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무사광고위 출범 “불법적 유도·제휴광고 등 엄격 규제할 것”

세무사회‘세무사광고규정’신설 따라 지난 15일부터 공식 활동 시작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4-03-21 15:21:04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한국세무사회 ‘세무사광고심사위원회’가 지난 15일 회의를 갖고 공식 출범했다.[사진=한국세무사회 제공]

지난 1월 한국세무사회 ‘세무사광고에 관한 규정’(이하 ‘세무사광고규정’) 신설에 따라 설치된 ‘세무사광고심사위원회’가 최근 공식 출범한 이후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1일 한국세무사회는 2월 말 이사회 의결로 선임된 임재경 세무사를 위원장으로 한 데 이어 지난 15일에는 백승호 간사를 비롯한 23명의 위원에게 위촉장을 수여함에 따라 ‘세무사광고심사위원회’가 공식 출범했다고 밝혔다.

 

한국세무사회에 따르면, 출범 첫날부터 광고 심사를 시작한 ‘세무사광고심사위원회’는 한국세무사회 역사상 처음 마련된 세무사광고규정에 따라 역시 처음으로 설치된 조직으로, AI 기술의 다양한 활용과 인터넷 매체를 통한 광고의 확대 등 급변하는 세무대리시장 질서를 보호하고 허위‧과장 광고는 물론 심각한 유도광고와 제휴광고로 인한 국민의 피해와 세무사들의 혼란을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세무사회는 지난해 말 고용증대세액공제 등 경정청구환급 과대광고로 인해 국민적 혼란과 세무사 회원들의 피해가 극심해짐에 따라 블로그, SNS, 문자 등을 이용해 유인 목적의 근거 없는 허위‧과대 과장 광고를 전면금지하는 한편 편법세무대리를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도록 불법 대리 제보대상을 대폭 확대하고 신고포상금을 500만원에서 최대 1,000만원으로 상향조정한 바 있다.
 

이어 올해에는 세무플랫폼 사업자의 환급 및 경정청구 유도광고 등 불법적인 사업모델을 차용해 허위‧과장 광고 등으로 세무사의 업무수행에 불신감을 심어주고 세무대리시장 질서를 문란케 하는 부당광고행위를 강력히 단속하기 위해 단속 기준을 구체적으로 규정한 ‘세무사광고규정’을 제정했다.
 

세무사광고규정에 따르면 ▲세무사의 공공성과 공정한 수임질서를 해치거나 객관적 사실에 부합하지 않거나 거짓된 광고 ▲소비자를 오도하거나 오인하게 하는 광고 ▲다른 세무사를 비방하는 등 세무사의 품위를 훼손하는 광고 ▲업무수행 결과에 대해 부당한 기대를 갖게하는 광고 ▲세무플랫폼, 금융회사 등과 제휴업체를 통한 광고 ▲ 환급업무를 대리하도록 유도하는 광고 등은 금지 및 단속 대상이며, 심한 경우 윤리규정에 따라 처벌될 수 있다.


이같은 세무사회의 광고기준과 업무정화활동은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는 상황이다.
세무법인 A는 납세자에게 경정청구 유인광고를 노출했으며, 세무법인 B는 SNS에 평균환금액을 광고 내용에 담았는데, 이는 모두 세무사광고규정에 따라 평균환급금액, 환급율, 절세율 등 소비자가 업무수행 결과에 대해 부당한 기대를 갖게 하는 광고에 해당해 세무사회의 시정요구에 따라 광고를 중단한 바 있다.


또, 세무사 C는 홍보물에 무료기장에 대한 이벤트 광고를 노출했는데, 이는 세무사광고규정에 따라 세무사 수임료에 관해 공정한 수임질서를 저해할 수 있는 광고로 세무사회는 세무사 C에 계도 조치하여 자체시정하게했다.
 

이처럼 세무사광고규정이 효과적으로 세무사업계에서 효과를 발휘하면서 그동안 환급대행 등 유도광고는 눈에 띄게 줄었으며 광고내용도 ‘전문성’을 홍보하는 내용으로 바뀌고 있다는 게 세무사회의 설명이다.


세무사광고심사위 활동과 관련해 초대 위원장을 맡은 임재경 세무사는 “선배회원들의 경륜과 후배회원들의 민첩함을 종합해 위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광고 심사에 반영하겠다”면서 “경륜 있는 위원 뿐만 아니라 사업현장에서 직접 뛰고 있는 많은 청년세무사들이 참여했으므로 현실성 있고 보다 진취적이며 전향적인 광고심사위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밝혔다.
 

한국세무사회 구재이 회장은 “세무사광고심사위가 본격가동되면 세무사와 관련업계의 광고질서가 대폭적으로 안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세무대리질서를 잘 준수하고 성실하고 역량 있는 회원은 제대로 지키되 저가보수로 호객행위를 하거나 유도 및 제휴광고로 이익을 보려는 탈취적 광고는 무관용 원칙으로 규제해 세무대리질서를 제대로 확립하는 광고심사위가 되어 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나홍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