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중흥 이끈 숙종과 조세제도…'숙종, 태평성세(太平聖稅)를 이루다'

국세청, 국립조세박물관 특별전개관…12월 20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전시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2-12-20 12:00:53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국세청은 20일 국립조세박물관에서 특별전 숙종, 태평성세(太平聖稅)를 이루다개관식을 개최했다. 

  

국립조세박물관은 국세청이 우리와 밀접한 세금을 소재로 새로운 주제를 발굴하여 해마다 특별전을 개최하고 있으며, 2008수결을 시작으로 올해 15번째를 맞이하게 된다. 


 

이번 특별전은 양란 이후 어려움에 처한 사회·경제를 복구하고 조선 후기를 중흥으로 이끈 숙종의 조세정책과 다양한 업적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22년 12월 20일()부터 ’23년 6월 30일()까지 진행된다. 


 

다음은 숙종태평성세(太平聖稅)를 이루다」 특별전의 주요 내용이다.

 

 

 

특별전 주요 내용

특별전 전시 공간은 7개 주제로 구분하여 왕으로 태어난 남자, 이순 개혁을 위한 첫걸음, 왕권 강화 왕실 정통성의 확립 조세개혁, 조선의 태평을 이루다 군역체계 및 강역 정립 숙종 이야기 ⑦「메타버스체험 코너로 구성하였고

특히, 박물관 로비에 숙종의 일생과 업적을 주제로 한 디지털 실감 영상을 연출하여 박물관을 방문한 관람객의 특별전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흥미를 느끼도록 했다.

 

주요 전시유물로는 숙종이 탄생하면서 이름을 정했던 <휘망단자>, 왕세자 책봉 당시 받았던 <왕세자책봉옥인(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을 비롯하여 타고난 정통성으로 숙종이 보여준 강력한 왕권에 대한 <계붕당시(戒朋黨詩)를 적은 현판>, 군주에 대한 신하의 충심을 강조한 <제갈무후도(諸葛武侯圖)> 등이 있으며,

숙종이 선대 국왕들의 업적을 재평가하고 추승(雛僧)하는 과정을 통해 왕실의 정통성을 확고히 하는 것을 보여주는 왕과 왕비의 글씨와 글을 모은 <열성어제>, <열성지장통기>와 왕실 족보인 <선원계략기보> 등이 있다.

특히, 태조(太祖)의 계승자를 자처하며 왕권을 강화하고자 한 점을 반영하여 전주 경기전(慶基殿)<태조어진(국보 제317)> 영인본과 <태조금보>를 전시하고, 숙종이 59세 때 기로소에 들어간 것을 기념하여 그린 <기사계첩>을 관람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양란 이후 무너졌던 조선 사회를 복구하고 중흥으로 이끈 숙종의 백성을 위한 사회·경제적 개혁을 각종 유물과 문헌과 함께 면밀히 소개하였는데, 대동법의 전국 시행과 관련된 <대동사목>, 화폐인 <상평통보>와 양전(量田)사업에 대한 <양전등록>이 있으며

백성들에게 과도한 부담으로 인하여 숙종이 각별히 관심을 두고 해결하고자 한 군역(양역)과 관련된 <국조보감>과 군제 개편을 통한 우리나라 강역의 정립을 보여주는 <북한지>, <울릉도도형> 등을 전시했다.

 

이 밖에도 당시 백성들 사이에서 전해지던 다양한 이야기 속 주인공 숙종의 모습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유물인 <옥단춘전>과 여러 영상을 함께 전시했으며,

강력한 군주가 아닌 태평성세를 이룬 어진 임금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애묘인(愛猫人) 숙종의 금묘(金猫) 이야기등 인간적인 숙종의 다양한 모습을 만나 볼 수 있다.

 

□「메타버스 조세박물관플랫폼을 활용하여 온라인에도 특별전 가상공간을 구성하여 집에서도 실제 조세박물관을 방문하여 전시 유물을 관람할 수 있도록 했고,

특히 박물관을 방문한 어린이와 가족 관람객은 가상현실기기로메타버스 특별전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별도로 메타버스 체험공간을 조성했니다.

