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한국형 전자통관시스템 수출로 개도국 관세행정 현대화에 기여
- 레소토 등 3개국에 관세행정 현대화 업무재설계(BPR) 사업 실시
탄자니아 등 5개국에 9,847만불 상당의 한국형 전자통관시스템 구축 중 -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3-12-27 14:24:22
![]() |
*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 조직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프로세스 중심으로 전 부분에 대해 재설계하고 구현하는 컨설팅 사업
<관세행정 현대화 지원 업무재설계(BPR) 사업 추진 현황>
’12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21년 | ’22년 | ’23년 |
탄자니아 | 콜롬비아 | 카메룬 | 가나 | 스리랑카 | 타지키스탄 | 나이지리아 | 몽골 | 가봉 | 우간다 | 보츠와나 | 레소토 |
캄보디아 | 볼리비아 | 에티오피아 | 온두라스 | 라오스 | 카자흐스탄 | 알제리 | 세르비아 | 튀니지 | 보스니아 | 조지아 | 아르메니아 |
미얀마 | 페루 | 니카라과 | 파라과이 | 키르기즈스탄 | 엘살바도르 | 요르단 | 모리셔스 | 자메이카 | 시에라리온 | | 도미니카 |
| 우즈베키스탄 | 과테말라 | | | 코스타리카 | 피지 | 수단 | 북마케도니아 | 가이아나 | | |
관세행정 업무재설계(BPR) 사업은 단순히 선진화된 관세행정을 전파해 개도국을 지원하는 의미를 넘어, 우리 통관제도에 익숙해진 상대국이 유니패스*를 도입하는 데에도 도움을 줌으로써 우리 수출기업에 우호적인 통관 환경을 제공하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유니패스(UNI-PASS) : 관세청이 개발한 한국형 전자통관시스템의 명칭으로, 현재까지 14개국에 약 3억 1천만불을 수출하고 있는 전자정부 수출 1위 시스템>
아울러 관세청은 올해 계약된 탄자니아(4,900만불)를 포함한 5개국에 9,847만불 상당의 유니패스를 구축 중*으로, 지금까지 총 14개국에 3억 1,336만불 규모의 유니패스를 보급하며 우리나라 전자정부 수출을 선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탄자니아(4,900만불, ’23.2~’26.1), 알제리(2,862만불, ’22.12~’25.12), 과테말라(531만불, ’22.5~’26.6), 파라과이(1,100만불, ’20.11~’24.12), 마다가스카르(454만불, ’22.5~’26.6)>
특히, 탄자니아 전자통관시스템(TANCIS*) 고도화 사업은 이미 ’14년에 유니패스를 기반으로 구축한 시스템을 클라우드 등 최신 기술을 접목하여 고도화하는 최초의 사례로서 그 의미가 크다.<* ’12년에 한국 관세청이 제공한 관세행정 업무재설계(BPR) 컨설팅을 거쳐 ’14년에 구축한 한국형 전자통관시스템으로, 탄지니아는 아프리카 국가 중 최초로 한국형 전자통관시스템을 도입해 통관소요시간 단축(평균 31일→15일), 세수 증대(연 평균 증가율 : 29%)의 성과를 거두고 있음>
관세청은 ’24년에도 아프리카 지역 등 관세행정 현대화에 대한 관심과 지원 요청이 많은 개도국을 중심으로 현대화 지원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우리나라의 선진화된 전자통관시스템을 지속 보급해 나갈 계획이다.<※ (시스템구축) 탄자니아 등 4개국(계속), 타지키스탄·북마케도니아(신규) / (BPR) 앙골라 등 3개국>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