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관세통계연보」 최초 발간…공표범위 확대

기존 세목별 총액 공개에서 품목·국가·FTA 협정별 세액까지 확대 공표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2-07-21 10:00:42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관세청은 수입 물품에 대하여 통관 단계에서 관세청이 부과·징수하는 세금(이하 관세청 소관 세수’)을 세목·품목·국가·FTA협정별로 분류한 관세통계연보를 최초로 발간하여 21일 공표했다.<* 관세부가가치세개별소비세주세교육세교통.에너지.환경세농어촌특별세>

 

기존에는 매년 상반기 중 전년도 소관 세수의 세목·본부세관별 징수실적 총액만을 관세청 누리집(www.customs.go.kr)을 통해 공개해왔다.

 

관세청은 올해부터 공표 범위를 확대하여 전년도 소관 세수의 세목·전국 세관별 징수실적 총액과각 세목에 대한 품목(HS·성질별 분류국가·FTA협정별 부과 현황을 담은 관세통계연보를 매년 6(올해만 7발간한다.

* HS(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 세계관세기구에서 제정하여 발효된 HS협약에 따라 물품별로 부여되는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

성질별 분류관세청에서 HS를 기반으로 산업·용도별 특성(소비재·자본재·원자재)에 따라 세분류한 분류체계>


이로써’21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국세수입 344.1조 중 약 1/5에 해당되는 62.2조(18.1%)을 차지하는 관세청 소관 세수를 국가통계인 수입물품에 대한 관세 및 내국세 통계로 새롭게 승인(’22.3)받아 공표할 수 있게 됐다.

 

관세청은 이번 통계연보 발표를 통해 수입물품 관련 세수정보를 기업과 국민에게 보다 정확하고 세부적으로 공개함으로써정부와 공공 부문의 정확한 세수 추계를 지원하고기업의 수출입과 투자 등 경영관련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한관세통계와 수출입 무역통계와의 연계 분석이 가능해져 연구기관·학계 등의 다양한 관세 관련 연구도 지원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예시1) ’21년 원유 수입액과 관세액 및 평균관세율(=관세액/수입액등 분석

(예시2) ’21년 승용차 수입대수 및 1대당 평균 개별소비세율(=개별소비세액/수입대수등 분석

 

관세청은 국회기획재정부 등 관공서와 전국 주요 연구기관 및 도서관 등 300여 곳에 관세통계연보를 책자로 배포하고관세청 누리집과 수출입 무역통계 누리집에도 공개할 예정이다.

관세청 누리집 www.customs.go.kr > 알림ㆍ소식 통합자료실

무역통계 누리집 unipass.customs.go.kr/ets > 통계자료실 정기간행물

 

또한관세통계의 수요자가 연도별 관세통계정보를 편리하게 조회 및 내려받기를 할 수 있고다양한 그래프와 도표 등 시각화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올해 12월까지 관세통계포털(가칭)’을 구축할 예정이다.

 

다음은 관세통계연보의 주요 내용 및 분석 사례.

 

<관세통계연보 주요내용>

 

 

 

 

2021 관세청 수입물품에 대해 62.2조원*의 세금을 징수하였다.

* 관세 8.2조원, 부가세 45.8조원, 기타내국세(개별소비세, 주세, 교육세, 교통.에너지.환경세, 농어촌특별세) 8.2조원

 

품목별로는 원자재(비중 52.9%), 자본재(29.1%), 소비재(18.0%) 이며, 그 중 원유(11.1%)가장 많은 세금부과하였다.

 

특히 관세의 경우, 품목별로는 원자재(비중 42.7%), 소비재(37.8%), 자본재(19.5%) 으로, 대륙별로는 아시아(53.2%), 유럽(14.9%), 중동(13.3%), 북미(8.8%) 으로 많이 부과하였다.

 

 

참 고

관세통계와 무역통계 연계 분석 사례

 

 (품목별) 관세액 TOP 5 vs 수입액 TOP 5

(단위 : 억원)

순위

관세액 TOP 5

수입액 TOP 5

품목

수입액

관세액

 

품목

수입액

관세액

 

평균부과율*

평균부과율

1

원유

775,444

17,503

2.26

원유

775,444

17,503

2.26

2

소고기

41,031

6,540

15.94

가스

357,484

4,276

1.2

3

섬유의류

122,005

5,478

4.49

반도체 프로세스와 콘트롤러

281,482

0

0

4

조제식품

79,022

5,282

6.68

메모리반도체

250,053

0

0

5

어류

58,026

5,077

8.75

반도체 제조용장비

248,764

0

0.01

 

* 평균부과율 = 관세액 / 수입액

 

▲ 2021관세가장 많이 부과된 품목원유로 관세액 17,503억원, 전체 관세부과액의 14.2%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는 소고기 6,540억원(5.3%), 섬유의류 5,478억원(4.4%), 조제식품 5,282억원(4.3%), 어류 5,077억원(4.1%)

 

- 수입액과 관세액 상위품목과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수입액 상위품목관세율이 낮기 때문

 

(국가별) 관세액 TOP 5 vs 수입액 TOP 5

(단위 : 억원)

순위

관세액 TOP 5

수입액 TOP 5

국가

수입액

관세액

 

국가

수입액

관세액

 

평균부과율

평균부과율

1

중국

1,602,376

31,507

1.97

중국

1,602,376

31,507

1.97

2

일본

631,124

19,920

3.16

동남아

1,079,110

11,581

1.07

3

중동

754,723

16,433

2.18

미국

844,573

10,226

1.21

4

동남아

1,079,110

11,581

1.07

EU

761,057

10,383

1.36

5

EU

761,057

10,383

1.36

중동

754,723

16,433

2.18

 

 2021관세가장 많이 부과된 국가중국으로 관세액 31,507억원, 전체 관세부과액의 25.6%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는 일본 19,920억원(16.2%), 중동 16,433억원(13.3%), 동남아 11,581억원(9.4%), EU 1383억원(8.4%)

 

- 일본은 수입액 순위는 6위이지만 우리나라와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지 않아 관세율이 높아 관세액 2를 차지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나홍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