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고소득 전문직종 사업자 14%가 최저생계비 미만 매출?
- 류성걸 의원, 고소득 전문직종 ‘소득 누락’ 의혹 제기
“엄정한 세무행정으로 공평과세원칙 지켜져야” -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0-10-12 15:02:28
![]() |
월 평균 250만원(연간3,000만원) 이하의 매출액은 작년 2019년 기준 4인 가구 월 최저생계비인 276.8만원에도 못 미치는 수준에 해당한다. 임대료와 인건비 등 사업상 필요한 제반 비용을 제외할 경우 저소득층(소득 하위20%) 월소득 177.7만원에도 못 미치는 금액에 해당되어, 사실상 매출 신고를 고의로 누락한 사업자가 상당수 있을 것이란 지적이다.
전문직종별 연평균 매출액은 회계사 19억원, 변리사 9.3억원,
감정평가사 8.4억원, 변호사 8.2억원 순
류성걸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주요전문직 사업자 매출 현황을 분석한 결과 평균 매출액이 가장 높은 직종은 회계사로 전체 2,092개 사업자 평균 매출액이 18억 9,700만원 수준으로 확인됐다. 이들 회계사 중 3,000만원 이하의 매출액을 신고한 사업자는 146명, 이들 평균 매출액이 800만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변호사의 경우 전체 7,722명 사업자의 평균 매출액은 8억 2,200만원이고 3,000만원 이하의 사업자는 1,292명, 평균 매출액은 900만원 수준으로 확인됐다. 전체 변호사 업무를 보는 사업자 중 17%가 3,000만원 이하의 매출액을 신고했다.
연간 3,000만원 중에는 신규 사업자 등록 및 고령화 등 매출이 실제로 미진한 사업장과 소득 신고를 누락한 사업자가 상당수 섞여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과세당국의 고소득 전문직종에 대한 철저한조사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국회 등에서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2019년 주요 전문직 사업자의 매출현황> (단위: 명,%,백만원)
구 분 | 계 | 변호사 | 회계사 | 세무사 | 관세사 | 건축사 | 변리사 | 법무사 | 감평사 | |
전체 | 사업자수 (A) | 51,813 | 7,722 | 2,092 | 12,640 | 1,246 | 19,240 | 1,069 | 6,611 | 1,193 |
평균 매출액 | 533 | 822 | 1,897 | 414 | 491 | 427 | 933 | 185 | 842 | |
3천만원 이하 | 사업자수 (B) | 7,337 | 1,292 | 146 | 823 | 109 | 3,722 | 143 | 964 | 138 |
평균 매출액 | 10 | 9 | 8 | 9 | 8 | 10 | 9 | 12 | 8 | |
비율 (B/A) | 14.2 | 16.7 | 7.0 | 6.5 | 8.7 | 19.3 | 13.4 | 14.6 | 11.6 |
* 주업종 기준 (겸업 사업자의 경우 다른 업종의 실적이 포함됨)
자료: 국세청
류성걸 의원은 “고소득 소득 누락자들에 대한 징수 노력은 강화하되, 보다 정교히 준비해서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과세당국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며 “엄정한 세무행정을 통해 공평과세원칙이 자리잡길 바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