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사, 스터디카페 등 ’25년부터 현금영수증 의무 발급 대상된다

’23년 추가된 17개 의무발행업종 현금영수증 발급건수 15억 건에 발급금액 48.9조 원
그 중 통신판매업은 발급건수 14.4억 건에 발급금액 45.9조 원으로 크게 증가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4-12-15 10:00:46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국세청은 여행사, 스터디카페 등 13개 업종을 현금영수증 의무발행업종으로 새로 지정, ’25년부터 해당 업종은 10만 원 이상 거래 시 소비자가 발급을 요구하지 않아도 현금영수증을 의무 발급해야 한다고 밝혔다. 

 

’25년부터 새롭게 현금영수증 의무발행업종으로 추가되는 13개 업종은 다음과 같다.

1

의복 액세서리 및 모조 장신구 소매업

6

실외 경기장 운영업

11

스쿼시장 등 그 외 기타 스포츠시설 운영업

2

여행사업

7

스키장 운영업

12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리업

3

기타 여행 보조 및 예약 서비스업

8

종합 스포츠시설 운영업

13

애완용 동물 장묘 및 보호서비스업

4

앰뷸런스 서비스업

9

수영장 운영업

스터디카페25년부터 독서실 운영업에 포함되어 의무발행업종에 해당

5

실내 경기장 운영업

10

볼링장 운영업

 

국세청은 자영업자 세원투명성을 확보하고 공정한 시장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05년부터 현금영수증 제도를 도입하였고, ’10년부터 일정 금액 이상 현금거래 시 현금영수증을 의무 발급하는 제도를 시행하여 매년 의무발행업종을 확대*해 왔다.

*의무발행업종:(’23)112(17)(’24)125(13)(’25)138(13)

 

’23년 현금영수증 의무발행업종 관련 통계

23에 새로 지정된 통신판매업, 가전제품 수리업 등 17개 의무발행업종현금영수증 발급건수15억 건, 발급금액48.9이며, 그 중 통신판매업발급건수14.4, 발급금액45.9조 원으로 크게 증가했.

*’23년 현금영수증 전체 발급건수는 46억 건, 발급금액은 167조 원(전년 대비 발급건수 2%, 발급금액 7% 증가)

’23년 추가 의무발행업종 발급현황

 

통신판매업 현금영수증 발급현황

 


 

 

 


 

’25년 새롭게 추가된 의무발행업종 사업자와 관련하여 발급 의무, 발급 혜택, 의무 위반 시 불이익, 포상금 제도 등은 다음과 같다.

 

(발급의무)

’25.1.1.부터 거래 건당 10만 원 이상(부가가치세 포함) 현금거래 시 거래상대방이 현금영수증 발급을 요구하지 않더라도 반드시 발급하여야 하며,

-거래상대방의 인적사항을 모르는 경우에도 거래일로부터 5일 이내에 국세청 지정번호(010-000-1234)로 발급해야 한다.

(사업자 혜택)

현금영수증을 발급한 사업자는 부가가치세 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고, 수취한 현금영수증을 통해 부가가치세 매입세액 및 종합소득세 필요경비로 인정받을 수 있다.

*직전 연도 매출액 10억 원 이하 개인사업자, 현금영수증 발행금액의 1.3%(1천만 원 한도)

 

(근로자혜택)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은 근로자는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사용금액을 조회할 수 있고,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의무위반)현금영수증을 미발급하는 경우 의무발행업종 사업자에게 미발급 금액의 20%에 해당하는 가산세가 부과됨에 유의해야 한다.

 

현금영수증 발급의무 위반 주요 사례

 

 

 소비자와 가격할인조건으로 현금영수증을 발급하지 않기로 약정한 경우

□ 거래대금 30만 원 25만 원은 신용카드로, 5만 원현금으로 받았으나 현금영수증미발급한 경우

□ 거래대금 15만 원은행계좌로 받았으나 현금영수증을 발급하지 않은 경우

 

(포상금제도)

소비자는 증빙서류를 첨부하여 국세청에 발급의무 위반 사실을 신고할 수 있으며 위반 사실이 확인되면 미발급 금액의 20%를 포상금으로 지급한다.

