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상반기 ‘공인사가 본 경기실사지수(CPA BSI)’는?
- 올해 상반기 현황 BSI는 94로 지난해 하반기 72 대비 큰 폭 상승
수출 호조세가 내수 진작 등으로 확산되고, 하반기 금리 인하 기대감 등도 반영 -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4-06-18 08:54:23
![]() |
이는 경제와 산업 전반에 대한 전문지식과 경험이 있는 공인회계사(회계법인의 파트너급 이상 전업 회계사와 기업체 임원급인 휴업 회계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조사 결과 올해 상반기 경제 현황 BSI는 94, 올해 하반기 전망 BSI는 97을 기록했다.
* BSI는 100을 기준으로 100을 초과하면 경기 호전을 의미하며 반대로 100 미만이면 경기 악화를 의미함(범위: 0~200).
현황 BSI는 지난해 하반기(72)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IT 경기회복에 따른 반도체 수출 호조, 민간 소비의 빠른 회복, 시장의 예상치를 상회하는 1분기 GDP 성장 등 긍정적인 경제 요인들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올해 하반기 전망 BSI(97)는 수출 호조세가 내수진작 등으로 확산될 가능성, 하반기 금리 인하 기대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되어 상반기 현황 BSI(94)보다 소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앞으로 1년간 우리나라 경제에 영향을 미칠 주요 세부 요인으로는 △ 글로벌 경기 흐름 (29%), △ 원자재 가격 및 인플레이션 (23%), △ 통화정책 방향 및 자금조달 환경 변화(긴축 기조, 기준금리 인상 등) (15%), △ 가계 및 기업 부채 수준 (7%) 등을 꼽았다.
산업별 현황 BSI는 조선(138), 전자(120), 자동차(112), 기계(108) 등으로 조사되어 다수의 산업에 경기개선 효과가 두드러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글로벌 경기개선으로 반도체와 자동차 산업이 수출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산업별 전망 BSI에서도 조선(141), 전자(129), 제약·바이오(116), 자동차(112) 등 다수의 산업이 호전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번 호에는 CPA BSI 조사 결과와 함께 경제전망에 대한 특별기고문 및 미래 산업의 주요 이슈를 다룬 전문가 기고 2편도 함께 실었다. 김영도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특별기고문에서 「2024년 하반기 경제전망: 꾸준한 회복, 그러나 높은 돌발 가능성」을 주제로 2024년 경제 전망과 대응 방안을 제언했다.
CPA BSI 20호의 자세한 내용은 회계정책연구원 홈페이지(www.kapri.or.kr)에 이달 말에 게재된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