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기준시가, 오피스텔 0.3%↓ 2년 연속 하락, 상업용 건물은 상승 전환

오피스텔 최고가, 1㎡당 서울 강남구 ‘ASTY 논현’ 15,967천원
상업용 건물 최고가,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종합상가’ 25,948천원
국세청, 2025년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 고시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4-12-31 12:00:34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국세청은 31일,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61조와 소득세법 제99조에 따라 2025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와 개별 고시되지 않는 일반건물의 건물 기준시가 계산방법을 정기 고시했다. 

 

 

기준시가는 시가를 알 수 없는 오피스텔과 상업용 건물의 상속·증여세 및 양도소득세 과세에 활용되며, 재산세·종합부동산세와 같은 보유세 및 건강보험료 등 사회보험료 부과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재산세·종부세 및 건강보험료 등은 행안부의 시가표준액 적용

 

이번 고시 물량은 오피스텔 128만호, 상가 112만호 등 총 240만 호로 전년보다 5.1% 증가했으며, 기준시가는 오피스텔이 전년 대비 평균 0.30% 하락한 반면, 상업용 건물은 평균 0.51% 상승했다.

 

오피스텔은 고금리와 경기침체 등으로 인해 서울과 강원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2년 연속 하락했다. 1당 기준시가는 서울 강남구의 ‘ASTY 논현15,967천원으로 가장 높았고, 5년 연속 최고가였던 더 리버스 청담’(12,854천원)은 신축 오피스텔에 밀려 4위로 내려갔다.

 

상업용 건물은 외국인 관광객 등 유동인구 증가에 힘입어 서울광주 등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소폭 상승했다. 최고가는 송파구의 잠실주공5단지종합상가25,948천원으로, 전년도 최고가였던 동대문종합상가 디동(23,815천원)과 순위가 바뀌었다.

 

기준시가는 2024.12.31.()부터 열람*할 수 있으며, 기준시가에 이의가 있는 소유자나 그 밖의 이해관계자는 재산정을 신청할 수 있다.

*홈택스상담·불복·제보기타기준시가 조회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재산정 신청은 2025.1.2.()부터 1.31.()까지 가능하며, 접수된 물건에 대해서는 재조사하여 그 결과를 2025.2.28.()까지 통지할 예정이다.

 

1

 

2025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정기 고시

                                       -국세청 제공-

 국세청은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61조와 소득세법 제99조에 따라 매년 오피스텔 상업용 건물(이에 딸린 토지 포함)호별 기준시가 산정·고시하고 있습니다.

고시 대상은 <전국 오피스텔> <수도권, 5대 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에 소재하는 일정 규모(3,000또는 100) 이상의 구분 소유된 상업용 건물>입니다.

오피스텔·상업용 건물 기준시가는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에 대한 상속·증여세 양도소득세 과세 시 활용하게 됩니다.

상속·증여받은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은 상속개시일·증여일 현재의 시가로 과세하는 것이 원칙이나,시가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감정평가하거나 기준시가를 활용하여 신고할 수 있습니다.

또한, 취득 당시실지거래가액알 수 없는 재산을 양도하는 경우, 양도가액에서 차감하는 취득가액 계산에도 기준시가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 환산취득가액 =

양도당시 실지거래가액

×

취득당시 기준시가

양도당시 기준시가

참고로, 오피스텔·상업용 건물에 대한 취득세·재산세 종합부동산세건강보험료 등 사회보험료 부과시에는 행정안전부의 시가표준액 적용되며, 국세청에서 고시하는 기준시가활용되지 않습니다.

2. 고시현황

이번에 고시하는 기준시가는 2025.1.1. 이후 상속·증여하거나 양도하는 분부터 적용되며,고시되는 부동산의 가격조사 기준일2024.9.1.입니다.

고시하는 금액은 각 호별 단위 면적()당 가액으로,각 호별 기준시가고시가액에 해당 호의 면적(전용면적과 공유면적의 합)을 곱하여 산정한 금액으로 합니다.

고시 물량은 오피스텔 128만호, 상업용 건물 112만호 등 총 240만호 전년 대비 5.1% 증가하였습니다.

