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미 관세 협상 후속 지원대책 발표해 기업의 관세 대응 적극 지원

구윤철 부총리, 대외경제장관회의서 관세협상 후속 지원대책 등‘신대외경제전략’발표 방침 밝혀
박정선 기자 | news@joseplus.com | 입력 2025-09-02 17:09:25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2일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로 인해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정부가 조만간 ‘미 관세 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발표해 우리 기업의 관세 대응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는 또 산업 경쟁력 강화 및 새로운 통상 환경 변화에 대응해 새 정부의 ‘신대외경제전략’을 조만간 구체화해 발표할 계획이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구 부총리는 또 이날 회의에서 한미 정상회담 및 한일 정상회담의 경제성과 성과를 설명한 후 후속조치 추진계획과 함께 시장 다변화를 위한 아세안 통상협정 추진현황 및 계획에 대해 논의했다.


구 부총리는 모두발언에서 지난 주 개최된 한미 정상회담은 한미 양국 간 경제·안보·첨단기술이 결합된 ‘미래형 동맹’ 관계로 발전하기 위한 전기를 마련한 것이라고 평가하며 “조선·원자력, 항공, LNG, 핵심 광물 등에서 2건의 계약과 9건의 MoU 체결 등을 통해 ‘한미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 교두보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또 3,500억불의 대미 투자 금융 패키지는 지난 7월 30일 큰 틀에서의 합의를 재확인한 의미가 있으며 세부 실행 방안 마련을 위한 양국 간 협의를 지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서도 “양국 간 경제 현안과 관련된 실질적인 논의들을 진전시킨 계기가 됐다”며, 경제안보 소통 강화, 수소·AI 등 미래산업 협력, 공통 사회문제 협의체 출범 등을 주요 성과로 꼽았다.


한편, 우리 공급망을 안정시키고 수출 시장 다변화를 위해서는 글로벌 3위 시장 규모를 가진 아세안과의 네트워크 고도화가 필수임을 강조하며 이를 위해 말레이시아·태국·싱가포르 등 아세안 주요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끝으로 구 부총리는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 속에서 조만간 ‘미 관세 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발표해 우리 기업의 관세 대응을 적극 지원하고 산업 경쟁력 강화를 꾀하는 동시에 새로운 통상 환경 변화에 대응한 정부의 ‘신대외경제전략’을 조만간 구체화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박정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