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남방국가 원산지 사후검증 요청 대폭 감소

지난해 한-아세안‘직접운송 인정 서류’합의 이후 큰 효과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0-02-17 10:26:31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18405건이었던 신남방국가로부터 원산지 사후검증 요청이 지난해 57건으로 86%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도네시아로부터 받은 요청은 `18374건에서 지난해 19건으로 95%나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검증요청 대상 업체수’18380’1949(전년대비 87% 감소)

 

 

17일 관세청에 따르면 원산지 사후검증은 회신 결과에 따라 요건 불충족 시 처벌이나 추징 등 행정상 불이익을 받을 수 있기에 검증 요청이 줄어든 것은 수출기업들이 FTA 등 체약국과의 특혜관세 혜택을 그만큼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게 된 것을 의미한다.

원산지 사후검증이란?

 

FTA 체약상대국의 관세당국이 우리기업이 수출한 물품에 대해 원산지증명서의 진위 여부, 원산지결정기준 충족 여부 등을 우리나라 관세청에 확인을 요청하는 것

 

이 같은 변화는 지난해 2월 서울에서 개최된 한-아세안 FTA 이행위원회에서 직접운송 인정서류를 폭넓게 인정하기로 합의한데 상당히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이행위 합의 전에는 직접운송 관련 증빙서류의 미비가 사후검증 요청 사유의 대부분인 53%를 차지하였으나, 합의 후에는 3%로 대폭 감소했다.

 

관세청은 아세안을 포함해 FTA 사후검증 요청이 많은 EU, 미국, 터키 등과 거래중인 수출기업의 검증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간담회를 개최하여 최신 검증 동향, 검증사례, 대응전략 등 맞춤형 컨설팅으로 수출기업들을 돕고 있다.

 

나아가 관세청은 우리 수출기업이 해외에서 안정적으로 FTA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수출물품에 대한 원산지 사전확인 등으로도 수출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원산지 사전확인은 체약상대국의 원산지 검증 요청에 대비하여 우리기업이 수출하는 물품이 FTA 협정문 등 기준에 따라 한국산이 맞는지를 미리 확인해 주는 제도다.

 

앞으로도 관세청은 양자.다자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체약상대국 간 원산지검증 관련 통상마찰을 해소해 나가는 동시에, 지난 21일 인도네시아와 원산지 정보교환(EODES) 시행에 이어 신남방국가 중 우리와 교역이 많은 베트남, 인도 등과도 이를 확대하여 우리 수출기업이 FTA 특혜를 온전히 향유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원산지정보교환시스템(Electronic Origin Data Exchange System)?

 

원산지증명서(C/O) 정보를 해외 세관과 실시간 전자적으로 교환하여 원산지증명서 종이서류를 제출하지 않고도 FTA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는 시스템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나홍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