 

국세청은 앞으로도 국립조세박물관은 세금을 주제로 새로운 내용의 특별전을 개최하여 국민들에게 국세행정을 적극 홍보하고 다양한 문화체험의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특별전에 대한 자세한 내용 확인과 관람 예약은 국립조세박물관 누리집(www.nts.go.kr/museum/main.do)을 이용하면 된다.

 

참고

 

국립조세박물관 특별전 주요 전시 유물

 

전시유물

사 진

유 물 설 명

숙종왕세자책봉옥인

 


  

1667(현종 8) 숙종을 왕세자로 임명할 때 제작한 옥인으로 왕세자인王世子印이라 쓰여 있다.

휘망단자

 


  

현종(재위 16591674)이 원자(숙종) 이름을 낙점한 종이이다. , , 영 세 개의 후보 중 을 선택하여 그 위에 점을 찍었다.

선원계보기략

 


  

숙종 대 편찬하기 시작한 조선 왕실의 족보이다. 1908년까지 115차례에 걸쳐서 수정, 보완해 발행되었기 때문에 숙종 대 편찬한 것이 이후 왕실 족보의 본보기가 되었다

숙종경신역옥추안

 


  

1680(숙종 6) 일어난 역모 사건 관련자의 심문 내용을 담은 책이다. 허적, 허견, 윤휴 등 남인과 종친 복선군 등이 연루되었으며, 이후 김석주(1634~1684)를 중심으로 한 외척과 서인이 집권하였다.

기사계첩

 


 

1719(숙종 45) 59세가 된 숙종이 기로소에 들어간 것을 기념한 행사가 열렸는데, 여기에 참여한 관료들이 계를 조직해 만든 화첩이다. 행사는 1719년에 실시되었으나 화첩은 이듬해인 1720년 숙종 승하 후에 완성되었다.

열성어제

 


 

역대 국왕의 글인 어제를 모아 편찬한 책으로 인조仁祖(재위 1623~1649) 대 처음 간행했다. 숙종 대에는 누락되었던 정종, 단종, 예종, 중종의 시를 보완해 만들었다.

 

전시유물

사 진

유 물 설 명

국조보감

 


  

역대 국왕의 주요 업적을 모은 역사서로, 1711(숙종 37) 양역[군역]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해 만든 규칙 양역변통절목 수록하고 있다.

양전등록

 


  

171920(숙종 4546)에 전라도, 충청도, 경상도의 토지를 조사한 양전 결과를 기록한 책이다. 토지별로 조사·현황에 따라 토지에 세금을 부과하여 농민에게 세금이 부당하게 부과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전남도·영남대동사목

 


  

대동법 실시에 따른 시행 규칙을 엮은 책이다. 각각 1663(현종 4) 전라도 지역, 1678(숙종 4) 경상도 지역에서 대동법을 실시할 때 관계된 기구의 조직과 구성, 대동미의 부과와 징수, 용도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평통보

 


  

1678(숙종 4)에 발행하기 시작하여 조선 말까지 널리 사용된 동전이다. 조선 후기 상업이 발전하고 상품 유통이 활발해지면서 보다 편리한 상품 유통을 위해 화폐 발행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북한지

 


  

북한산성 축조에 참여한 승려 성능이 기록한 책이다. 북한산의 주요 지형, 북한산성의 연혁과 시설, 규모 등의 내용을 담았다. 책머리의 <북한도>를 통해 축성 직후 북한산성의 모습을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울릉도도형

 


 

1711(숙종 37) 박석창이 울릉도를 조사한 뒤 그린 지도이다. 16937년까지 울릉도의 영유권을 두고 일본과 분쟁이 일어난 것을 계기로 울릉도를 조선 영토로 확고히 하고자 했다. 울릉도의 지형을 표현하고, 해안가에 배를 댈 수 있는 곳 등을 표시했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나홍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