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21년 국세 세입 282.8조원으로 전망
- 법인세 53.3조원… ‘20년 3차 추경예산 대비 5.2조원(8.8%) 감소
소득세 89조8000억원… 3차 추경예산 대비 1.5%, 본예산 보다 1.6% 증가
부가가치세 66.7조원… ‘20년 추경예산 대비 2.1조원(3.2%) 증가 -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0-09-01 12:44:53
1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1년 국세 세입예산안'에 따르면 내년 국세 세입은 3차 추경예산(279조7000억원) 대비 1.1% 증가, 2020년 본예산의 292조원 대비로는 3.1% 감소한 282조8000억원으로 전망됐다.
정부는 3차 추경을 발표하면서 올해 국세 수입을 당초 2020년 본예산에서 예측했던 292조원에서 279조7000억원을 낮춘 바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법인세와 소득세가 줄어드는 내역을 반영했다.
이 발표에 따르면, 2021년 법인세는 53조3000억원으로 3차 추경예산 대비 8.8%(5조2000억원)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2020년 본예산에서 전망한 64조4000억원과 비교하면 17.2%(11조1000억원)나 줄어든다. 내년도 법인세는 올해 기업 실적을 바탕으로 하는데, 코로나19로 인해 법인의 영업이익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소득세는 89조8000억원으로 3차 추경예산 대비 1.5%(1조4000억원), 본예산 보다는 1.6%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에는 경기가 개선되면서 소득이 늘어나고 취업자 수 증가, 명목임금 상승 등의 여파로 소득세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봤다.
부가가치세는 66조7000억원으로 3차 추경 대비 3.2%(2조1000억원) 증가한다. 다만 수출 증가에 따른 환급 증가로 인해 부가세 증가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본예산 대비로는 3.2% 감소한다.
올해 세법개정으로 세율을 조정한 종합부동산세는 5조1000억원이 걷힐 것으로 내다봤다. 3차 추경예산 대비 54% 증가한 수준이다.
정부는 지난 7월 10일 부동산대책을 발표하면서 다주택자에 대한 종합부동산세를 대폭 인상했다. 종부세율은 3주택 이상 또는 조정대상지역 2주택 소유자에 대해 과세표준 구간별로 최고 2.8%포인트 올랐다. 이에 따라 세율은 현행 0.6~3.2%에서 1.2~6.0%로 상향 조정된다. 법인 보유 주택은 개인 종부세율 최고 세율인 6%를 일괄 적용하기로 했다.
정부는 종부세율 인상을 통해 약 6600억원 가량의 세수가 확보될 것으로 예측했다. 2021년 국세 세입예산안에 따르면 종부세는 전년 대비 1조8000억원 증가한다.
국세 수입 가운데 일반회계는 274조1000억원으로 3차 추경 대비 0.8%(2조2000억원) 증가하며, 특별회계는 8조7000억원으로 11.3%(9000억원)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 주요 세목별 내역은 다음과 같다.
ㅇ 소득세는 89.8조원으로 ‘20년 3차 추경예산 대비 1.4조원(1.5%) 증가
- 경기 개선 등에 따른 소득 증가, 취업자 수 증가 및 명목임금 상승 등으로 증가 전망
ㅇ 법인세는 53.3조원으로 ‘20년 3차 추경예산 대비 5.2조원(8.8%) 감소
-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법인 영업이익 감소 등에 따라 감소 전망
ㅇ 부가가치세는 66.7조원으로 ‘20년 추경예산 대비 2.1조원(3.2%) 증가
- 소비 및 수입 증가 등으로 세수가 증가하나, 수출 증가에 따른 환급 증가로 인해 증가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
<2021년 국세 세입예산안>
| ’19년 실적 | ’20년 | ’21년 예산안 | ’20 본예산 대비 | ’20 3차 추경대비 | |||
본예산 | 3차 추경 | 증감액 | % | 증감액 | % | |||
총 국 세 | 2,934,543 | 2,919,969 | 2,797,123 | 2,828,174 | △91,795 | △3.1 | 31,051 | 1.1 |
[일반회계] | 2,860,320 | 2,841,174 | 2,718,775 | 2,740,975 | △100,199 | △3.5 | 22,200 | 0.8 |
◇ 내 국 세 | 2,558,045 | 2,510,885 | 2,403,374 | 2,396,070 | △114,815 | △4.6 | △7,304 | △0.3 |
ㅇ 소 득 세 | 835,620 | 884,178 | 884,654 | 898,175 | 13,997 | 1.6 | 13,521 | 1.5 |
- 종 합 소 득 세 | 167,780 | 174,086 | 169,562 | 164,791 | △9,295 | △5.3 | △4,771 | △2.8 |
- 양 도 소 득 세 | 161,011 | 167,621 | 174,041 | 168,857 | 1,236 | 0.7 | △5,184 | △3.0 |
- 근 로 소 득 세 | 384,660 | 418,309 | 406,375 | 435,228 | 16,919 | 4.0 | 28,853 | 7.1 |
ㅇ 법 인 세 | 721,743 | 644,190 | 584,753 | 533,173 | △111,017 | △17.2 | △51,580 | △8.8 |
ㅇ 상 속 증 여 세 | 83,292 | 83,073 | 84,166 | 90,999 | 7,926 | 9.5 | 6,833 | 8.1 |
ㅇ 부 가 가 치 세 | 708,283 | 688,710 | 645,842 | 666,535 | △22,175 | △3.2 | 20,693 | 3.2 |
ㅇ 개 별 소 비 세 | 97,191 | 102,279 | 94,788 | 100,940 | △1,339 | △1.3 | 6,152 | 6.5 |
ㅇ 증 권 거 래 세 | 44,733 | 43,848 | 49,350 | 50,861 | 7,013 | 16.0 | 1,511 | 3.1 |
ㅇ 인 지 세 | 8,456 | 10,523 | 10,523 | 9,467 | △1,056 | △10.0 | △1,056 | △10.0 |
ㅇ 과 년 도 수 입 | 58,728 | 54,084 | 49,300 | 45,920 | △8,164 | △15.1 | △3,380 | △6.9 |
◇ 교통·에너지·환경세 | 145,627 | 157,273 | 154,636 | 157,015 | △258 | △0.2 | 2,379 | 1.5 |
◇ 관 세 | 78,821 | 87,912 | 77,140 | 83,635 | △4,277 | △4.9 | 6,495 | 8.4 |
◇교 육 세 | 51,111 | 51,894 | 50,416 | 53,117 | 1,223 | 2.4 | 2,701 | 5.4 |
◇ 종합부동산세 | 26,713 | 33,210 | 33,210 | 51,138 | 17,928 | 54.0 | 17,928 | 54.0 |
[특별회계] | 74,223 | 78,795 | 78,348 | 87,199 | 8,404 | 10.7 | 8,851 | 11.3 |
◇ 주 세 | 35,041 | 33,275 | 31,637 | 32,492 | △783 | △2.4 | 855 | 2.7 |
◇ 농어촌특별세 | 39,182 | 45,520 | 46,711 | 54,707 | 9,187 | 20.2 | 7,996 | 17.1 |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