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세 등 감세 혜택 수도권 독식…“지역불균형 심화”

통합투자세액공제 혜택의 80%, 연구인력개발비세액공제의 84% 수도권으로 흘러들어가
한병도 의원,“균형발전 촉진할 근본적인 세제개혁, 지방인프라 개선 시급”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3-10-16 10:27:33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우리나라의 법인세 납부 및 세액공제 현황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수도권의 경제력 집중현상이 매우 심각하고, 이에 따라 그간 기업투자 촉진을 위해 제공된 감세혜택도 수도권에 초집중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법인세 신고법인 총 982456개 가운데 30%(299581)가 서울 소재 법인이었다. 이들이 내는 법인세액은 총 45342억원으로 전체 부담세액(877949억원)51%를 차지했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으로 보면 법인세 신고법인 수의 60%, 전체 부담세액의 79%가 수도권에 집중됐다.

 

특히, 과표구간 200억을 초과하는 주요기업의 분포 격차는 더욱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세청이 한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과표 200억을 초과하는 기업 2,052개 중 48%982개가 서울에, 21%437개가 경기도에 소재하는 기업이었다.

 

기업이 받는 감세혜택도 수도권에 몰렸다. 지난 2년간(2021~2022) 통합투자세액공제에 따른 법인세 감면액은 모두 19337억원으로, 이중 80%에 해당하는 15480억원의 감세혜택이 수도권 기업에게 돌아갔다.

 

통합투자세액공제는 정부가 기업들의 투자를 늘리기 위해 2020년 세법개정을 통해 신설한 제도다. 기업이 시설에 투자하면 투자 금액의 일부를 법인세나 소득세에서 공제받을 수 있다.

 

지역별로 보면 지난 2년간 통합투자세액공제 혜택은 경기도(11615억원·60.1%)가 가장 많이 받았고, 이어 서울(3351억원·17.3%), 충남(726억원·3.8%) 순이었다. 이 밖에 강원·대전·광주·전남 등 대부분 지역이 받은 세제 혜택은 전체 비중의 1%에도 못 미쳤다.

 

기업의 연구개발(R&D) 확대를 유도하기 위한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 혜택도 수도권 차지였다. 지난해 기업이 받은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 혜택은 총 36173억원이었는데, 이 중 84%(3377)가 수도권 몫이었다. 마찬가지로 강원·광주·전북·전남·세종 제주가 받은 혜택은 0%대에 그쳤다.

 

향후 수도권의 세제혜택 쏠림 현상은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일 기획재정부가 낸 ‘24년도 조세지출예산서를 보면 비과세·감면을 통한 국세감면액은 올해 약 695000억원에서 내년 771000억원으로 76000억원 늘어난다. 산업·중소기업·에너지 분야의 감면액 증가폭이 두드러진다. 이들 분야의 분야 감면액 규모는 올해 192000억원에서 236000억원으로 43000억원(22.4%) 증가한다.

 

특히 정부의 기업 감세 정책에 따라 통합투자세액공제는 36000억원,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는 1696억원 각각 증가할 전망이다. 그간 관련 공제액의 80% 가량이 수도권에 몰렸던 점을 감안하면 해당 공제액 증가분의 대부분은 다시 수도권으로 흘러들어갈 가능성이 높다.

 

한병도 의원은 수도권의 심각한 경제력 집중이 결국 감세혜택의 수도권 집중으로 전이되고 있다균형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근본적인 세제개혁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별 법인 및 법인세액 분포(2022)>

지역

법인수()

지역별 비중

법인

총부담세액()

소계

982,456

100%

877,949

100%

서울

299,581

30.5%

450,342

51.3%

인천

40,868

4.2%

26,974

3.1%

경기

252,719

25.7%

219,026

24.9%

강원

21,445

2.2%

3,997

0.5%

대전

21,428

2.2%

12,482

1.4%

충북

26,769

2.7%

10,446

1.2%

충남

35,242

3.6%

19,650

2.2%

세종

5,152

0.5%

2,068

0.2%

광주

27,769

2.8%

10,763

1.2%

전북

29,707

3.0%

7,623

0.9%

전남

35,486

3.6%

13,947

1.6%

대구

29,360

3.0%

12,236

1.4%

경북

38,069

3.9%

16,008

1.8%

부산

49,138

5.0%

26,350

3.0%

울산

13,218

1.3%

9,323

1.1%

경남

43,094

4.4%

32,343

3.7%

제주

13,411

1.4%

4,370

0.5%

자료출처 : 국세청

 

<과표구간별 법인 분포(2022)>

(단위:)

구분

10%

(과세표준 2억원 이하)

20

(과세표준 200억원 이하)

22% 또는 25%

(과세표준 200억원 초과)

소계

862,316

118,088

2,052

서울

265,775

32,820

986

인천

35,267

5,536

65

경기

217,468

34,814

437

강원

19,412

2,019

14

대전

18,936

2,460

32

충북

23,258

3,454

57

충남

30,796

4,377

69

세종

4,629

512

11

광주

24,739

2,982

48

전북

26,722

2,966

19

전남

31,766

3,684

36

대구

25,683

3,632

45

경북

33,425

4,595

49

부산

42,834

6,223

81

울산

11,681

1,505

32

경남

37,640

5,393

61

제주

12,285

1,116

10

자료출처 : 국세청

 

<지역별 통합투자세액공제 수혜현황>

(,억원) 

구분

2021

2022

합계

법인수

공제액

법인수

공제액

공제액

비중

합계

3,976

3,696

7,853

15,641

19,337

100%

서울

323

1,443

656

1,908

3,351

17.3%

인천

236

120

453

394

514

2.7%

경기

1,700

918

3,128

10,697

11,615

60.1%

강원

77

24

150

89

113

0.6%

대전

54

29

124

104

133

0.7%

충북

188

141

354

324

465

2.4%

충남

234

221

453

505

726

3.8%

세종

19

20

50

36

56

0.3%

광주

86

33

211

82

115

0.6%

전북

104

58

198

151

209

1.1%

전남

123

45

277

87

132

0.7%

대구

83

97

221

171

268

1.4%

경북

208

148

481

337

485

2.5%

부산

168

104

343

199

303

1.6%

울산

62

119

131

203

322

1.7%

경남

276

169

580

338

507

2.6%

제주

35

6

43

16

22

0.1%

 자료출처 국세청


<지역별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 수혜현황>

구분

2022

 

법인수

비중

공제액

비중

합계

41,521

100%

36,173

100%

서울

11,148

26.8%

9,676

26.7%

인천

2,325

5.6%

1,398

3.9%

경기

14,698

35.4%

19,303

53.4%

강원

527

1.3%

209

0.6%

대전

1,135

2.7%

573

1.6%

충북

1,265

3.0%

794

2.2%

충남

1,528

3.7%

893

2.5%

세종

157

0.4%

134

0.4%

광주

677

1.6%

166

0.5%

전북

809

1.9%

244

0.7%

전남

838

2.0%

162

0.4%

대구

1,122

2.7%

424

1.2%

경북

1,370

3.3%

629

1.7%

부산

1,603

3.9%

574

1.6%

울산

448

1.1%

141

0.4%

경남

1,626

3.9%

812

2.2%

제주

245

0.6%

41

0.1%

(,억원)

자료출처 : 국세청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나홍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