마련과 시행 등을 담당할 예정이다.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날 인사말을 통해 “차세대 시스템은 800여만명의 국민과 8만명의 세무공무원이 사용하는 지방세 및 세외수입 시스템으로 국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고, 지방 재정운영의 핵심기반이 되는 중요한 일”이라며 “3년 동안 2천억 원에 가까운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인 만큼 AI‧빅데이터 등 최신 IT기술을 적극 활용해 명품시스템으로 구축해 달라”고 당부 했다.
이어 “행정안전부, 전 지자체,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개발협의회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협의하는 것은 물론 2만 명 공무원이 시스템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자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시스템 구축과정에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오는 2022년까지 1,923억 원 규모의 예산을 들여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을 접목한 전국 통합 지방세정보시스템을 만든다는 내용의 차세대 지방세입정보시스템 구축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를 위해, 지자체에 흩어져 있는 노후화된 전산장비의 통합 관리와 납기말 장애 예방을 위해 중앙과 지자체를 연계하는 클라우드 기반시설을 구축하고, 세수예측, 첨단탈세 대응 등 빅데이터 기반의 지방세 정보 공동 활용을 위한 관리체계도 마련하게 된다.
행안부는 통합에 따른 변화로 ▲클릭 한 번으로 세금신고와 납부, 상담까지 가능하도록 세금 체제의 획기적인 개선 ▲지능형 업무체계 도입을 통한 세무공무원의 업무환경 개선 ▲중앙과 지방의 지방세 정책결정의 통합 ▲납기말 사용자 폭주에도 안정적 서비스 가능, 지역간 세정서비스 격차 해소 등 유연하고 안정적인 지방세 서비스 제공 등을 꼽고 있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