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착한 임대인 세액공제’ 공제기간 연장 및 공제율 상향
- 착한 임대인 전용 상담전화(126→6번)로 쉽고 편리하게 확인 가능
-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1-03-05 12:00:55
국세청은 5일, ’상가임대료를 인하한 임대사업자에 대한 세액공제‘(이하 ‘착한 임대인 세액공제’) 관련 조세특례제한법 일부 개정안이 2.26.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임대료를 인하한 사업자는 종합소득세 또는 법인세를 신고하면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고 공지했다.
착한 임대인 세액공제는 정부의 「코로나19 파급영향 최소화와 조기극복을 위한 민생・경제 종합대책(‘20.2.28.)」의 일환으로 최초 도입되어 시행되었으며, 이번 개정으로 인해 임대사업자가 소득・법인세에서 세액공제받을 수 있는 세제혜택의 폭이 아래와 같이 확대되었다.
△첫째, 공제 적용기간이 6개월 연장*되었다.
* (당초) ’20.1.1.~’21.6.30. → (개정) ’20.1.1.~’21.12.31.
△둘째, ‘21년 임대료 인하분부터 공제율이 70%로 상향*되었다.
* (당초) 50%→ (개정) 70% (단, 종합소득금액 1억원 초과자는 50%)
임대료를 인하한 사업자는 종합소득세 또는 법인세를 신고하면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착한 임대인 세액공제 신청 기한 | | ||
임대료 인하 기간 | 개인사업자(종합소득세) | 법인사업자(법인세) |
’20.1.1.~’20.12.31. | ’21년 5월(6월*) | 사업년도 종료일 3개월 이내 * (예시)12월말 법인은 다음연도 3월 |
’21.1.1.~’21.12.31. | ’22년 5월(6월*) |
* 성실신고 확인서 제출 사업자
착한임대인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임대료 인하 외에도 임차인 요건, 증명서류 제출 등 법령에서 정한 요건을 충족해야한다.
특히, 임차인은 ‘20.1.31. 이전부터 임차하여 영업을 개시한 「소상공인기본법」 제2조에 따른 소상공인이어야 하며 일부업종(사행행위업, 과세유흥업 등)은 제외된다.
소상공인 해당 여부는 임차인이 신분증만 있으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누리집*이나 전국 지역센터에서 소상공인 확인서를 편리하게 발급받아 확인할 수 있다.* [www.semas.or.kr] > 세액공제용 확인서 발급(배너화면) > 소상공인확인서 발급 시스템(www.sbiz.or.kr/cose/main.do)
구체적인 공제 요건 및 해당 여부는 전용 상담전화(126→6번)로 쉽고 편리하게 확인하시고, 기타 상세 내용은 국세청 누리집*을 참고하면 된다다.<* [www.nts.go.kr] > 국세정책/제도 > 착한임대인 세액공제 제도> - 제도 소개, 핵심가이드, 참고자료, 자주 묻는 질문, 홍보물(카드뉴스,리플릿)
또한, 착한 임대인을 대상으로 재산세 감면 등의 지방자치단체별 지원혜택*도 있다. 궁금증이 있으면 해당 시・군・구 세무부서로 문의하면 된다.
* (사례) 서울: 임대료 인하 구간별 서울사랑상품권 지급(30~100만원)
부산: 재산세 전액과 임대료 인하액 중 작은 금액 재산세 감면
인천: 3개월 평균 인하금액의 50%(200만원 한도) 재산세 감면.
붙임 1 | 「착한 임대인 세액공제」 제도 (세액공제 요건) | ||||||||||||||||||||
|
붙임 2 | 소상공인확인서 발급 안내 | |||||||||||||
○ (공제요건) 착한 임대인 세액공제 받기 위해서는 임차인이 「소상공인기본법」제2조에 따른 소상공인이어야 하며, -임차인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으로부터 소상공인확인서를 발급받아 임대인이 세액공제 신청 시 제출하여야 함 ○ (발급기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 (발급방법) -(온라인) ① ‘소상공인확인서발급’(sbiz.or.kr/cose/main.do) 또는 ②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홈페이지(www.semas.or.kr)에서 ‘세액공제용 소상공인확인서 온라인발급’ 배너화면 클릭하여 신청 -(방문) 전국 소상공인지역센터(66곳)에 방문하여 신청.발급 ○ (준비서류)
○ (발급문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국번없이 ☎ 1357번) ○ (연평균매출액) 주된 업종별 평균매출액 등이 「중소기업기본법시행령」상의 소기업 규모*기준에 해당하는 사업자 * 음식업, 숙박업 10억원 이하, 도소매업 50억원 이하 등 ○ (상시근로자수) 주된 업종에 종사하는 상시근로자의 수가 5인*미만 * 제조업, 건설업, 운수업, 광업은 10인 미만 ○ (영리사업자 여부) 영리사업자에 한하여 발급 가능 |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