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사태’ 극복하고 정치·경제위기 돌파할 길 찾아야
- 편집국 | news@joseplus.com | 입력 2016-11-03 11:51:17
![]() |
▲류동길 숭실대 명예교수 남해포럼 공동대표 중소기업대학원장 경제학교육위원회 위원장 |
국민의 분노는 하늘을 찌르고 있고 경제는 동력을 잃고 있는데다 경제사령탑은 마비돼있다. 각계의 시국선언이 뒤따르고 대통령 하야와 탄핵까지 요구하는 상황에서 대통령의 영(令)이 서지 않는데 박근혜 정부에 더 이상 기댈 것이 없어졌다. 난파선에 선장이 안 보이면 비극적 결과를 초래한다.
분개하기는 쉽다. 대통령 물러가라는 이야기를 못할 까닭도 없다. 하지만 정권은 유한해도 대한민국이 무너져서는 안 된다. 이런 때일수록 안보를 챙기고 경제추락을 막아야한다. 그러나 정치권은 이런 걸 걱정하지 않는다. 대통령의 직위 자체는 공백이 돼서는 안 되는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을 옹호하자는 이야기가 아니다.
이런 판국에 여당은 계파싸움 하는 모양새고 야당의 목소리도 그때그때 다르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비롯한 야당 대선주자들은 일제히 거국중립내각 구성을 촉구했다가 새누리당이 이에 동조하고 나서자 얘기가 달라졌다. 거국내각을 제의했던 자들이 거국내각은 ‘꼼수’라고도 하고 또 다른 편에서는 대통령이 탈당하고 거국내각을 구성하라고도 했다. 솔직히 말해 거국중립내각을 구성한다해서 정쟁이 없어질까.
거국내각은 말로만 제기됐을 뿐 그 구성과 대통령과의 관계에 대한 구체적 합의도 없었다. 그러다가 김병준 새총리 내정을 두고 야권은 강력 반발한다. 야당과 협의가 없었다는 게 표면적인 이유지만 그 속내는 복잡하다. 이제 다시 대통령 탄핵과 하야를 본격적으로 입에 올리기 시작했다. 그러면서도 대안은 없다. 대통령이 하야하는 경우 어떤 상황이 전개될까. 상상하기 겁난다. 헌법이 정한 범위 안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해법을 찾아야한다. 대통령은 외교와 안보만 챙기고 총리는 내치를 담당하는 게 현실적 대안이다.
야권이 반대하는 한 새총리의 국회동의는 어렵게 된다. 김병준 새총리가 임명된다면 책임총리가 될 수 있는가. 총리는 각료제청권과 각료 해임 건의권을 실질적으로 행사하게 돼있다. 이는 헌법이 보장하고 있지만 제대로 행사된 적이 없었다. 이제 대통령이 총리에게 국정의 전권을 맡길 것을 선언하고 국민이 지켜보면 될 일이다. 지금은 비상사태다. 대통령부터 마음을 비워야한다. 여야의 정치적 계산이 달라 현실적 해법을 찾기는 쉽지 않지만 어쨌든 국정공백은 빨리 메워야한다.
경제 침몰은 심각하다. 정부는 시장에서 청산 가능성까지 나왔던 대우조선을 그대로 두는 등 현재의 '조선 3사' 체제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시급한 구조조정을 미룬 채 다음 정부로 공을 넘긴 셈이다. 주요산업은 경쟁력을 잃고 있다. 세계는 4차 산업혁명의 진행 중인데 우리의 경직된 노동시장과 후진적 정치로 4차 산업혁명의 빠른 변화를 따라가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비효율을 걷어내기 위한 노동·공공 등 4대개혁은 한 발짝도 나가지 못하고 있다.
울분이 치밀어 문제를 이성적으로 접근하기도 쉽지 않은 분위기다. 하지만 ‘한국호’라는 배의 침몰은 막아야한다. 난파선에 선장하겠다는 정치인은 침몰하는 한국호를 구할 수 없다. 여야 정치권이 내년 대선을 겨냥하는 건 당연하다. 하지만 정치권이 명심할 일은 국민은 정치싸움 잘하는 편을 선택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여야 할 것 없이 내년 대선은 잊고 지금의 위기를 돌파하는 일에 매달려라. 그러면 국민의 선택을 받는다.
지금은 나라 살려내는 일이 급하다. 위기를 벗어나는데 언론의 역할도
중요하다. 최순실의 행태에 울분을 참을 수 없지만 그의 비리와 권력농단을 파헤치는 게 중요하지, 그의 구두가 얼마짜리라는 등 흥미위주의 보도는
언론의 본분은 아니다. 거국내각이든 책임총리든 우선 안보 챙기고 난국을 추스르고 경제침몰을 막는 일에 힘을 쏟아야한다. 지금의 위기극복은 국민의
힘을 결집할 수 있느냐에 달렸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