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국세고지 ARS 간편조회」 관련 주요 문답(FAQ)

편집국 | news@joseplus.com | 입력 2023-09-18 10:00:17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참고 1

 

국세고지 ARS 간편조회관련 주요 문답(FAQ)

 

 

1.완납한 국세고지 내역도 조회할 수 있습니까?

완납한 자료는 조회할 수 없습니다. 납세자가 조회하는 시점에 미납된 고지세액이나 체납액이 있는 국세고지 내역만 조회가 가능합니다.

 

2.개인 납세자만 이용할 수 있고 법인 납세자는 이용할 수 없습니까?

과세자료 보호를 위해 휴대폰 인증이 필요하므로 개인 납세자(개인사업자 포함) 이용할 수 있으며, 법인 납세자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

종합소득세 중간예납, 부가가치세 예정고지, 종합부동산세 등 26종의 국세고지서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3.서비스 이용 시기와 시간은 어떻게 되나요?

365일 상시 이용할 수 있으며 이용시간은 오전 6시부터 오후 10시까지입니다.

 

4.ARS비밀번호 등록은 어떻게 합니까?

현재는 납부할 국세고지가 있어야만 ARS비밀번호 등록 메뉴*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향후에는 별도 메뉴를 만들어 언제든지 등록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ARS비밀번호 등록 메뉴 휴대폰 인증 비밀번호(6자리) 입력 및 확인

 

5.보이는 ARS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어떻게 합니까?

스마트폰 종류별로 보이는 ARS 구동용 앱을 설치한 후 이용해 보십시오.

 

폰 종류

안드로이드 폰 (삼성 갤럭시 등)

iOS (애플 아이폰)

설치 앱

손택스 앱, 금융 앱, 콜게이트 앱

손택스 앱

6.126(국세상담센터)으로 전화해도 국세고지 ARS 간편조회를 이용할 수 있나요?

126번에서는 국세고지 ARS 간편조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다만, “국세고지 메뉴를 클릭하면 1544-9944번으로 콜 전환이 되므로,
1544-9944에서 국세고지 ARS 간편조회 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참고 2

 

국세고지 ARS 간편조회로 조회 가능한 국세고지서 목록

26종 국세고지서 (최근 5년간 결의된 고지서의 세목코드 기준)

No.

세목명

No.

세목명

1

부가가치세 (정기, 예정고지, 수시 등)

14

기타소득세

2

종합소득세 (정기, 중간예납, 수시 등)

15

자녀장려금

3

종합부동산세

16

법인세

4

근로소득세()

17

과태료

5

사업소득세

18

이자소득세

6

양도소득세 (확정, 예정고지, 수시)

19

교육세(금융)

7

증여세

20

교통에너지환경세

8

퇴직소득세

21

주세

9

증권거래세

22

인지세

10

개별소비세

23

배당소득액

11

상속세

24

징계부가금

12

근로장려금

25

연금소득세

13

기타경상이전수입

26

교육비(보험)

 

참고 3

 

국세고지 및 납부 현황

국세고지 연령별 비중 현황 (최근 5)

[60대 이상 납세자] 지속 증가 추세 (’1823% ’2230%, 7%p )

[50대 납세자] 소폭 감소 (’1833% ’2231%, 2%p )

[40대 이하 납세자] 지속 감소 추세 (’1844% ’2238%, 6%p )

 

<최근 5년간 납세자의 연령별 비중 변화> [단위: 천 건]

연도

’18

’19

’20

’21

’22

전체 건수

8,936

 

8,999

 

7,018

 

6,616

 

9,695

 

60대 이상

2,078

23%

2,216

25%

1,979

28%

1,936

29%

2,957

30%

 

 

 

 

 

50

2,906

33%

2,912

32%

2,184

31%

2,060

31%

3,043

31%

 

 

 

 

 

40대 이하

3,952

44%

3,871

43%

2,855

41%

2,620

40%

3,696

38%

 

 

 

 

 

연령별 납부 현황 (’22)