 

국세청은 현금영수증은 다 함께 공정하고 정의로운 세정을 만들어가는 첫걸음임을 인식하여 사업자의 적극적인 현금영수증 성실 발급을 당부하고 있다.

 

1

 

현금영수증 제도 개요

현금영수증은 가맹점이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고 그 대금을 현금으로 받는 경우 해당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받는 자에게 발급하는 영수증으로,

자영업자의 과세표준 양성화를 위해 ’05년 현금영수증 제도를 도입했다.

 

’10년부터 전문직.병의원 등 업종을 시작으로 일정 금액 이상1) 현금거래 시 소비자의 발급 요구와 무관하게 현금영수증을 발급하도록 의무 발급 제도를 시행하였고, 이후 의무발행업종을 지속적으로 확대2)하고 있다.

1) (’10)거래 건당 30만 원 (’147월 이후) 거래 건당 10만 원
2)의무발행업종: (’23)112(17)(’24)125(13)(’25)138(13)

 

2

 

새롭게 추가되는 현금영수증 의무발행업종

’25.1.1.부터 여행사 등 13개 업종이 현금영수증 의무발행업종으로 추가된다.

현금영수증 의무발행업종 해당여부는 통계청의 한국표준산업분류를 기준으로 구분하며, 사업자등록 상 업종이 아닌 실제로 영위하는 사업에 따라 판단한다.

 

의무발행업종 영위 사업자는 거래 건당 10 원 이상(부가가치세 포함)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고 대금을 현금으로 받은 경우에는 소비자가 현금영수증 발급을 요청하지 아니하더라도 현금영수증을 반드시 발급하여야 하며,

거래상대방의 인적사항을 모르는 경우에도 거래일로부터 5일 이내에 국세청에서 지정한 전화번호(010-000-1234)로 무기명 발급하여야 한다.

또한, 의무발행가맹점 표지(스티커)를 계산대 등 소비자가 잘 볼 수 있는 곳*에 부착하여야 한다.

*계산대가 있는 사업장 : 계산대나 계산대 근처의 벽ㆍ천정(천정걸이 사용) 등 소비자가 잘 볼 수 있는 곳
계산대가 없는 사업장 : 사업장 출입문 입구나 내부에 소비자가 잘 볼 수 있는 곳

현금영수증가맹점이 지켜야 할 사항(국세청고시 제2024-13, 2024.5.14.)

 

국세청에서는 의무발행업종에 추가된 사업자가 변경된 내용을 몰라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발급의무 안내문을 발송하였으며, 현금영수증 안내 책자* 발간, 리플릿 배포 등을 통해 발급의무 제도를 적극 안내하고 있다.

*국세청 누리집(www.nts.go.kr) 국세정책/제도 전자(세금)계산서/현금영수증/신용카드 현금영수증신용카드 참고자료실 (16) 소비자와 사업자를 위한 현금영수증 가이드북 

참고로, 현금영수증 단말기가 없는 사업자는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의 현금영수증 발급 시스템에서 현금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다.

사업자 등록 및 홈택스 회원가입이 되어 있으면 누구나 현금영수증 발급을 위한 신청만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발급이 가능하다.

