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국가관세망 비상대응체계 및 재해복구시스템 긴급점검 착수

20일부터 화재, 단전 등 취약요인 및 재해복구시스템 집중 점검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2-10-20 15:06:17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관세청은 20일부터 관세청 국가관세망(유니패스및 이와 연계된 요건확인기관, 전자문서중계사업자, 사용자신고서비스사업자, 통신망사업자 등을 대상으로 비상대응체계 및 재해복구시스템에 대한 긴급 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 국가관세망은 60만개 이상의 기업과 2천만명 이상의 국민이 이용하는 전자통관시스템으로서연간 2,700만건의 수출입과 8,800만건의 전자상거래물품 통관을 24시간 365일 실시간으로 중단없이 처리하는 우리나라 무역물류의 핵심 인프라

 

이번 긴급 점검은 최근 카카오 서비스 장애 사태를 계기로 한 관세청장의 특별 지시에 의해 이뤄지는 것으로, ▲통상적인 화재, 단전 등 취약 요인 점검 이외에도 재해 등 비상사태 발생시 재해복구시스템(DRS) 전환 장애등급조치단계(장애대응조치 6단계)별 비상대응계획(컨틴젼시 플랜)도 세밀하게 점검할 계획이다

 

특히 이를 통해 발견되는 문제점과 개선필요사항에 대하여는 철저한 원인분석 후 신속하게 보완·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 DRS(Disaster Recovery System) : 천재지변이나 전산사고 등으로 인한 전산시스템 중단 등 비상사태에 대비하여 제3의 장소에 본 시스템과 유사하게 구축된 예비시스템 

장애등급(1~4등급) : 단순오류 일부시스템 정지 네트워크 중단 전면중단

 

이번 점검대상에는 국가관세망과 연계된 요건확인기관, 전자문서중계사업자 등도 포함함으로써 명실상부한 국가관세망의 내·외부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비상대응체계 점검이 이뤄지며, 이들 사업자들의 비상대응계획도 세밀하게 지도 점검할 예정이다.

 

 

외부 점검대상 기관 및 업체

 

 

 

정부기관국가정보자원관리원, 식약처·품질관리원 등 요건확인기관

전자문서중계사업자】㈜케이씨넷,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

사용자신고서비스사업자】㈜엔컴, 유한테크노스, 레디코리아 등

통신망사업자】㈜LG유플러스, KT

 

또, 긴급 점검과 더불어 실제 국가관세망 장애발생 시 신속한 대응조치 및 안정적 복구를 위하여 장애 유형별 비상대응 모의훈련을 실시하고, 동 훈련결과를 토대로 비상대응계획을 보완할 계획이다.

 

한편, 관세청은 재난·재해 등 비상상황 발생 시 국가관세망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복구될 수 있도록 재해복구시스템 관련 장비(서버 등)를 증설하여 재해복구시스템의 처리용량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는 한편지난 ’15년 도입된 현행 국가관세망의 노후화된 전산장비들을 ’23~‘25년에 걸쳐 교체하는 정보화 사업도 속도감있게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유영한 정보데이터정책관은 이번 긴급 점검과 모의훈련을 통해 발견된 문제점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개선·보완할 것”이라며, “우리나라 물류 및 무역 기간망이라고 할 수 있는 국가관세망이 비상상황에서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재해복구시스템을 중심으로 재난/재해 등 비상사태 발생시 대응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나홍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