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여성공무원 첫 '10만명' 돌파…20년새 2배↑
- 행정안전부,‘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 통계’책자 발간
- 문미정 | 11cushion@joseplus.com | 입력 2017-08-07 10:29:43
![]() |
행정안전부가 공개한 '자치단체 여성공무원 인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전국 지자체 여성공무원 수는 10만6천 12명, 전체의 34.9%를 차지했다.
여성공무원 비율이 높은 시·도는 부산시 38.9%, 서울시 37.9%, 경기도 37.2% 순이었으며, 강원도와 충청남도는 각각 30.4%, 41.5%로 여성 비율이 낮았다.그러나 17개 시·도 모두 여성공무원의 비율이 3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7급 공채 여성 합격자 비율은 전체 37%였고, 9급 공채는, 2005년 여성 합격자 비율이 처음으로 50%를 넘어선 후 지난해 58.2%를 기록해 역대 최고를 나타냈다.
공채시험의 여성강세로 인해 지난 한 해 동안 양성평등채용목표제에 따라 추가합격한 공무원은 남성이 156명으로 여성 61명보다 훨씬 많았다.
5급 이상 여성관리자는 지난해 2775명(12.6%)으로 1995년 604명(3.6%)보다 약 4배 증가했다. 4급 이상 관리자도 1995년 30명(1.2%)에서 2016년 268명(7.8%)으로 늘어나는 등 고위공직자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전남도에서는 지난달 정기인사에서 첫 여성 부시장(신현숙 광양부시장)이 탄생하기도 했다.
지자체 내 기획·예산·인사·감사·실국 주무과의 여성 비율도 2011년 11.6%에서 2016년 37.4%로 높아져 향후 여성관리자 비율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아울러 지난해 지자체 공무원 중 육아휴직자 수는 총 8458명으로 2006년 1826명보다 4배 이상 늘었다. 이중 남성 휴직자는 900명으로 2006년 95명보다 10배 가까이 증가했다.
□ 시도별 여성공무원 비율(%)
전체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106,012 (100%) | 18,669 (37.9%) | 6,920 (38.9%) | 3,934 (32.4%) | 4,786 (34.9%) | 2,648 (36.2%) | 2,500 (34.1%) | 2,178 (36.8%) | 467 (30.8%)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18,537 (37.2%) | 5,220 (30.4%) | 4,320 (32.6%) | 5,384 (31.5%) | 5,884 (35.6%) | 6,915 (33.6%) | 7,784 (30.6%) | 8,149 (35.3%) | 1,717 (32.0%) |
□ 시도별 여성관리자 비율(%)
전체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2,775 (12.6%) | 679 (20.8%) | 211 (15.0%) | 126 (12.8%) | 166 (13.0%) | 123 (17.0%) | 101 (15.0%) | 71 (12.8%) | 30 (12.9%)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426 (12.5%) | 108 (8.9%) | 96 (10.2%) | 79 (6.8%) | 118 (9.9%) | 114 (8.3%) | 123 (7.7%) | 126 (8.4%) | 78 (13.8) |
□ 시도별 주요부서(기획·예산·인사·감사 등) 여성공무원 비율(%)
연도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주요부서비율 | 42.5 | 44 | 37.3 | 38.1 | 40.9 | 35.4 | 46.5 | 23.6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39.5 | 33.4 | 34.1 | 29.5 | 30.9 | 34.5 | 29.7 | 36.9 | 32.1 |
□ 육아휴직 현황(명)
연도 | 2006년 | 2008년 | 2010년 | 2012년 | 2014년 | 2016년 |
인원 | 1,826 | 3,331 | 5,497 | 7,934 | 7,939 | 8,458 |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