 

가 입

홈택스 계산서영수증카드 현금영수증(가맹점) 발급 현금영수증 발급 사업자 신청 및 수정

발 급

홈택스 계산서영수증카드 현금영수증(가맹점) 발급 현금영수증 건별 발급 또는 일괄 발급

업종명(업종코드)

표준산업

분류코드

업종 정의

의복 액세서리 및
모조 장신구 소매업

(523252, 523292, 524000)

47422

각종 의복 액세서리(넥타이, 모자 및 장갑, 스카프, 머플러, 양말 및 스타킹), 가발, 모조 장신구를 소매하는 산업활동

여행사업

(630600)

75210

국내·외를 여행하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여행 관련 시설 이용의 알선, 계약 체결의 대리 및 기타 여행의 편의를 제공하는 산업활동

기타 여행 보조 및
예약 서비스업

(523990, 630601)

75290

숙박 예약 대리 등 기타 여행 지원 서비스업을 수행하는 산업활동

앰뷸런스 서비스업

(851911)

86901

자동차, 선박 및 항공기 등으로 환자 이송과 응급 치료를 하는 산업활동

실내 경기장 운영업

(924200)

91111

농구, 배구, 씨름, 수영 등 관람석이 있는 실내경기장을 운영하는 산업활동

실외 경기장 운영업

(924201)

91112

육상 경기, 축구, 야구 등 각종 필드 경기를 위한 관람석이 있는 실외 경기장을 운영하는 산업활동

스키장 운영업

(924304)

91122

숙박시설과 독립된 스키장 및 스키리프트를 운영하는 산업 활동

종합 스포츠시설 운영업

(924313)

91131

동일 장소에서 경기장, 골프장, 스키장을 제외한 두 종류 이상의 포츠 운동시설을 복합적으로 운영하는 산업활동

수영장 운영업

(924311)

91133

관람석이 없는 수영장을 운영하는 사업자의 산업활동

볼링장 운영업

(924302)

91134

볼링장 시설을 운영하는 산업활동

스쿼시장 등 그 외 기타 스포츠시설 운영업

(809006, 924306, 924310, 924312, 924314)

91139

달리 분류되지 않은 운동시설을 운영하는 산업활동. 부수적으로 강습 및 관련 장비의 임대 활동을 수행할 수 있음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리업

(725000)

95110

컴퓨터 및 각종 컴퓨터 주변 기기류를 전문적으로 수리·유지하는 산업활동

애완용 동물 장묘 및
보호서비스업(930919)

96999

애완 동물의 훈련, 손질, 보호, 장례 등 애완 동물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활동

스터디카페

(923102)

90212

숙박시설 없이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카페독서실 형태의 공간에서 공부, 회의, 토론을 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산업활동

*’25년부터 스터디카페는 독서실 운영업에 포함되어 의무발행업종에 해당

  

3

 

현금영수증 발급 및 수취 시 혜택

현금영수증 발급은 신용카드와 달리 결제 수수료 부담이 없으며, 직전 연도 재화용역의 공급가액 합계액이 10억 원 이하인 개인사업자가 현금영수증을 발급한 경우 발급금액의 1.3%를 연간 1,000만 원 한도 내에서 부가가치세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부가가치세법 제46①②)

* 신용카드매출전표 등 발행세액공제:(’21)2.3조 원(’22)2.6조 원(’23)2.7조 원

 

대상자

주로 사업자가 아닌 자에게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사업으로서 소매업, 음식점업 등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73조제12에 따른 사업을 하는 사업자

*(제외) 법인사업자, 직전연도 재화용역의 공급가액이 10억 원을 초과하는 개인사업자

직전 연도 공급대가 합계액4,800만 원 미만간이과세자 또는 신규 간이과세자로서 최초과세기간 중에 있는 자

요 건

과세되는 재화용역을 공급하고 공급시기에 신용카드 매출전표, 현금영수증, 직불카드 영수증 등을 발급하는 경우

공제율

발급금액 또는 결제금액의 1.3% (연간 1천만 원 한도)

*납부세액에서 국세기본법 또는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른 경감 및 공제세액(가산세 제외) 가감한 후 납부할 세액 한도로 공제

현금영수증을 수취한 사업자는 부가가치세 매입세액 공제 및 종합소득세 필요경비 인정을 위한 매입 정규증빙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는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다.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소득공제:(’21)33조 원(’22)39조 원(’23)생산예정

 

4

 

발급의무 위반 시 불이익

현금영수증 의무발행업종 사업자가 거래 건당 10만 원 이상(부가가치세 포함) 재화 또는 용역 거래대금을 현금으로 받고도 현금영수증을 발급하지 않은 경우 미발급 금액의 20%에 해당하는 가산세가 부과된다.

