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정책연구원, 2025년 2분기 ‘공인회계사가 본 경기실사지수’ 발표
- 2분기 현황 BSI 67로 1분기 대비 소폭 상승…미국의 관세부과, 새정부 정책 기대감 등 반영
-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5-06-25 10:37:22
![]() |
연구원에 따르면, CPA BSI는 경제와 산업 전반에 대한 전문지식과 경험이 있는 공인회계사(회계법인의 파트너급 이상 전업 회계사와 기업체 임원급인 휴업 회계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조사 결과 올해 2분기 경제 현황 BSI는 67, 3분기 전망 BSI는 88을 기록했다. 이는 올해 1분기(60) 대비 소폭 상승한 것으로, 글로벌 경기 회복 지연, 고물가, 고금리, 지정학적 리스크 증가로 전세계 소비 및 투자위축, 수출 수요 감소로 국내 수출과 내수에 전반적으로 부정적 영향 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 BSI는 100을 기준으로 100을 초과하면 경기 호전을 의미하며 반대로 100 미만이면 경기 악화를 의미함(범위: 0~200). |
또한 올해 3분기 전망 BSI(88)은 현황 BSI와 마찬가지로 경기가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으나, 전기 대비 소폭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어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대외환경 악화 가능성, 지정학적 리스크와 글로벌 공급망 이슈 해소 지연, 수출 동향 등 경기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많음에도 국내 정치 불안정이 해소되고 새 정부의 적극적 경기 대응 기대감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앞으로 1년간 우리나라 경제에 영향을 미칠 주요 세부 요인으로는 ▲글로벌 경기 흐름(41.3%) ▲세제 개편, 재정 지출 등 정부의 정책 변화(18.5%) ▲통화정책 방향 및 자금조달 환경 변화(8.7%) ▲원자재 가격 및 인플레이션(6.1%) ▲가계 및 기업 부채 수준(5.3%) 등을 꼽았다.
또한 산업별 현황 BSI는 조선(150), 금융(97), 정보통신(97), 제약⋅바이오(95) 등으로 조사됐으며, 조선업 외 대부분 산업에서 기준치(100)를 밑돌아 산업 현황이 부진할 것으로 평가됐다.
산업별 전망 BSI에서도 조선(144), 제약⋅바이오(109), 전자(104), 금융(102) 등으로 조사되어 산업 경기 개선을 기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석유화학업, 건설업, 유통업도 전기대비 높은 상승폭을 보였으나, 기준치(100)를 밑돌아 경기 회복세로 보기에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호에는 CPA BSI 조사 결과와 함께 경제전망에 대한 특별기고문 1편 및 미래 산업의 주요 이슈를 다룬 전문가 기고 2편도 함께 실었다.
한정석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부교수는 특별기고문 ‘CPA BSI의 발전적 방향에 관한 제언’을 통해 CPA BSI가 기존 주요 기관의 경기실사지수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GDP 성장률과 KOSPI 수익률 등과도 유의미한 선행성을 갖는 신뢰도 높은 경기 진단지표임을 강조했다.
아울러 회계전문가라는 독립적 응답자 집단의 구조적 특성이 기존 BSI와 차별화된 통찰을 제공하며, 향후 제도적 기반 정비 시 정책적 활용 가능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CPA BSI 23호의 자세한 내용은 회계정책연구원 홈페이지(www.kapri.or.kr)에 이달 말에 게재된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