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 통관, 데이터 기반으로 더 편리해진다

관세청, 통관・관세・물류 12종 데이터를 「공개 API」 방식으로 추가 개방
관세무역데이터 「공개 API」 방식 활용 건수 ’16년 대비 1,650% 급증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3-11-10 11:12:18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관세청은 111()부터 수출물품 검사정보등 수출입 관계자들이 통관 업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12종을 공개 API방식으로 추가 개방했다고 밝혔다.

 

이전에는 통관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관세청 전자통관시스템에 매번 로그인해야 하는 등 여러 번거로움이 있었으나공개 API」 방식의 데이터 개방으로 수요자의 자체 프로그램에서도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한 것이다.

 ※ 관세청 공개 API 이용 방법 유니패스 접속(unipass.customs.go.kr), 로그인 → [My메뉴→ [서비스관리→ [OpenAPI 사용관리]에서 이용 신청

 

관세청은 지난 ’15년 화물통관 진행정보’ 등 19종의 데이터를 공개 API」 방식으로 개방한 이후 이를 점차 늘려 작년까지 42종을 개방했으며이번 개방을 통해 총 54종으로 대폭 확대하게 됐다.

 

그 결과 공개 API를 본격적으로 개방하기 시작한 ’16년도에는 16억건이던 데이터 활용 건수가 이후 급속히 증가해 올해말에는 약 280억건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이는 ’16년 대비 1,650% 증가한 수치이다.

 

 

관세청 공개 API 활용 현황(단위:억건) >

 

 

 

 

 

 

 

 

 

 

 

 

 

 

 

 

 

 

 

 

 

 

 

 

 

 

 

 

 

 

 

 

 

 

 

 

 

 

269

261

231

 

(10)

187

127

101

57

16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특히 이번에 추가로 개방한 데이터 12종은 수출입 통관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의무 이행관세 납부 및 화물 관리에 도움이 되는 정보로서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엇보다 적재지 검사 대상으로 지정된 수출물품의 검사 대상 여부검사 완료 여부 정보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어 이를 활용해 적재지 검사 미이행으로 인한 불이익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현이 가능하게 됐다.

적재지 검사 : 수출신고 수리 후물품을 선박·항공기에 적재하기 위한 장소에 놓아둔 상태로 검사하는 방식

적재지 검사 및 완료 여부를 확인하지 않아 검사 미이행으로 통고처분을 받는 경우가 빈번 발생

 

 

한편, 관세청은 지난 10월 5일 디지털 기술을 통해 관세행정을 변화시키고자 스마트 혁신을 중심으로 새로운 비전을 선포한 바 있다.

 

이번 데이터 개방 역시 스마트 혁신의 일환으로관세청은 앞으로도 공공·민간에서 필요로 하는 무역데이터를 추가로 발굴해 적극 개방할 예정이다.

 

 

< 공개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누구나 자신이 만든 웹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 등에 외부 기관이 제공하는 데이터를 가져와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

 

예를 들어, 기상청에서 공개 API 방식으로 날씨 데이터를 공개하면, 날씨 앱 개발자들이 이를 가져와 자신이 만든 앱에서 해당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서비스 가능

 

 

[관세청 공개 API 방식 신규 개방 데이터 내용]

 

관세청 공개 API 방식 신규 개방 데이터 내용

연번

구분

내 용

제공 정보

1

수출입

통관

수출물품 적재지 검사정보 제공

검사대상 여부(Y/N), 검사완료 여부(Y/N)

2

수출신고서 정정신청 처리상태 제공

정정신청 진행상태

3

재수출 이행 완료보고 처리정보 제공

처리상태(이행등록 완료여부), 처리일자, 이행의무종결사유

4

전자상거래 수출의 적재 이행 정보 제공

수출이행 여부(Y/N)

5

수입신고서 정정신청 처리상태 제공

정정신청 진행상태

6

재수출 조건부 수입의 수출이행 기한 정보 제공

연장 전 수출이행 기한,

기간연장 기한

7

HSK 10단위별 수출입 세부품명, 신고횟수 제공

HSK(10단위), 거래품명, 빈도수

8

제세

담보

수입 제세 납부여부 및 납부일자 정보 제공

납부여부(Y/N), 납부일자

9

담보해제 신청 처리현황 정보 제공

처리상태(접수/승인), 접수일시, 승인일시

10

화물

관리

항공입항 보고내역 제공

적하목록관리번호, 항공편명 등

11

보세구역별 외국물품 장치기간 정보

보세구역 부호, 장치기간

12

수입물품의 보세구역 반출신고 여부 제공

반출신고 여부, 반출(예정)일자

(전량 반출된 경우)

 

이용 방법 : 유니패스 접속(unipass.customs.go.kr), 로그인 [My메뉴] [서비스관리] [OpenAPI 사용관리]에서 이용 신청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나홍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