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베, 한-인도 EODES 구축 연간 52만 건의 종이 원산지증명서 제출 생략
-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3-12-26 15:12:13
관세청은 베트남(7.15), 인도(12.22)와 원산지증명서 전자교환 시스템(EODES*)를 구축·운영하여, 연간 약 52만 건**(베트남 39만 건, 인도 13만 건)의 자유무역협정(FTA) 활용이 편리해졌다고 밝혔다.
* Electronic Origin Data Exchange System : 자유무역협정(FTA) 특혜세율 적용을 위해 필요한 원산지증명서 정보를 양국 관세당국 간에 전자적으로 실시간 교환하는 시스템
※그간 EODES 운영 현황 : 중국(’16.12~), 인도네시아(’20.3~)
** 한-베 EODES 활용 실적(7.15~11.30) 146,098건(수출 68,153건, 수입 77,945건)을 연 단위로 환산 및
한-인도 원산지증명서 활용 실적(∼’23.11) 13만건(수입 약 4만건, 수출 약 9만건)을 연 단위로 환산
EODES를 통해 양 관세당국 간 원산지정보가 전자적으로 실시간 교환됨으로써 우리 수출기업은 수입국에서 ‘종이’ 원산지증명서를 제출하지 않아도 FTA 특혜관세를 적용받을 수 있게 되었다.
< 종이 원산지증명서(C/O)의 국가 간 이동·제출 절차 >
※ ③~⑤ 단계에서 배송 시간·비용 소요, 도난·분실·훼손 등 위험이 있고, 외국세관의 원본여부 확인 과정에서 통관지체 우려가 있으나, C/O 전자적 교환시 ③~⑤ 단계가 생략됨 |
이에 따라 우리 수출입 기업은 ①FTA 활용절차 간소화에 따른 신속 통관(종이 원산지증명서 수취에 따른 화물 대기시간 4~6일→실시간), ②물류비용 절감*, ③종이 원산지증명서에 대한 진위여부 확인과정에서 발생하는 통관애로 예방 등의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 ’22년 수출 기준 한-베 및 한-인도 EODES를 통한 화물보관료 및 국제우편료 절감액은 약 490억원(인도350억원 + 베트남 140억원)으로 추산 [※출처: 한국원산지정보원]
특히 인도와 베트남은 통관애로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국가(전체의 약 60%*)로, 이 중 원산지증명서 불인정 등 FTA 활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통관애로가 차지하는 비중이 76%를 차지*하고 있어, EODES가 우리 기업의 통관애로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 [통관애로 건수(비중), 22년 기준] (인도) 63건(42%) 중 58건, (베트남) 26건(17%) 중 10건이 FTA 활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통관애로에 해당
관세청은 앞으로도 우리 수출입 기업이 쉽고 간편하게 FTA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