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금주 중부세무사회장, ‘일자리 안정자금’홍보 발 벗고 나서

안홍기 중부청 성실납세지원국장 초청 ‘일자리 안정자금’ 설명회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18-01-18 08:09:00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사진(왼쪽부터 박종렬 홍보이사, 허창식 총무이사, 송상봉 업무정화위원장, 김명진 부회장, 이금주 회장, 안홍기 성실납세국장, 윤경필 개인납세2과장, 김승렬 부회장, 김시정 조사관, 김성주 업무이사

 

중부지방세무사회 이금주 회장은 중부지방국세청 안홍기 성실납세지원국장을 초청하여 1월 16일 중부지방세무사회 5층 회의실에서 중부지방세무사회 상임이사회 구성원인 임원을 대상으로 “일자리 안정자금”에 대해 설명회를 가졌다.

 

 
중부지방국세청 안홍기 국장은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은 문재인 정부의 역점 추진 사업으로 소득주도 성장이 안착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정책의 하나로 2018년도 한시적으로 시행되는 제도로 많은 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세무사님들께서 적극 홍보해 달라“고 부탁했다.


이에 중부지방세무사회 이금주 회장은 “바쁘신 와중에 중부지방세무사회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드리며, 일자리 안정자금에 대해 잘 숙지하여 회원들에게 홍보하고 관련 업체에 전달하여 한분도 빠짐없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개인납세2과 윤경필 과장은 ‘일자리 안정자금’에 대해 ‘지원요건, 신청 절차, 사후관리’등에 대해 설명했다.


“일자리 안정자금은 중소·영세기업의 최저임금 인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30인 미만 사업장에 근로자 1인당 월 최대 13만원의 정부 보조금이 지급된다. 해고 가능성이 큰 아파트 경비·청소원은 소속 사업장이 30인 이상이어도 지원 대상에 포함했다.”고 말했다.


또, “2018년 1년에 한해서만 고용보험에 가입한 30인 미만 사업장을 대상으로 근로자 1인당 월 최대 13만원까지 시간당 최저 임금(7천530원) 부족분을 지원하고 지원대상은 안정자금 신청일 기준으로 1개월 이상 근무 중인 월 보수액 최저임금 157만원 이상, 190만원 미만인 근로자 등이다. 다만, 고용보험에 가입돼 있어야 하고, 과세소득(개인은 소득금액, 법인 단기순이익 기준) 5억 원 초과 고소득 사업자, 임금체불 명단공개 사업주, 국가 및 공공기관 등의 지원을 받는 사업주는 제외된다“ 고 설명했다.

“신규가입 촉진을 위해 사업주와 근로자의 보험료 부담을 줄이는 방안으로 10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 월 보수액이 190만원 미만이면 고용보험과 국민연금 보험료 (신규 가입자는 5인 미만 업체는 각 90%, 5∼10인 미만 사업체는 각 80%, 기존 가입자는 각 40% 까지)를 지원받을 수 있다.” 고 말했다.


또한, 일자리 안정자금, 사회 보험료 경감, 카드 수수료 인하, 음식점 부가세 감면, 상가임대료 인하 등 영세업체 부담 경감을 위해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자리 안정자금 설명회 장면

 

이에 중부회 박종렬 홍보이사는 “일자리 안정자금은 사업자에게 지급하는 건데 근로자에게 임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인식이 되어있는 사람도 있고, 최저 임금 신입 근로자로 인해 기존 근로자까지 임금을 인상해 달라고 해 사무소 운영하는 데 난처하다.“고 토로했다.

 


또, 허창식 총무이사는 ”세무사에게는 체크리스트를 체크하며 일처리를 하려면 또 하나의 업무가 증가되는 것이다”라며 사무소의 경영상 애로사항을 전달하였다.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 신청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4대 사회보험공단(근로복지공단, 건강보험공단, 국민연금공단) 지사나 고용노동부 고용센터, 일자리 안정자금 홈페이지 등을 통해 할 수 있다. 방문이나 우편, 팩스 접수도 가능하다.


이날 설명회에는 중부지방세무사회 이금주 회장을 비롯하여 김승렬·김명진 부회장, 허창식 총무이사, 김성주 업무이사, 박종렬 홍보이사, 송상봉 업무정화조사위원장이 참석하였으며, 중부지방국세청에서는 안홍기 성실납세지원국장, 윤경필 개인납세2과장, 김시정 조사관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나홍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