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세정보 노리는 해킹공격, 이제 AI로 막는다
- 국세청, 12월부터 AI 기반 사이버 보안관제 시스템 본격 가동
-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4-12-10 12:00:51
국세청은 해킹 등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납세자의 과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AI(인공지능) 기반의 사이버 보안관제 시스템을 구축하고 12월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 |
▲강민수 국세청장이 AI로 만든 가상 인간과 손을 맞대며 과학세정 정착을 위한 디지털 혁신 추진 의지를 다지고 있다. |
국세청은 2003년 보안관제 시스템을 최초 도입한 이후 IT(정보기술) 발전 속도에 맞춰 단계적으로 고도화하여 지능화되는 해킹공격을 빈틈없이 방어해 왔다.
그러나, 챗GPT의 등장으로 촉발된 AI기술의 급격한 발전은 업무효율 향상 등 일상에 다양한 편리함을 주는 한편, 해킹도구로의 악용 가능성도 열었다.
국세청에 따르면 챗GPT는 해킹 방법 등 악의적 질문에 구체적 답변을 하지 않도록 설계되었지만 이러한 기능을 우회하는 수법이 인터넷에 버젓이 공개되어 있어 일반인에게 해킹의 문턱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 북한이 AI로 제작한 정교한 해킹메일과 악성코드로 KF-21(한국형 전투기)에 장착할 미사일을 생산하는 독일기업을 해킹한 사례에서 보듯이 전문해커에게는 위협적인‘사이버 무기’로 악용되고 있다.
1 | | AI 해킹공격 AI로 방어 -국체성 제공- |
이러한 디지털 환경 변화와 새로운 보안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국세청은 그간의 사람 중심의 보안관제를 AI기반으로 전환하여‘AI를 이용한 해킹 공격은 AI로’막는 AI 사이버 보안관제 시스템을 도입했다.
사이버 보안관제는 보안위협 탐지, 분석, 대응, 전파 등 4단계를 거친다.
기존에는 해킹시도가 탐지되면 관제요원이 IP, 인터넷 주소(URL), 공격코드 등을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해 해킹 위험도가 높은 보안위협부터 처리하다 보니, 위험도가 낮은 보안위협을 대처할 여력이 부족했다.
이에 반해, AI는 동시 수만 건의 해킹 시도를 1초 이내에 빠르게 분석할 수 있어 대량의 공격시도가 발생해도 모든 보안위협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며, 공격 차단과 상황전파까지 사람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처리한다.
[ AI 사이버 보안관제 도입 후 변화 ]
구 분 | 기존 보안관제 | AI 보안관제 | |
위협 분석 | 동시 대응 | 1건(관제요원 1명당) | 수만 건(AI) |
분석 시간 | 건당 5분 이상 | 건당 1초 이내 | |
보안 조치 | 해킹공격 차단 | 수동 | 자동 |
보안위협 전파 | 수동 (관제요원이 피해 사용자에게 전화, 메신저로 안내) | 자동 (AI가 피해 사용자 PC화면에 알림창으로 안내) |
□ AI 보안관제 시스템에는 실제 해킹에 사용된 공격데이터를 학습시키고, 공격 유형별* 자동대응 절차를 만들었으며, 지난 10월 개통 이후 2개월간의 안정화 기간을 거쳤다.
* 디도스 공격, 악성코드 감염, 정보유출 시도, 비인가 접근시도, 홈페이지 변조 등
ㅇ 안정화 기간 동안 관제요원 10명의 몫을 톡톡히 해내며, 일일 평균 수백여 건의 보안위협을 정확히 분석하고 차단하여 한 건의 해킹사고도 발생하지 않았다.
ㅇ향후 운영과정에서 과세정보를 보다 안전하게 관리 할 수 있도록 AI 사이버 보안관제 시스템에 새로운 해킹 공격기법을 지속적으로 강화학습하여 분석 정확도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2 | | 과학세정, AI로 견인 |
□ 강민수 국세청장은 취임사에서 “모든 분야에 ‘과학세정’을 국세행정에 정착시키고 스마트한 국세청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힌바 있다.
ㅇ 이번 AI 기반 사이버 보안관제 시스템 도입은 정보보호 수준을 한 단계 높여 과학세정으로 가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도 국세청은 사이버 보안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최신 보안기술 도입, 보안시스템 확충 및 국세행정에 최적화된 보안정책 마련 등 적극행정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붙임 | | AI 사이버 보안관제 흐름도 |
![]() |
절 차 | ①해킹시도⇨②탐지⇨③분석⇨④차단⇨⑤보안위협 전파 |
역 할 | ○(AI시스템)해킹시도 분석, 차단 조치 및 보안위협 전파 ○(보안장비)해킹시도 탐지 및 차단 ○(관제요원)시스템 관리, 새로운 공격기법 AI 학습 |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