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첫해가 고비! 국세통계가 말해주는 생활업종 생존율
- 미용실, 펜션·게스트하우스, 학원, 편의점 순으로 생존율 높아
-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5-04-29 12:00:06
2017년 11월부터 국민의 실생활과 밀접한 100대 생활업종 사업자 통계를 생산·공개하고 있는 국세청이 이번에는 최근 5년(’19년~’23년) 100대 생활업종 통계를 분석하여 창업 후 사업을 지속하는 비율(이하 “생존율”이라 함)을 작성했다.
특히, 창업자 수가 많은 생활업종을 생존율 상위·하위 업종으로 구분‧제시하여 창업 업종 선택에 도움을 주고 있다.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100대 생활업종] 생존율 추이 |
□100대 생활업종 1년 생존율은 ’19년에서 ’22년까지 상승세를 보이다가 ’23년 다소 하락하였습니다.
○3년 생존율*은 ’21년 51.4%, ’22년 54.7%, ’23년 53.8%이고, ’23년 기준 5년 생존율은 39.6%이다.
* (예)’21년 기준 3년 생존율은 ’18년에 창업한 사업자 중 ’21년까지 계속 사업한 자의 비율임
2. [창업 관심 생활업종] 1년 생존율 상위·하위 업종 |
□100대 생활업종 신규 사업자 수가 많은 상위 20개 업종(창업 관심 생활업종)을 ’23년 기준 1년 생존율 상위‧하위 업종으로 구분해 보면,
○생존율이 높은 업종은 미용실(91.1%), 펜션·게스트하우스(90.8%), 편의점(90.3%) 순이며, 생존율이 낮은 업종은 통신판매업(69.8%), 화장품가게(74.2%), 식료품가게(77.3%) 순이다.
○생존율이 낮은 통신판매업, 화장품가게, 식료품가게는 각각 30.2%, 25.8%, 22.7%가 창업 후 1년 내에 폐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
![]() |
3. [창업 관심 생활업종] 3년 생존율 상위·하위 업종 |
□100대 생활업종 신규 사업자 수가 많은 상위 20개 업종(창업 관심 생활업종)을 ’23년 기준 3년 생존율 상위‧하위 업종으로 구분해 보면,
○생존율이 높은 업종은 미용실(73.4%), 펜션·게스트하우스(73.1%), 교습학원(70.1%) 순이며, 생존율이 낮은 업종은 통신판매업(45.7%), 분식점(46.6%), 패스트푸드점(46.8%) 순이다.
○미용실, 펜션·게스트하우스, 교습학원은 창업 후 3년까지 생존하는 비율이 70% 이상으로 100대 생활업종 3년 생존율 평균 53.8% 보다 크게 높다.
![]() |
![]() |
4. [창업 관심 생활업종] 연령대별 3년 생존율 상위·하위 업종 |
□각 연령대별 100대 생활업종 신규 사업자 수가 많은 상위 20개 업종을 대상으로 ’23년 기준 3년 생존율 상위‧하위 업종으로 구분해 보면,
○40세 미만 사업자는 미용실(73.9%), 40세 이상 60세 미만 사업자는 펜션·게스트하우스(73.8%), 60세 이상 사업자도 펜션·게스트하우스(76.3%)가 가장 높고, 40세 미만에서는 분식점(41.9%)이, 40세 이상 60세 미만, 60세 이상은 호프주점이 가장 낮다.
![]() |
□보다 자세한 100대 생활업종 생존율 통계는 국세통계포털(TASIS)에 게시하였으니 참고하기 바라며, 향후 생활업종 생존율 통계의 정기적 공개와 함께 국세통계연보 수록도 검토할 예정이다.
