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내년 R&D 투자 27조원…미래세대 위해 대폭 확대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0-09-04 09:56:55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정부는 4일 내년도 R&D 예산을 금년 24.2조원 보다 12.3% 증액한 27.2조원으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R&D 예산(조원) : (‘17) 19.5 (‘18) 19.7 (‘19) 20.5 (‘20) 24.2 (‘21) 27.2>


R&D 예산 증가율은 ‘2018.0%, ’2112.3%2년 연속 두자릿수 증가세를 유지 하고 있다.<* R&D 예산 증가율(%) : (‘17) 1.9 (’18) 1.1 (‘19) 4.4 (’20) 18.0 (‘21) 12.3>

 

이는 최근 어려운 경제여건 하에서도 R&D가 미래세대를 위한 게임 체인져*(Game Changer)가 되어야 한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체인져;판을 뒤흔들어 시장의 흐름을 통째로 바꾸거나 어떤 일의 결과나 흐름 및 판도를 뒤집어 놓을 만한 결정적인 역할을 할 사건, 사람, 제품, 서비스 등>

 

확대된 R&D 예산은 한국판 뉴딜, 감염병, 소부장, BIG3, 기초 원천R&D, 인재양성의 6개 분야에 13.2조원 투자될 계획이다.

 

6개 분야에는 선택과 집중을 위해 주요 R&D 예산의 70% 수준이 집중되고, ‘20년 보다 20.1% 확대 편성된다,<* 6개 분야 R&D 예산 : (‘20) 11.0조원 (’21) 13.2조원 <+20.1%>

 

우선, 한국판 뉴딜을 뒷받침하기 위해 1.9조원이 투자된다.

(디지털 뉴딜 : 1.1조원) 인공지능, 5G* 등 디지털 핵심기술

확보, 비대면 산업 기술개발, SOC 디지털화** 등을 지원한다.

* 차세대 인공지능 원천기술개발(193347), 6G 핵심기술개발(172, 신규)

** 지하공동구 디지털트윈 기반 재난안전관리 통합플랫폼 구축(62)

 

(그린 뉴딜 : 0.8조원) 녹색도시 인프라* 구축, 신재생 에너지

고효율화, 유망 녹색산업 육성 등을 지원한다.

* 저탄소고효율 건축기술(115), 상하수도 혁신기술(305)

 

코로나19, .변종 감염병 대응에는 0.2조원이 편성되었다.

ㅇ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투자*를 강화하고, 생물안전연구시설 증설 등 감염병 연구를 위한 인프라 구축**을 지원한다.

* 치료제 임상지원(10개 후보물질, 627억원), 백신 임상지원(12개 후보물질 687억원)

** 출연연 2개소(KAIST, 안전연), 바이러스연구자원센터(BL3, ABSL3 각각 1개소)

 

소재.부품.장비(2.2조원)는 코로나로 인한 GVC 재편 등에 대응하여 對日 100대 품목을 세계 338개로 확대.관리한다.

* 소부장 R&D 예산 : (‘20) 1.7조원 (’21) 2.2조원 <+25.0%>

ㅇ 특히, 부처간 협업이 필요한 25개 품목은 이어달리기*.함께

달리기(’20148 ‘21611억원) 등을 통해 성과를 극대화한다.

* 초박막 메타렌즈 : 과기부에서 개발한 원천기술을 산업부에서 상용화 통해 국산화

 

BIG3(바이오헬스, 미래차, 시스템반도체)에는 2.3조원을 지원한다.

(바이오헬스 : 1.7조원) 신약.의료기기 주기 지원*을 위해

부처 협업을 진행하고 인력양성, 규제과학** 투자를 강화한다.

* 국가신약개발 452억원(신규, 과기부.복지부.산업부, 총사업비 2.2조원(’21~‘30))

** 의약품, 의료기기 등 규제가 필요한 제품의 안전성, 유효성, 품질 및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새로운 도구, 기준 및 접근방법을 개발. 

 

 

(미래차 : 0.4조원) ‘27년 완전자율차(LV4) 상용화를 위한 기술*

및 전기.수소차 배터리 시스템, 주행효율 향상을 지원한다.

* (Lv1) Feet Off (Lv2, 단계) Hands Off (Lv3) Eyes Off (Lv4) Minds Off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884억원, 신규, 과기부ㆍ산업부ㆍ국토부ㆍ경찰청)

 

(시스템반도체 : 0.3조원) 팹리스 등 유망분야에서 원천기술

제품화까지 지원*하고 고급 인력확보를 위한 투자를 강화한다.

*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개발(과기부, 산업부) (‘20) 891 (’21) 1,223억원

 

미래과학기술 역량강화를 위해 기초R&D에는 7.3조원 투자한다.

ㅇ 자유공모 방식의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를 확대하고, 기초과학

연구원 운영** 등 세계적 수준의 기초연구 환경을 조성한다.

*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 (’20) 2278억원 (’21) 23,484억원

** 기초과학연구원 연구운영비 지원 : (’20) 2,237억원 (’21) 2,483억원

 

신기술 분야 핵심 고급인재 양성을 위해 0.3조원을 편성하였다.

AI.SW ICT 분야 세계 최고 수준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동시에 스마트공장, 조선 등 산업별 특화 인재를 육성한다.

* 해외석학 초빙, 컴퓨팅 공용인프라 등 AI대학원 지원강화(810개소)

 

큰 폭으로 증가한 R&D 예산의 효율화 노력도 계속 추진한다.

개별부처 중심 연구개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부처 공동

융합 R&D에 대한 지원을 1.2조원에서 1.8조원으로 확대한다.

*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예타) : (‘20) 932 (‘21) 1,864억원

(복지부(임상 등) + 산업부(사업화) + 과기부(기초원천) + 식약처(·허가 지원))

 

출연 연구기관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각 기관의 미션과 주요

역할(R&R)을 기반으로 강도 높은 조직.사업 개편을 추진한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나홍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