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중견 제품', 지난해 면세시장에서 함박웃음

김영호 기자 | kyh3628@hanmail.net | 입력 2017-01-26 12:29:33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관세청은 지난 해 전반적인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면세점 총매출은 12조 2,757억 원으로 전년대비 33.5% 증가하였고, 국산품 매출액은 4조 8,718억 원으로 전년대비 43.1% 증가하였다고 발표했다.


국산품 중 중소중견제품 매출액은 1조 7,062억 원으로 전년 대비 44.6% 증가하여 면세점 전체 매출액 증가율 33.5%를 상회한 것으로 분석됐다.

 

< 중소중견제품 매출액 추이 >

(단위: 억 원, %)

 

’15

’16

증감률

면세점 전체 매출액

91,984

122,757

33.5

면세점 국산품 매출액

34,037

48,717

43.1

중소중견제품 매출액

11,802

17,062

44.6

 

 

또한, 전체 국산품 매출액의 35%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 ‘16년도 면세점 매출액 >

(단위: 억 원, %)

합계

외국물품

국산품

소계

대기업 제품

 

중소중견 제품

 

비중

비중

122,757

74,040

48,717

31,655

65.0

17,062

35.0

 

 

 

지난해 면세점에서 많이 팔린 국산품은 화장품·가방류·인(홍)삼류 순이었고, 대기업제품은 인(홍)삼류(6.8%)·가방류(5.7%) 순, 중소중견제품은 가방류(13.7%)·식품류(7.1%) 순이었다.


화장품은 대·중소기업 제품을 불문하고 가장 많이 판매(중소중견제품 매출액의 52.8%, 대기업제품 매출액의 83%)되었는데, 면세점 판매 대기업 제품이 화장품류에 집중된데 반해, 중소중견제품에서는 가방류도 비교적 높은 판매비중(13.7%)을 보였다.

 

< 품목별 국산품 매출액 및 비중 >

(단위: 억 원, %)

 

화장품

가방류

인홍삼류

담배

식품류

귀금속류

전자제품류

기타

중소중견 제품

금액

9,003

2,331

725

651

1,203

894

609

1,646

비중

52.8

13.7

4.2

3.8

7.1

5.2

3.6

9.6

대기업 제품

금액

26,283

1,801

2,148

861

177

49

103

234

비중

83.0

5.7

6.8

2.7

0.6

0.2

0.3

0.7

 

 

 

면세점은 중소중견 제품이 글로벌 시장으로 나가는 전초기지 역할을 하는데 지난해 중소중견 면세점이 중소중견 제품 판매에 있어서는 대기업 면세점보다 매출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면세점이 중소중견제품 판매를 통해 31.9%의 매출을 얻은데 반해, 중소중견 면세점은 46.4%의 매출을 중소중견 제품 판매로 얻었다.

 

< 기업 규모별 국산품 판매 현황 >

(단위: 억 원, %)

 

대기업 제품

중소중견 제품

대기업 면세점

29,245

(68.1)

1,3706

(31.9)

중소중견 면세점

2,110

(53.6)

1,824

(46.4)

 

 

 

특히, 공항‧항만의 출국장 면세점의 경우 중소중견 면세점 매출의 67.7%가 중소중견제품 판매로부터 발생한데 비해, 대기업 면세점은 매출의 38.1%만 중소중견제품이 차지했다.

 

< 면세점 유형별 국산품 판매 현황 >

(단위: 억 원, %)

 

대기업 제품

중소중견 제품

합계

시내

대기업면세점

25,432

(69.1)

11,364

(30.9)

36,796

중소중견 면세점

1,664

(65.2)

889

(34.8)

2,553

출국장

대기업 면세점

3,813

(61.9)

2,342

(38.1)

6,155

중소중견 면세점

446

(32.3)

935

(67.7)

1,381

 

 

 

한편, 중소중견 면세점의 매출액은 9,530억 원으로 전년대비 67.5% 증가하였으나, 면세점 전체 매출액의 7.8%에 그쳤다.

 

< 기업구분별 면세점 매출액 추이 >

(단위: 억 원, %)

 

‘15

‘16

증감률

면세점 전체 매출액

91,984

122,757

33.5

대기업 면세점 매출액

80,297

107,802

34.3

중소중견 면세점 매출액

5,690

9,530

67.5

 

 

 

중소중견 면세점이 면세시장에서 점차 매장 수(29개, 59.2%)와 매장 면적(48,167㎡, 22.5%)을 늘려가고 있지만, 매출규모는 여전히 대기업 면세점에 비해 미미한 수준으로 중소중견 면세점의 상품 소싱 네트워크, 물적·인적자원, 면세점 운영경험 등이 대기업 면세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데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 기업구분별 면세점 특허 수.면적 및 매출 현황 >

 

특허수

특허면적()

매출액(억 원)

대기업

17

(34.7)

170,606

(74.7)

107,802

(87.8)

중소중견

29

(59.2)

48,167

(22.5)

9,530

(7.8)

공기업

3

(6.1)

6,045

(2.8)

5,426

(4.4)

합 계

49

 

218,773

 

122,757

 

 

 

 

 

그동안 관세청은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 간 상생협력과 동반성장을 목표로 중소중견기업의 면세시장 참여 및 중소중견제품 판매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왔으며, 종전 상품공급 지원에 중점을 두었던 대기업 면세점의 중소중견 면세점지원 범위를 경영전반으로 확대*하여 중소중견 면세점의 수익성 개선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관세청은 앞으로도 정부기관·면세점업계의 이해와 협력을 바탕으로 면세시장에서 중소중견 면세점의 안정적 정착 및 중소중견제품의 지속가능한 판매 확대를 위해 관심과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김영호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