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 불확실성 대응 금융·외환시장 24시간 점검체계 지속
- 이형일 1차관, 거시경제금융회의 개최…경기흐름 등 불확실성 요인 지속 모니터링
- 박정선 기자 | news@joseplus.com | 입력 2025-07-31 12:33:32
![]() |
▲이형일 기재부 1차관이 31일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해 국내외 금융·외환시장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했다.[기획재정부 제공] |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7월 31일 전국은행연합회관에서 관계기관 합동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해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동결 결정에 따른 국내외 금융·외환시장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유상대 한국은행 부총재, 이형주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이세훈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등이 참석해 최근 주식·채권시장이 대체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주가지수(KOSPI)는 ‘21년 8월 6일 이후 4년여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주요국 경기흐름, 미(美) 통화·무역정책 등 대외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만큼 경각심을 가지고 시장 변동성에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의견을 같이했다.
이에 이 차관은 금융·외환시장 24시간 합동 모니터링 체계를 지속 가동하면서, 필요시 상황별 대응계획에 따라 관계기관 간 긴밀한 공조 하에 적기 대응할 것을 당부했다.
기재부에 따르면, 미(美) 연준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5차례 연속 정책금리를 동결(금리상단 4.5%)했다. 성명서에서는 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경제전망 상의 불확실성이 높다고 평가하는 한편, 금번 금리 동결 결정에 대해 2명 위원이 반대했다고 밝혔다.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현재의 통화정책 긴축 정도가 적절하다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관세가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기 시작했고 현 시점에서 최종적인 관세 효과를 가늠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하면서 금리를 서둘러 인하한다면 물가 상승 문제를 해결하지 못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금일 새벽 글로벌 금융시장은 금번 금리 동결 결정을 예상한 수준으로 평가하면서도, 9월에 있을 다음번 FOMC 회의에서 금리를 인하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에 비해 파월 의장이 신중한 입장을 보임에 따라 미(美) 국채 금리가 상승하고 달러화는 강세를 보였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