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통계 콘텐츠를 활용하면 창업이 보인다”
- 국세청, ‘통계로 보는 생활업종’ 콘텐츠와 ’23년 3분기 국세통계 공개
-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3-09-25 12:00:57
![]() |
국세청은 25일 국세데이터 분석을 통해 예비창업자 등에 유용한 신규 콘텐츠를 국세통계포털(TASIS)에 새롭게 제공한다고 밝혔다.
국세청은 지난 5월, 최근 5년간의 100대 생활업종 데이터 분석으로 예비창업자·취업희망자 등에 도움이 되는 신규 통계*를 공개한 바 있다.<*지역별·업종별 사업자 수 증가율, 사업 존속연수별·성별·연령별 통계>
이번에는 100대 생활업종 통계를 보다 쉽고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도·그래프 등으로 시각화하여, 업종별·지역별 매출 수준 등을 알 수 있는 ‘통계로 보는 생활업종’ 콘텐츠를 서비스한다.
‘통계로 보는 생활업종’은 업종 또는 지역을 선택하고 연 매출액을 입력하면 업종별·지역별 매출 수준과 유형별 통계(사업자 수, 평균 사업 존속연수, 성별·연령별 비율)를 쉽고 편리하게 한 눈에 볼 수 있는 통계 콘텐츠*다.<*(매출 수준)’21년 귀속 종합소득세 총수입금액을 활용하였으며, ’22년 귀속은 2024년 2월 공개 예정>
『통계로 보는 생활업종』주요 내용 |
□‘통계로 보는 생활업종’ 중 업종으로 보는 생활업종은 이용자가 보고 싶은 업종의 매출 수준과 유형별 통계를 지역별로 비교·분석해 볼 수 있는 통계 콘텐츠다.
○이용자가 100대 생활업종을 선택하고 연 매출액을 입력하면, 지도를 통해 선택한 업종의 지역별(전국→시·도→시·군·구) 매출 수준과 유형별 통계를 알 수 있다.
○예를들어, ‘커피음료점’을 선택하고 연 매출액 1억 2,500만 원을 입력한 후 지도를 통해 전국,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중구 순서로 선택하면
지역별 매출 수준(서울특별시 중구 내 35% 이내)과 유형별 통계(사업자 수, 평균 사업 존속연수, 성·연령별 비율)를 볼 수 있다.
○이용자가 100대 생활업종을 선택하고 연 매출액을 입력하면, 지도를 통해 선택한 업종의 지역별(전국→시·도→시·군·구) 매출 수준과 유형별 통계를 알 수 있다.
○예를들어, ‘경기도 부천시’를 선택하고 연 매출액 3억 5,000만 원을 입력한 후 업종 메뉴에서 편의점을 선택하면
업종별 매출 수준(전국 70%, 경기도 70%, 부천시 75% 이내)과 유형별 통계(사업자 수, 평균 사업 존속연수, 성·연령별 비율)를 볼 수 있다.
『통계로 보는 생활업종』활용 방법 |
Q.정년퇴직 후, 제2의 인생을 준비하는 임 모씨(경기도 수원시 거주)는 주거지 인근에서 연 매출 2억 원 규모의 호프주점을 운영할 계획이나, 어느 지역에서 창업할지 고민 중이다.
A.업종으로 보는 생활업종에서 호프주점·연 매출 2억 원 입력 결과 경기도 △△시가 매출 수준과 사업자 수 등을 고려할 때 가장 적합한 지역으로 확인되는 등 창업 결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 |
Q.서울특별시 △△구에서 커피음료점을 운영하는 문 모씨는 주변에 늘어가는 커피음료점으로 인해 매출이 줄어들어, 연 매출 3억 원을 유지할 수 있는 다른 업종으로 변경을 고민 중이다.
