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선 의원, “재외한글학교 교사 중 비전문교사 71.3%”

김영호 기자 | kyh3628@hanmail.net | 입력 2016-10-13 12:10:37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2015년말에 실시된 재외한글학교 전수 조사에서 재외한글학교 교원 10명 중 7명 이상이 교원자격증이 없는 비전문 교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재외동포재단이 13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박주선 국회 부의장(국민의당, 광주 동남을)에게 제출한 재외한글학교 교원 현황자료를 보면, 2015년말 재외한글학교에 있는 총 14520명의 교원 중 비전문교원은 1348명으로 71.3%에 육박했다.

 

 

 

각 지역별로 보면, 교원자격증을 가지지 않은 비전문교사의 비율은, 중남미 84.7%(706명중 598), 아프리카/중동 73.9%(311명 중 230), 유럽 73.7%(875명 중 645), 북미 72.9%(9,134명 중 6,658), 대양주65.5%(780명중 511), CIS 64.6%(584명중 377), 아시아 62.4%(2,130명 중 1,329) 순이었다.

 

 

 

자료를 분석한 박주선 의원은 재외한글학교에서 교원자격증을 취득하지 못한 비전문교사 비율이 매우 높아 각 재외한글학교의 수업의 질 저하가 우려되고 있다면서, “재외 한글학교 교사들이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재외동포재단이 나서 제도적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함과 동시에, 교육현장에 적용해야 하는 표준적인 지식과 정보들을 제공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재단에서는 지금까지 한글학교 교사들에게 그 신분에 대한 어떠한 근거 서류도 제공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2017스터디 코리안넷웹사이트 내 인증과정 이수를 통해 한글학교 교사로서의 자질 향상, 이수증 발급으로 대한민국 재외동포재단에서 인증한 교사라는 사실을 입증하도록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재외동포재단의 연구용역 재외한글학교 교재분석(한국외대, 201410)’에 의하면 한글학교 교사의 경력은 1~5년이 33%로 가장 많았으며, 5~10/10년 이상이 경력자가 각각 31%, 1년 이하가 5%를 차지했다. 교사들의 거주국 체류기간은 10년 이상이 67%로 가장 많았고, 5~10년이 18%를 차지했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김영호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