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사회조사 결과 (복지.사회참여.문화와 여가.소득과 소비.노동)

편집국 | news@joseplus.com | 입력 2017-11-07 13:24:36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복지>

 

○ (생활여건의 변화) 전반적인 생활여건을 3년 전과 비교하였을 때, 41.1%가 좋아졌다고 응답함

 

○ (사회보험료 부담에 대한 인식, 19세 이상) 사회보험료(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납부 부담은 2년 전보다 감소함

 

○ (노후 준비방법, 19세 이상)  노후 준비를 하는 사람은 65.4%로 그 중 53.3%는 "국민연금"으로 준비함

 

○ (자녀와 동거 여부, 60세 이상) 고령자의 69.4%는 현재 자녀와 따로 살고, 향후에도 77.8%는 자녀와 따로 살고 싶어함 

 

○ (장애인 접촉) 지속적으로 관계를 유지하는 장애인은 가족(52.4%)이 가장 많음

 

<사회참여>

 

○ (사회적 관계망) 연령이 높아질수록 사회적 관계망은 좁아짐

 

○ (단체참여) 참여하는 단체 활동은 "친목 및 사교", "취미, 스포츠, 여가활동", "종교"순임

 

○ (기부) 기부 경험은 26.7%, 향후 기부 의향은 41.2%로 감소

 

○ (자원봉사활동) 지난 1년 동안 평균 8.3회, 25.6시간 자원봉사활동을 함 

 

○ (계층의식) 사회경제적 지위가 "중"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57.6%임

 

<문화와 여가>

 

○ (여가 활용) 주말에는 주중보다 "관광활동","문화예술관람"을 하는 사람이 많고, 향후 하고싶은 여가활동은 "관광활동"이 가장 많음

 

○ (여가 활용 만족 여부) 여가활동의 걸림돌은 대부분 "경제적 부담", "시간부족"임

 

○ (여행) 10명 중 7명은 국내 관광을, 3명은 해외 여행을 함

 

○ (신문 및 독서) 일반 신문보다 인터넷 신문을 더 많이 보고, 책은 1년에 17권 읽음

 

 

<소득과 소비>

 

○ (우선적으로 줄일 지출항목, 19세 이상 가구주) 긴축재정시에는 먹고, 입고, 보는것 순으로 

   소비를 줄이겠다고 함

 

○ (내년 가구의 재정상태, 19세 이상 가구주) 내년에는 가구의 재정상태가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26.5%임

 

 

<노동>

 

○ (직업 선택 요인) 직업 선택시 "수입(39.1%)"과 "안정성(27.1%)"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함

 

○ (여성취업에 대한 견해) 여성취업의 가장 큰 장애는 "육아부담"임

 

○ (일·가장 양립제도 인지도) 일·가장 양립제도 인지도는 2년 전보다 증가하였고, 그 중 출산(전후)휴가제를 가장 많이 알고 있음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편집국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