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중고차 수출 신고 제도, 본격시행 앞서 시범운영

보세구역 반입 후 수출신고 제도 시범 운영 실시 및 업계 대표 간담회 개최
김영호 기자 | kyh3628@hanmail.net | 입력 2017-02-17 18:30:36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관세청은 국민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도난차의 밀수출을 막기 위해 컨테이너에 적재 수출하는 중고차는 보세구역에 반입 후 수출신고하게 됨에 따라 6일부터 참여 희망 업체를 대상으로 시범운영하고 있다.

 


관세청은 시범 운영결과 나타난 문제점을 개선해, 관세법 시행령 개정안이 공표되는 3월 중으로 이 제도를 본격 시행할 예정이다. 시범 운영은 중고자동차가 주로 수출되는 인천과 부산 지역에서 참여를 희망한 6개 업체를 대상으로 진행 중이며, 시범 운영 기간 중에도 희망하는 업체는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다.

관세청은 원활한 제도 시행을 위해 17일 인천세관 회의실에서 중고차 수출업체, 중고차수출조합, 포워더, 보세구역, 관세사 등 12개 관련 업계 대표들이 참여하는 간담회를 개최한다.


간담회에서 김윤식 통관기획과장은 제도의 취지와 수출신고 절차를 설명하고, 업계의 협조를 당부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관세청은 올해 1월부터 중고차 수출 신고 시 추가적으로 첨부해야하는 서류(말소증 등)를 세관 방문 없이 전자적으로 제출할 수 있게 하고, 국토부와 전산으로 수출이행 내역을 공유해 수출업체가 24만대(’16년 기준)에 달하는 중고자동차를 일일이 수출이행 신고해야 하는 부담을 해소하는 등 보세구역 반입 후 신고 제도가 원활히 정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바 있다. 현행 자동차관리법상 중고차를 수출하는 경우 말소 등록 후 수출이행 여부를 9개월 이내에 관할 시·도지사에게 신고해야 하고, 미이행 시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시범운영에 참여 중인 수출업체 관계자는 “처음에는 새 제도에 따라 일부 업무 관행을 바꾸어야 하지만, 이번 제도를 통해 불법적인 영업을 하는 업체들이 자연스럽게 시장에서 퇴출돼 중고차 수출 업계 전체의 경쟁력이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관세청은 앞으로도 성실 수출업체에 대해서는 신속한 통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지속하되, 간소화된 통관 절차를 악용한 불법수출에 대해서는 관리를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김영호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