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인회계사회, 「CPA BSI」 Vol.6 발간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0-05-25 12:29:19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공인회계사들은 COVID-19로 인한 경제 부진 상황을 매우 심각하게 평가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 기간산업이자 수출 주력산업인 석유화학, 자동차, 철강, 조선 산업의 부진을 매우 심각하게 평가하고 있음. 경제 위기 상황을 타개하고 경기활력 제고를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정책 확대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한국공인회계사회(회장 최중경)는 우리나라 경제와 산업에 대한 공인회계사의 분석과 전망을 다룬 CPA BSIVol.6을 발간했다고 25일 밝혔다. 20186월 창간호 발간 이래 다섯 차례에 걸쳐 발표된 CPA BSI(공인회계사가 본 경기실사지수)는 선제적으로 경기를 예측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공인회계사들이 기업현장에 가장 가까이 자리하고 있는 산업전문가이자 경제실무전문가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공인회계사회는 정부와 기업, 국민들의 경기 예측 정확도를 더욱 높일 목적으로 Vol.5(20202월 발간)부터 CPA BSI 경기지수를 分期마다 발표하고 있다.<20202월말, 5월말, 8월말, 11월말 발간 예정>

 

이번호는 COVID-19 Impact가 확대되는 경제위기상황에 대한 극복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제언 (유일호 경제부총리·기획재정부장관), 회계분야에서 인공지능의 역할 (한인구 KAIST 경영대학 교수 한국공인회계사회 산업·경제부회장)을 다룬 특별기고와 함께 20186CPA BSI창간호 발간 이래 지난 2년 동안의 발간 흐름을 짚어 본 한국공인회계사회 최중경 회장의 발간 所懷를 게재했다.

 

우리나라 경제전반에 대한 BSI 설문조사 결과, 20202분기 현황 평가 30, 20203분기 전망치는 37로 나타났다. , 공인회계사들은 COVID-19로 인한 경제 부진 상황을 매우 심각하게 평가하고 있다.

구분

창간호(Vol.1)

Vol2

Vol.3

Vol.4

Vol.5

Vol.6

현황

89 (2018년 상반기)

64 (2018년 하반기)

61 (2019년 상반기)

58 (2019년 하반기)

62 (20201분기)

30 (20202분기)

전망

82 (2018년 하반기)

69 (2019년 상반기)

64 (2019년 하반기)

63 (2020년 상반기)

70 (20202분기)

37 (20203분기)

 

 

경기가 악화된다고 응답한 비율(20202분기 74%, 20203분기 67%)이 호전된다고 응답한 비율(20202분기 4%, 20203분기 5%)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20202분기와 3분기 공히 경기 악화가 지속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경기 부진의 주요 요인으로 COVID- 19로 인한 외부환경 불확실성, 수출 부진, 내수 침체를 꼽았다. 주목할 점은 COVID-19 Impact 요인이 수출과 내수 등 다른 요인에 비해 경기 판단 압도적인 선택을 받았다는 것이다. COVID-19로 인한 경영환경 불확실성을 경기 판단의 최우선 요인으로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수출과 내수는 Vol.5에 이어 이번호에서도 경기 판단의 주요 요인으로 선정되었다. COVID-19 확산으로 인한 각국의 문걸어 잠그기영향으로 세계교역이 급감하면서 수출이 크게 감소하였다. 對外 경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수출 감소로 인한 피해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하여 민간 소비가 얼어붙으면서 내수도 경기 부진의 주요 요인으로 선정되었다.

 

2020년 우리나라 경제에 영향을 미칠 주요 세부 요인으로는 1) COVID-19 Impact로 인한 세계경기 둔화, 세계교역 위축 및 금융시장 불안정, 2) 소비심리 개선 여부, 3)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 4) 기업의 투자심리 개선 여부 순으로 응답했다.

 

응답자들은 COVID-19 Impact로 인한 외부환경 불확실성 확대와 수출 부진, 소비심리 악화에 따른 내수 위축이 우리나라 경제 부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랬다. 이는 COVID-19로 인한 외부환경 불확실성, 수출, 내수 등을 경기 부진 주요 원인으로 꼽은 것과 일맥상통하다고 볼 수 있다.

 

경제가 호전될 것으로 전망하는 응답자는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을 주요 요인 중의 하나로 꼽고 있다. COVID-19의 여파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 정책이 매우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주요 산업의 BSI를 분석한 결과, 제약·바이오, 식음료, 유통 산업 등을 제외한 산업이 COVID-19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우리나라 수출 주력산업이자 기간산업인 석유화학, 자동차, 철강, 조선, 정유 산업의 부진을 매우 심각하게 평가하고 있다.

 

이번호 심층 분석 대상 산업인 석유화학 산업 BSI를 분석한 결과, 20202분기 28, 20203분기 41, 부정적 평가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악화 판단의 주요 원인으로는 COVID-19로 인한 외부환경 불확실성과 이로 인해 파생된 油價를 포함한 원·부자재 가격 변동성을 선택하였다. COVID 19가 석유화학 산업에도 직격탄을 날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석유화학 산업의 위험요인으로는 유가 변동 불확실성 확대와 COVID-19 Impact로 인한 세계경기 둔화, 세계교역 위축 등에 따른 석유화학 제품 수요 둔화 등을 꼽았으며, 성공 요인으로는 범용 화학제품에서 기능성 화학제품 등 고부가 첨단화학으로의 사업포트폴리오 재편을 지목했다.

 

우리나라 핵심 기간산업이자 수출주력산업인 석유화학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에 대해서는 제품 개발과 제품포트폴리오 다각화에 대한 지원을 압도적으로 꼽고 있다.
 

한국공인회계사회 관계자는 CPA BSI발간은 공인회계사가 가진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집단자산화하여 사회공헌차원에서 우리 사회와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라고 말했다.

 

한편 CPA BSI 내용은 한국공인회계사회 홈페이지(www.kicpa.or.kr) 내의 CPA BSI 포털에 실려 있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나홍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