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인상에 정부 대응책 마련 ‘분주’
- 제2금융권 특별 점검 실시 등 금융·외환시장 상황 모니터링 강화
- 옥정수 | suya-45@hanmail.net | 입력 2017-03-16 16:48:32
![]() |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왼쪽 세번째)이 16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위,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관계자들이 참석해 열린 제51차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15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금리를 종전보다 0.25% 포인트 오른 연 0.75∼1.00%로 결정했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은 “경제가 지금처럼 계속 호전된다면 금리를 약 3∼4개월에 1번씩 인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망했다.
이 같은 연준의 결정에 정부는 긴급회의를 개최하는 등 금리인상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16일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필요하면 적절한 시장안정조치를 적기에 추진할 것임을 밝혔다.
최 차관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금리 인상에 따른 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금융·외환시장 상황을 철저히 모니터링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미국의 금리 인상 본격화로 글로벌 금리가 빠르게 상승하면 가계와 기업의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가계부채의 질적 구조개선을 가속하고 가계부채 비상관리체계를 구축해 매주 가계부채 동향을 점검하겠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최근 가계대출이 증가한 제2금융권에 대한 특별 점검을 실시하고 자영업자 대출 관리와 지원 대책을 상반기 중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은보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역시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감독원과 합동으로 리스크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금리 상승에 따른 금융권 영향과 외화 유동성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겠다”면서 “필요하면 선제적 자본확충과 유동성 확보, 부실자산 매각 등 맞춤형 대책을 시행하겠다”고 전했다.
그는 “외국인 자금흐름을 포함한 금융시장과 서민금융, 기업금융, 금융산업 전반을 24시간 모니터링하고 금융권역별, 잠재 리스크요인별로 상황변화를 점검해 맞춤형 대책을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진웅섭 금감원장도 시장 상황 점검회의를 통해해 “가계부채, 외국인 자금유출, 금융회사 외화 유동성 등 주요 위험부문에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경각심을 높여 대응해 달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