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일감 몰아주기 증여세 1천542억원

2017년 대비 신고액 2.3배 증가…대기업 1,322억원, 전체 신고액의 86% 차지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2-09-19 09:40:08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지난해 기업들의 일감 몰아주기증여세 신고액이 154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주영 의원(사진-더불어민주당, 김포시갑)19일 국세청이 제출한 최근 5년 일감 몰아주기 증여세 신고실적을 확인한 결과 지난해 1,490명이 증여세 1542억원을 신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7년 대비 2.3배에 달하는 규모다.

 

법인 규모별 신고액을 살펴보면, 대기업 신고 인원은 137명으로 제일 적었으나, 신고액은 1322억원으로, 전체 신고액의 86%를 차지했다. 일반법인은 30억원, 중견기업 121억원, 중소기업 69억원 순이다.

 

전체 세액은 2017681억원에서 2018175억원과 20191,968억원으로 급등했으며, 20201,885억원으로 다소 줄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일감 몰아주기 과세는 세금 없이 부를 이전하는 변칙적 증여를 방지하기 위해 2012년 도입됐다. 특수관계법인이 일감을 몰아주어 일감을 받은 수혜법인의 주주가 얻은 이익에 대해 세금을 물린다. 수혜법인에 대한 주식보유비율이 3%(중소·중견기업은 10%)를 초과하는 지배주주와 그 친족이 과세대상이 된다.

 

일감 몰아주기를 통한 편법 증여 행위는 일반적으로 법인세 탈루 또는 주식 명의신탁 등과 연계되어 과세된다.

 

지난해 일감 몰아주기 증여세를 납부한 기업은 1,225곳이었다. 기업 유형별로는 중소기업이 638(52.0%)으로 가장 많았고, 중견기업 288(23.5%), 대기업 집단 219(17.8%), 일반법인 80(6.5%) 순이다.

 

대기업 진단의 세액은 2017년과 2018년 각각 388억원과 552억원에서 20191594억원으로 껑충 뛰었으며, 20201548억원, 지난해 1,322억원을 차지했다.

 

김주영 의원은 정몽구 현대차 명예회장이 2020년 낸 일감 몰아주기 증여세만 947억원이라며 불공정한 부의 대물림이 여전히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재벌 대기업들의 반복되는 회사 재산을 이용한 부와 경영권 편법 세습이 근절되지 않는 상황에서 윤석열 정부는 일감 몰아주기 과세 제도 합리화라는 명분으로 대기업 집단의 증여세를 줄여주려 한다공정사회 실현과 불공정한 부의 대물림 차단을 위해 일감 몰아주기 과세는 유지돼야 한다고 비판했다.

 

[최근 5년 일감몰아주기 증여세 신고실적]

 

(, , 억원)

구 분

2017

2018

법인수

인원

세액

법인수

인원

세액

합계

1,592

2,136

681

1,276

1,530

1,075

상호출자

124

95

388

92

65

552

일반법인

474

825

129

240

322

347

중견기업

236

204

94

291

270

123

중소기업

758

1,012

70

653

873

53

구 분

2019

2020

2021(’20년 귀속)

법인수

인원

세액

법인수

인원

세액

법인수

인원

세액

1,294

1,520

1,968

1,226

1,485

1,885

1,225

1,490

1,542

상호출자

231

142

1,594

224

152

1,548

219

137

1,322

일반법인

129

186

142

99

137

118

80

127

30

중견기업

316

330

169

301

292

139

288

286

121

중소기업

618

862

63

602

904

80

638

940

69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나홍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