[70] 인터넷뱅킹(38%), 은행(38%) 납부 선호

[60] 인터넷뱅킹(58%), 은행(17%) 납부 선호

[50] 인터넷뱅킹(63%), 신용카드 등(23%) 납부 선호

[40대 이하] 인터넷뱅킹(61%), 신용카드 등(30%) 납부 선호

 

<’22년 연령별 납부방법 비중>

구분

인터넷뱅킹

은행

ATM

신용카드 등*

70

38%

38%

14%

10%

60

58%

17%

8%

17%

50

63%

11%

3%

23%

40대 이하

61%

7%

2%

30%

* 신용카드, 홈택스 납부, 지로 납부

 

참고 4

 

세무서 방문 민원 현황

최근 5년간 세무서 방문민원 현황

세무서 방문민원감소 추세(’1812% ’222%, 10%p )

 

<최근 5년간 세무서 방문 민원 현황> [단위: 만 건]

연도

’18

’19

’20

’21

’22

전체민원 건수

5,157

 

7,477

 

11,812

 

13,777

 

19,646

 

방문민원 건수

612

12%

631

8%

722

6%

542

4%

450

2%

 

 

 

 

 

연령별 세무서 방문민원 현황

40대 이하 내방객 방문은 감소 추세 (’1843% ’2234%, 9%p )

50 내방객 방문은 소폭 감소 (’1832% ’2230%, 2%p )

60대 이상 내방객 방문은 증가 추세 (’1825% ’2236%, 11%p )

* 60대 이상 내방객의 주요 민원요청은 부가가치세과세표준증명, 납세증명서(기타용), 폐업사실증명, 소득금액증명, 임대차 정보제공 요청 등임

 

<최근 5년간 연령별 세무서 방문 민원 현황> [단위: 만 건]

연도

’18

’19

’20

’21

’22

합계

612

 

631

 

722

 

542

 

450

 

40대 이하

261

43%

255

40%

261

36%

193

36%

153

34%

 

 

 

 

 

50

199

32%

203

32%

235

33%

164

30%

133

30%

 

 

 

 

 

60대 이상

152

25%

174

27%

226

31%

185

34%

163

36%

 

 

 

 

 

 

출산율 저하, 고령화 등에 따라 60대 이상 내방객 비중 증가

 

 

 

참고 5

 

국세 납부방법 안내

구 분

주 요 내 용

금융기관
(수납창구, CD/ATM, 인터넷뱅킹 등)

(수납창구) 현금, 계좌이체, 가상계좌 납부

(인터넷뱅킹) 계좌이체, 가상계좌 납부

(CD/ATM) 계좌이체, 신용카드(분할납부불가), 가상계좌 납부

(ARS) 계좌이체, 가상계좌 납부

(공과금수납기)* 계좌이체 납부

* 금융기관에서 공과금 납부 전용을 위해 설치된 단말기

납부시간: 은행 운영에 따라 변동 가능

홈택스
(PC,모바일)

국세청 홈택스 납부(공동·금융인증서 접속)

- (접근경로) 납부고지환급세금납부납부할세액 조회/납부

국세청 손택스 납부(공동·금융인증서 접속)

- (접근경로) 신고납부국세납부납부할세액 조회/납부

계좌이체, 신용카드, 간편결제 납부

신용카드 납부대행 수수료*는 납세자가 부담

* 납부세액의 0.8%(체크카드는 0.5%)

페이코, 앱카드*, 카카오·네이버페이 이용자는 간편결제로 납부 가능

* 6개 카드사(KB국민·NH·롯데·삼성·신한·현대)

납부시간: 07:00~23:30*(연중 무휴)

* 22:00 이후 납부한 경우 납부결과는 다음날 07시부터 확인 가능

금융결제원(인터넷지로, 카드로택스)

금융결제원 사이트 납부(www.giro.or.kr, www.cardrotax.kr)

공동·금융인증서로 접속 후 기본정보(납세자 정보, 세목, 납부금액 등) 조회 또는 입력한 후 납부

계좌이체, 신용카드, 간편결제 납부

납부시간: 00:30~23:30(연중 무휴)

세무서
(무인수납
창구 등)

(무인수납창구)* 신용카드 납부

* 신용카드수납기로 납세자가 직접 이용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편집국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