A.지역으로 보는 생활업종에서 서울특별시 △△구·연매출 3억 원 입력 결과 패스트푸드점이 매출 수준과 사업자 수 등을 고려할 때 가장 적합한 업종으로 확인되는 등 업종 변경 결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 |
□이번에 3차로 공개(9.25.)하는 국세통계는 법인세 세액공제・감면과 접대비・기부금, 세금계산서 발급금액 등 77개로 국세통계포털(TASIS)에서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법인세 분야] ①’22년에 신고한 법인세 수입금액을 규모별로 보면 수입금액이 100억 원 초과인 경우 법인 수와 총부담세액은 각각 5.2%(5.1만 개), 88.1%(77.4조 원)를 차지하며, 1조 원 초과인 경우 각각 0.1%(529개), 53.4%(46.9조 원)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 ’22년에 법인세를 신고한 법인 수는 98.2만 개, 총부담세액은 87.8조 원 ②법인세 세액공제를 신고한 법인 수와 세액공제액은 17.3만 개, 13.6조 원*으로 5년 전(5.9만 개, 7.6조 원) 대비 각각 193.2%(11.4만 개), 78.9%(6조 원) 증가하였으며, 법인 수는 중소기업이 91.9%, 세액공제액은 일반법인이 73.5%의 비율을 차지함 * (중소기업) 15.9만 개, 3.6조 원. (일반법인) 1.4만 개, 10조 원 ※ 국세청은 법인세 세액 공제・감면을 받으려는 중소기업 등에 법인세 공제・감면 컨설팅 제도와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 사전심사 제도를 통해 기업 성장을 지원하고 있음 ③법인세 세액공제액을 항목별로 보면 중소기업은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1.5조 원), 고용을 증대시킨 기업에 대한 세액공제(1.2조 원) 순으로 많고, 일반법인은 외국납부 세액공제(5.5조 원),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2.1조 원) 순임 ④법인세 세액감면을 신고한 법인 수와 세액감면액은 24.5만 개, 1.9조 원*으로 5년 전(21.7만 개, 2.3조 원) 대비 법인 수는 12.9%(2.8만 개) 증가했지만, 세액감면액은 17.4%(0.4조 원) 감소하였으며, 법인 수와 세액감면액은 각각 중소기업이 99.9%, 78.9%의 비율을 차지함 * (중소기업) 245,158개, 1.5조 원. (일반법인) 188개, 0.4조 원 ⑤법인세 세액감면액을 항목별로 보면 중소기업은 중소기업에 대한 특별세액감면(1.1조 원), 창업 중소기업 등에 대한 세액감면(0.2조 원) 순으로 많고, 일반법인은 수도권 외 지역 이전 본사에 대한 감면(0.3조 원)이 가장 많음 ⑥법인세 접대비 신고 금액은 12.7조 원*으로 5년 전(10.7조 원) 대비 18.7%(2조 원) 증가하였으며, 중소기업이 71.7%의 비율을 차지함. 업태별로 살펴보면 제조업(3.8조 원), 서비스업(2.5조 원), 도매업(2.2조 원) 순으로 지출금액이 많음 * (중소기업) 9.1조 원, (일반법인) 3.6조 원 ⑦법인세 기부금 신고 금액은 4.4조 원*이며, 이 중 일반법인이 75%의 비율을 차지함. 업태별로 살펴보면 제조업(1.5조 원), 금융・보험업(1.1조 원), 서비스(0.5조 원) 순으로 지출금액이 많음 * (중소기업) 1.1조 원, (일반법인) 3.3조 원 |
[부가가치세 분야] ⑧’22년 전자세금계산서 발급금액(과세표준)은 4,311조 원으로 5년 전(3,226조 원)대비 33.6%(1,085조 원) 증가하였으며, 업태별로 살펴보면 제조업(1,797조 원), 도매업(802조 원), 서비스업(474조 원) 순으로 발급금액이 많음 ⑨’22년 현금영수증 발급금액은 156.2조 원으로 5년 전(116.5조 원) 대비 34.1%(39.7조 원) 증가하였으며, 업태별로 살펴보면 소매업(53.7조 원), 음식업(11.6조 원), 서비스업(10.4조 원) 순으로 발급금액이 많음* * 업태별 건당 현금영수증 발급금액은 전문직(105만 원)이 가장 많음 ⑩ ’22년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 수입금액은 365.7조 원으로 5년 전(284.2조 원)대비 28.7%(81.5조 원) 증가하였으며, 업태별로 살펴보면 개인서비스업(95조 원), 보건업(81.6조 원), 도매업(58.9조 원) 순으로 높음* * 업태별 사업장당 면세사업자 수입금액은 보건업(10.5억 원)이 가장 많음 |
앞으로도 국세청은 ‘국민의 국세청, 신뢰받는 국세행정’ 구현을 위해 통계 서비스를 확대하는 등 적극 행정을 실천하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