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공공기관 세무조사 66건, 추징세액 2천724억원

2021년 12곳→2022년 24곳 2배 증가→지난해 30곳 증가추세
2021년 133억원→2022년 1천540억원 11.5배 증가, 지난해에는 1천51억원 기록
박성훈 의원, “공공기관 세금탈루 행위에는 철저한 조사는 물론 재발 방지 대책과 제도개선 시급”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4-09-24 10:42:41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최근 3년간 공공기관 세무조사에 따른 추징세액이 2724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사진-부산 북구을)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1~2023) 공공기관에 대한 세무조사 건수는 총 66건으로 추징세액만 2724억원으로 확인됐다.

 

연도별로는 202112곳이 세무조사를 받았는데, 2022년에는 24곳으로 2배 증가했으며, 지난해에는 30곳으로 더 늘었다.

 

추징세액은 2021133억원에서 20221540억원으로 11.5배 급증했으며, 지난해에는 151억원을 기록했다.

 

세무조사 1건당 평균 추징세액도 2021111천만원에서 2022642천만원으로 늘었으며, 지난해에는 35억원으로 나타났다.

 

국세청은 지난 2020년 공공기관의 성실납세신고를 지원하고 공공기관 직원들의 세무 전문역량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맞춤형 교육 서비스를 제공해왔지만, 탈루 행태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국세청은 공공기관별 추징세액과 추징사유는 개별 과세정보라는 이유로 공개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민간기업도 아닌 공공기관에 대한 정보마저 과세정보라는 이유로 공개하지 않는 것은 부실경영의 단초를 제공한다는 게 박 의원의 지적이다.

 

박성훈 의원은 "개별 과세 정보는 비공개가 원칙이라 해도 더욱 엄격한 잣대가 필요한 공공기관의 탈루행위까지 비공개 원칙을 고수한다는 것은 모럴해저드를 부추기는 무책임한 행정"이라면서 "공공기관들의 세금 탈루 행위에 대해서는 철저한 조사는 물론 재발 방지 대책과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3년간 공공기관 세무조사 추징세액 현황>

(, 억원)

구 분

합 계

’21

’22

’23

조사건수

66

12

24

30

부과세액

2,724

133

1,540

1,051

1곳당 평균

세액

41.3

11.1

64.2

35.0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나홍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