○앞으로도 국세청은 국민 실생활에 도움을 주는 통계를 지속적으로 발굴·공개하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붙임1 | | 3년 생존율 업종간 비교(’23년 기준) |
사례 1 | | 편의점이냐? 식료품가게냐? |
□편의점과 식료품가게는 동네 상권을 책임지는 대표적인 소매업입니다. 두 업종의 3년 생존율을 비교해 보면, 편의점이 69.1%, 식료품가게는 54.3%으로 두 업종 모두 생활업종 평균보다 높은 생존율을 보이고 있다. * 식료품가게 : 편의점 브랜드를 사용하지 않는 소규모 소매 점포 |
|
사례 2 | | 커피음료점 vs 치킨전문점 vs 피자·햄버거전문점 vs 제과점 |
□커피음료점, 패스트푸드점(피자·햄버거전문점, 치킨전문점), 제과점의 3년 생존율을 비교해 보면, 제과점(58.5%), 커피음료점(53.2%), 피자·햄버거전문점(51.0%), 치킨전문점(45.4%) 순이다.
|
|
□옷가게와 화장품가게의 3년 생존율을 비교해 보면, 옷가게는 54.3%로 생활업종 평균보다 높고, 화장품가게는 47.6%로 생활업종 평균보다 낮다. |
|
붙임2 | | [창업 관심 생활업종] 선호 업종 및 생존율 |
□ 개요
○ ①’23년 중 100대 생활업종 신규 사업자 수가 많은 상위 20개 업종을 선정한 후, ②각 업종 사업자의 ’23년 기준 1년 생존율 및 3년 생존율 산정
□ 창업 관심 생활업종 생존율
업 종 명 | | 업 종 명 | | ||||
1년 생존율 | 3년 생존율 | ||||||
⑪ | 미용실 | 91.1% | ⑪ | 미용실 | 73.4% | ||
⑳ | 펜션ㆍ게스트하우스 | 90.8% | ⑳ | 펜션ㆍ게스트하우스 | 73.1% | ||
⑬ | 편의점 | 90.3% | ⑫ | 교습학원 | 70.1% | ||
⑫ | 교습학원 | 90.0% | ⑰ | 스포츠교육기관 | 69.9% | ||
⑦ | 교습소ㆍ공부방 | 87.8% | ⑦ | 교습소ㆍ공부방 | 69.3% | ||
⑰ | 스포츠교육기관 | 87.6% | ⑬ | 편의점 | 69.1% | ||
⑤ | 피부관리업 | 86.0% | ⑤ | 피부관리업 | 67.3% | ||
⑲ | 일식음식점 | 85.3% | ⑥ | 실내장식가게 | 66.8% | ||
⑥ | 실내장식가게 | 83.7% | ④ | 부동산중개업 | 60.1% | ||
③ | 커피음료점 | 83.5% | ⑩ | 옷가게 | 54.3% | ||
⑧ | 패스트푸드점 | 82.1% | ⑯ | 식료품가게 | 54.3% | ||
| ↳ | 치킨전문점 | (80.7%) | ⑲ | 일식음식점 | 53.8% | |
| ↳ | 피자·햄버거전문점 | (84.1%) | ③ | 커피음료점 | 53.2% | |
⑭ | 기타외국식음식점 | 81.8% | ⑭ | 기타외국식음식점 | 51.1% | ||
⑱ | 중식음식점 | 81.0% | ② | 한식음식점 | 50.1% | ||
④ | 부동산중개업 | 80.7% | | ↳ | 일반한식점 | (50.1%) | |
⑨ | 분식점 | 80.4% | | ↳ | 고깃집 | (50.5%) | |
② | 한식음식점 | 80.3% | | ↳ | 면요리점 | (52.9%) | |
| ↳ | 일반한식점 | (80.2%) | | ↳ | 해산물요리점 | (50.9%) |
| ↳ | 고깃집 | (81.3%) | ⑱ | 중식음식점 | 49.4% | |
| ↳ | 면요리점 | (83.9%) | ⑮ | 화장품가게 | 47.6% | |
| ↳ | 해산물요리점 | (79.5%) | ⑧ | 패스트푸드점 | 46.8% | |
⑩ | 옷가게 | 78.6% | | ↳ | 치킨전문점 | (45.4%) | |
