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대훈 대표의 글로벌 창업
- 알렉산드라아의 작은 카페에서…
- 서정현 | suh310@joseplus.com | 입력 2017-05-19 09:10:58
![]() |
케냐커피농장에서 |
오랜 시간, 학창 시절부터 사진집을 보면서 얻은 것은 훌륭한 작품이 안내하는 것은 첨단의 촬영기술이 아니라 사진을 통해 세상을 보는 관점이다. 알렉산드리아에서 카메라를 들고 휴일을 맞이한다. 발걸음은 이리저리 흘러가고 있다. 그러다 알렉산드리아의 거리 한복판에 문득 나는 나의 시선을 고민하게 된다. 나는 동양인이다. 그리고 한국인이다.
그런데 우리는 동양의 시선을 가진 것일까? 한국 사람들의 상당수는 정치체계, 의식구조, 라이프 스타일로 볼 때 동양이라기보다 서양의 사고방식에 더 가깝다. 특히나 외국에서의 한국인은 더욱 그러하다. 이곳 이슬람권에서도 마찬가지다. 한국인은 혹은 한국은 서양의 프레임 속에서 아시아와 이슬람권을 보고 있다. 이런 모습은 자신의 몸을 틀어 고개를 돌리는 것과 같다.
![]() |
▲ 수출용 컨테이너 앞에서 |
나의 이십 대는 베이징의 자금성에 있었고 이어 모스코바의 크레믈린까지 가는데 이십 년이 걸렸다. 하지만 여전히 평양은 금단이고 내 발걸음이 가지 못하는 곳도 세계 곳곳 여전하다. 물론 다 돌아볼 수는 없다. 그것이 가능하면 좋겠지만…. 하지만 진실의 통로로 들어서려면 사실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보는 것이다.
서방, 그 속에서도 미국의 시각은 무슬림을 '악의 축'으로 몰았다. 많은 할리우드 영화들이 이것을 생산하고 확대한다. 의식도 공장의 제품처럼 찍어낼 수 있다. 이것은 마케팅이다. 마케팅은 콜라를 보약처럼 마시게 할 수도 있다. 당신의 머릿속에 그려진 알렉산드리아는 어떤가?
![]() |
▲소호무역 창업프로그램 행사 |
이천 년 이상, 수많은 세계인들에게 노출됐고 평생 이곳에 오지 못하는 사람도 여기의 이름은 한번쯤 들어봤다. 브랜드 파워는 노출의 빈도에서 결정이 된다. 본질이 변해도 노출이 심하면, 본질은 계속 남아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와서 보면 알겠지만 이 도시에는 알렉산더 시대의 것들은 없다. 모래에 묻혀 되살아난 스핑그스 같은 것을 제외하고는 해변에 그것도 평지에 천년도 더 된 유물이 온전할 리가 없다.
![]() |
▲강대훈 화동무역 대표이사 |
명작이 탄생할 수도 있겠지만, 명작을 만드는 것은 그것을 보고 판단하고, 찰나의 순간을 알아차리는 사람이 만들어내는 것이다. 마케팅, 당신에게는 어떤 의미인가? 살면서 당신이 마케팅의 테크닉에 끌려 무언가를 사는 것은 몇 번이나 됐는가?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