다만, 거래상대방이 현금영수증 발급을 요청하지 아니하는 경우 그 대금을 현금으로 받은 날부터 5일 이내에 무기명으로 발급(010-000-1234)하는 경우에는 가산세 부과대상에 해당하지 않으며,

거래 당시 발급하지 않았더라도 착오나 누락으로 인하여 거래대금을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현금영수증을 자진 발급한 경우에는 가산세 금액의 50%가 감면된다.

 

국세청은 현금영수증 발급의무 주요 위반 사례를 아래와 같이 안내하고 가산세 부과 등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현금영수증 발급의무를 준수해 주기를 당부하고 있다.

(사례)소비자와 현금거래 시 가격할인을 조건으로 거래 당시에 현금영수증을 발급하지 않기로 약정한 경우

(사례)거래대금 30만 원 중 25만 원을 신용카드로, 5만 원은 무통장입금을 통해 은행계좌로 받았으나, 은행계좌로 받은 5만 원에 대해 현금영수증을 발급하지 않은 경우

* 총 거래대금(30만 원)10만 원 이상이므로 현금영수증 발급의무 있음

 

5

 

현금영수증 미발급 신고포상금 제도 운영 (국세기본법 제84조의2)

소비자는 의무발행업종 사업자와 건당 10만 원 이상(부가가치세 포함)의 현금거래를 한 후 현금영수증을 받지 못한 경우,

계약서, 영수증, 무통장 입금증 등 거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를 첨부하여 거래일로부터 5년 이내에 홈택스 또는 우편(세무서) 등으로 미발급 사실을 신고할 수 있다.

미발급

신 고

홈택스 상담불복제보 현금영수증신용카드 미발급/발급거부 제보 현금영수증 미발급 신고

미발급 사실이 확인되면 이를 신고한 자에게 미발급 금액의 20%를 신고포상금으로 지급하고, 신고한 금액은 현금영수증이 자동 발급되어 신고한 자가 거래당사자로서 근로자인 경우에는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6

 

현금영수증의 성실한 발급 당부

현금영수증 제도 도입 이후 현금영수증 발급금액은 꾸준히 증가*하는 등 자영업자의 과세표준 양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 (’05)4.5억 건, 18.6조 원(’22)45억 건, 156.2조 원(’23)46억 건, 167.1조 원

국세청에서는 사업자의 현금영수증 가맹점 가입편의를 제고하기 위해 홈택스에서 사업자등록을 신청하는 경우, 의무가입대상 여부를 안내하고 현금영수증 가맹점 가입도 동시에 신청*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24.6.)

* 사업자등록이 완료된 다음 날에 현금영수증 가맹점 가입 처리

확 인

신 청

홈택스 증명등록신청 사업자등록 신청정정휴폐업 사업자 등록신청 업종선택 화면에서 현금영수증 의무가입 대상 여부 안내, 가맹점 가입 신청

홈택스에서 사업자등록 신청 시 업종선택 화면

 


 

국세청은 앞으로도 납세자가 현금영수증 가맹점 가입, 발급 및 수취 등에 불편함이 없도록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예정이다.

 

아울러 국세청은 신고포상금 제도를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현금영수증 발급을 기피하거나 거부하는 발급의무 위반자를 집중 관리할 예정임을 밝히고 현금영수증은 다 함께 공정하고 정의로운 세정을 만들어가는 첫걸음임을 인식하여 의무발행업종 영위 사업자는 현금영수증 발급의무 위반에 따른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성실 발급을 당부하고 있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나홍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