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조8천억 추경 국회 통과…日대응 2천732억 포함
-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19-08-03 08:29:47
![]() |
국회는 2일 본회의를 열어 5조8천269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을 통과시켰다.
또 일본 정부의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 한국 제외 등 보복적 수출규제 조치 철회를 촉구하는 결의안과 중국·러시아 군용기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무단 진입을 규탄하는 결의안을 잇따라 채택했다.
여야는 일본 경제보복에 대응하기 위해 연구·개발(R&D) 예산 2천732억원을 증액했다.
주요 R&D 예산을 보면 반도체장비 부품소재 테스트베드 구축(115억원)·소재융합혁신 기술개발(31억5천만원)·소재부품산업 기술개발기반 구축(400억원)·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320억원)·소재부품 기술개발(650억원)·반도체 디스플레이 성능평가지원(350억원) 등이다.
증감 규모 및 재정총량
미세먼지 등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지키고 선제적 경기대응을 통해 민생경제를 지원하기 위한 2019년 추경예산안이 8월 2일(금)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국회심의 과정에서 정부안 대비 △13,876억원이 감액되고 +5,308억원이 증액되어 추경규모는 △8,568억원이 순감되었고, 재정수지는 정부안보다 소폭 개선됐다.
< 재정 총량표 >
(조원, %)
| ’18년 결산 | ‘19년 본예산 | ‘19년 추경 | 증감 (B-A) | |
정부안(A) | 확정(B) | ||||
◇ 총 수 입 | 465.3 | 476.1 | 476.4 | 476.4 | - |
(증가율) | (8.1) | (6.5) | (6.5) | (6.5) | - |
◇ 총 지 출 | 434.1 | 469.6 | 476.3 | 475.4 | △0.9 |
(증가율) | (6.8) | (9.5) | (11.1) | (10.9) | (△0.2) |
▪관리재정수지 | △10.6 | △37.6 | △42.6 | △42.3 | 0.3 |
(GDP대비, %) | (△0.6) | (△1.9) | (△2.2) | (△2.2) | (△0.01) |
▪국가채무* | 680.7 | 740.8 | 731.8 | 731.5 | △0.3 |
(GDP대비, %) | (36.0) | (37.1) | (37.2) | (37.2) | - |
* GDP 신계열 기준
주요 증액 내역은 다음과 같다.
(일본 수출규제 대응) 해외의존도가 높은 부품‧소재의 쟁력 강화를 위해 R&D, 실증, 사업화, 양산 지원 등
+2,732억원 증액
ㅇ 대일의존 핵심품목 중심으로 기술개발 조기 추진(+957억원)
* 소재부품기술개발(+650억원),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217억원) 등
ㅇ 기술은 旣 확보하였으나, 신뢰성이 낮아 상용화 되지 못한
품목의 성능평가 지원 및 테스트장비 구축(+1,275억원)
*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400억원), 반도체디스플레이 성능평가(+350억원) 등
ㅇ 부품.소재 양산 가능 기업의 국내 생산능력 확충을
위한 자금 지원(+500억원)
* 창업기업자금 융자(+200억원), 신성장기반자금 융자(+300억원)
ㅇ 이와 함께,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추가소요를 목적예비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예산총칙에 지원근거 마련
□ (재난지역 지원) 피해 주민의 주거안정, 소상공인의 경영정상화 및 지역경제 활력 제고를 위해 +945억원 증액 지원
ㅇ (강원산불) 경영상 어려움에 처한 소상공인의 조속한 재기
지원, 피해주민의 창고.축사 등에 대한 철거비용 일부 지원 등 지역주민 지원 강화(+385억원)
ㅇ (포항지진) 지진 피해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한 공공임대
주택 건립(350호) 지원(+333억원)
- 현지 산단에 입주하는 기업에 저가 부지 제공을 위한
임대산단 조성을 신규 지원(+168억원)하고, 영일만항 국제여객터미널 건설 지원으로 지역경제 활력 제고(+10억원)
□ (국민안전 등)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수돗물 문제 대응, 불법 방치 폐기물 처리 등 안전투자 추가 보강
ㅇ 어린이와 학생들이 학교ㆍ유치원ㆍ어린이집에서 걱정 없이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정수기 설치, 필터 교체 등 지원(+278억원)
ㅇ 전국 노후 상수관로의 누수와 오염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정밀조사 실시(+100억원)
- 내년 이후 계획되어 있던 市.郡 지역의 노후 상수도
개량을 앞당겨 금년부터 조기 착수(+827억원)
ㅇ 불법 방치폐기물 처리 물량을 대폭 확대(42→58만톤)하여
악취 및 수질오염 등으로부터 주민건강 보호(+123억원)
ㅇ 다중이용시설인 지하역사에 공기질 개선장치 추가 설치(+224대) 지원(+239억원)
향후 계획 |
□ 추경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다음날인 8월 3일(토) 오전 10시(예정)에 임시 국무회의를 소집하여 추경예산 공고안 및 배정계획안을 상정.의결
ㅇ 추경예산이 당초 의도했던 효과를 최대한 달성할 수 있도록 관련 행정절차와 사업 집행절차 조속히 진행시킬 계획
ㅇ 2개월 내 예산의 70% 이상이 집행되도록 추경예산을 전액 3/4분기에 배정하고, 자금도 사업 진도에 맞춰 신속히 배정
□ 이와 함께, 추경사업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체계를 즉시 가동하고,
ㅇ 매월 재정관리점검회의(기재부 2차관 주재)를 개최하여 현장 실집행상황을 지속 점검할 계획
[ 첨부 ] 분야별 재원배분 변동 내역
구 분 | | ’19년 본예산 | | ’19년 추경 | |
| |||||
정부안 | 확정 | ||||
| | | | | |
◇ 총 지 출 | | 469.6 | | 476.3 | 475.4 |
| |
| |
|
|
1. 보건.복지.노동 | | 161.0 | | 163.2 | 162.6 |
| |
| |
|
|
2. 교 육 | | 70.6 | | 70.8 | 70.7 |
| |
| |
| |
3. 문화.체육.관광 | | 7.2 | | 7.3 | 7.3 |
| |
| |
|
|
4. 환 경 | | 7.4 | | 8.6 | 8.6 |
| |
| |
|
|
5. R&D | | 20.5 | | 20.6 | 20.9 |
| |
| |
|
|
6. 산업.중소기업.에너지 | | 18.8 | | 20.6 | 20.5 |
| |
| |
|
|
7. SOC | | 19.8 | | 20.5 | 20.4 |
| |
| |
|
|
8. 농림.수산.식품 | | 20.0 | | 20.3 | 20.3 |
| |
| |
|
|
9. 국 방 | | 46.7 | | 46.7 | 46.7 |
| |
| |
|
|
10. 외교.통일 | | 5.1 | | 5.1 | 5.1 |
| |
| |
|
|
11. 공공질서.안전 | | 20.1 | | 20.2 | 20.2 |
| | | | | |
12. 일반공공행정 | | 76.6 | | 76.7 | 76.7 |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