⑯ | 식료품가게 | 77.3% | | ↳ | 피자·햄버거전문점 | (51.0%) | |
⑮ | 화장품가게 | 74.2% | ⑨ | 분식점 | 46.6% | ||
① | 통신판매업 | 69.8% | ① | 통신판매업 | 45.7% |
* 업종명 앞 “” 은 ’23년 신규 사업자 수 순위
붙임3 | | [연령대별 창업 관심 생활업종] 선호 업종 및 생존율 |
□ 개요
○ ①’23년 중 연령대별(40세 미만, 40세 이상 60세 미만, 60세 이상) 100대 생활업종 신규 사업자수가 많은 상위 20개 업종을 선정한 후, ②각 연령대별·업종별 사업자의 ’23년 기준 3년 생존율 산정
□ 창업 관심 생활업종 생존율
40세 미만 | 40세 이상 60세 미만 | 60세 이상 | ||||||
업종명 | 3년 생존율 | 업종명 | 3년 생존율 | 업종명 | 3년 생존율 | |||
⑥ | 미용실 | 73.9% | ⑱ | 펜션ㆍ게스트하우스 | 73.8% | ⑦ | 펜션ㆍ게스트하우스 | 76.3% |
⑧ | 스포츠교육기관 | 70.7% | ⑬ | 미용실 | 72.9% | ⑩ | 편의점 | 68.6% |
④ | 피부관리업 | 70.6% | ⑨ | 편의점 | 71.2% | ⑭ | 채소가게 | 63.9% |
⑯ | 교습학원 | 70.2% | ⑥ | 교습소ㆍ공부방 | 71.1% | ⑥ | 옷가게 | 59.7% |
⑨ | 교습소ㆍ공부방 | 67.1% | ⑦ | 교습학원 | 70.9% | ⑤ | 실내장식가게 | 58.6% |
⑫ | 실내장식가게 | 67.0% | ⑤ | 실내장식가게 | 68.3% | ③ | 부동산중개업 | 57.8% |
⑳ | 사진촬영업 | 66.0% | ⑳ | 기술ㆍ직업훈련학원 | 65.9% | ⑫ | 노래방 | 57.3% |
⑲ | 편의점 | 65.3% | ⑪ | 피부관리업 | 62.4% | ⑧ | 식료품가게 | 54.9% |
⑱ | 제과점 | 57.5% | ④ | 부동산중개업 | 62.1% | ⑯ | 주차장운영업 | 54.7% |
⑬ | 부동산중개업 | 55.4% | ⑫ | 옷가게 | 57.3% | ⑲ | 당구장 | 53.8% |
⑭ | 일식음식점 | 53.2% | ⑮ | 식료품가게 | 55.7% | ④ | 커피음료점 | 53.7% |
③ | 커피음료점 | 51.8% | ③ | 커피음료점 | 54.8% | ⑳ | 여관ㆍ모텔 | 53.3% |
⑦ | 기타외국식음식점 | 50.8% | ② | 한식음식점 | 52.4% | ⑰ | 슈퍼마켓 | 53.1% |
⑰ | 중식음식점 | 50.4% | ⑰ | 기타외국식음식점 | 52.1% | ② | 한식음식점 | 52.1% |
⑪ | 옷가게 | 49.6% | ① | 통신판매업 | 51.6% | ⑨ | 분식점 | 51.0% |
⑮ | 화장품가게 | 46.8% | ⑩ | 패스트푸드점 | 49.7% | ⑱ | 중식음식점 | 45.5% |
② | 한식음식점 | 46.1% | ⑯ | 중식음식점 | 49.3% | ⑪ | 화장품가게 | 45.0% |
⑤ | 패스트푸드점 | 44.4% | ⑧ | 분식점 | 49.0% | ⑬ | 패스트푸드점 | 44.1% |
① | 통신판매업 | 43.5% | ⑭ | 화장품가게 | 48.8% | ① | 통신판매업 | 44.0% |
⑩ | 분식점 | 41.9% | ⑲ | 호프주점 | 46.7% | ⑮ | 호프주점 | 44.0% |
업종명에 밑줄 표기된 업종은 전체 신규 사업자 수 기준 상위 20개 업종에 포함되지 않은 업종
** 업종명 앞 “” 은 ’23년 신규 사업자 수 순위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