< 연도별 기준시가 고시현황 >

(단위:,)

시행

년도

오피스텔

상업용 건물

복합용 건물*

동수

호수

동수

호수

동수

호수

동수

호수

오피스텔

상업용건물

2025

34,168

2,406,504

12,793

401,157

12,393

970,779

8,982

1,034,568

882,590

151,978

2024

33,111

2,289,626

12,465

374,234

12,034

927,690

8,612

987,702

843,833

143,869

2023

31,764

2,162,068

12,018

353,492

11,583

874,227

8,163

934,349

800,915

133,434

2022

27,755

1,871,970

9,074

192,864

11,056

808,968

7,625

870,138

745,340

124,798

2021

24,132

1,565,934

10,658

205,570

8,575

630,989

4,899

729,375

631,145

98,230

* 복합용 건물: 1동의 건축물 내 오피스텔과 상업용 건물이 모두 있는 건축물

고시 가격오피스텔이 전년 대비 평균 0.30% 하락하여 2년 연속 내림세를 보였고, 상업용 건물평균 0.51% 상승하였습니다.

서울 오피스텔 상가 둘 다 상승하였으나, 대구, 인천, 울산, 세종 4개 지역은 오피스텔, 상가 모두 하락하였습니다.

 

< 연도별 기준시가 변동률 >

(단위:%)

시행일

구 분

전국

서울

경기

인천

대전

광주

대구

부산

울산

세종

'25.1.1.

오피스텔

-0.30

1.36

-0.51

-3.59

-0.13

-0.93

-4.37

-0.90

-0.91

-1.11

상업용 건물

0.51

0.85

0.75

-1.01

0.38

1.11

-0.43

0.02

-0.83

-2.83

'24.1.1.

오피스텔

-4.77

-2.66

-7.27

-4.44

-4.40

-5.58

-7.90

-1.93

-3.89

-1.78

상업용 건물

-0.96

-0.47

-1.05

-1.54

-2.21

-2.09

-2.25

-0.92

-3.19

-3.27

'23.1.1.

오피스텔

6.06

7.31

6.71

3.98

5.08

0.67

-1.56

2.90

0.38

-1.33

상업용 건물

6.32

9.64

5.10

2.39

2.07

1.27

2.21

3.89

0.61

-3.51

'22.1.1.

오피스텔

8.05

7.03

11.91

5.84

6.92

2.41

3.34

5.00

-1.27

1.22

상업용 건물

5.34

6.74

5.05

3.26

1.72

3.31

2.83

5.18

1.44

-1.08

'21.1.1.

오피스텔

4.00

5.86

3.20

1.73

3.62

1.01

0.73

1.40

-2.92

-1.18

상업용 건물

2.89

3.77

2.39

2.99

1.75

1.67

2.82

1.29

0.87

-0.52

 

< 지역별 기준시가 변동률 >

(단위:%)

구 분

오피스텔

상업용 건물

구 분

오피스텔

상업용 건물

전국

-0.30

0.51

세종

-1.11

-2.83

서울

1.36

0.85

강원

0.48

해당없음

경기

-0.51

0.75

충북

-1.52

인천

-3.59

-1.01

충남

-3.04

대전

-0.13

0.38

경북

-1.49

광주

-0.93

1.11

경남

-2.39

대구

-4.37

-0.43

전북

-0.25

부산

-0.90

0.02

전남

-2.33

울산

-0.91

-0.83

제주

-3.24

오피스텔전년보다 하락률둔화되기는 했지만, 고금리경기침체 등으로 인해 서울(1.36%)강원(0.48%)제외모든 지역2년 연속 하락하였습니다.

1당 기준시가는 서울 강남구의 ASTY 논현15,967천원으로 가장 높았고, ‘논현동 상지카일룸 M’14,826천원으로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5년 연속 최고가였던 더 리버스 청담(12,854천원)은 신축 오피스텔에 밀려 4로 내려갔습니다.

상업용 건물서울경기, 광주 등 일부 지역에서 소폭 상승세 또는 보합세를 보이고 있는데, 한국부동산원은 외국인 관광객 증가, 교통여건 개선 등에 힘입은 투자수요 증가를 그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광주(1.11%), 서울(0.85%)은 소폭 상승한 반면, 세종(-2.83%) 상권침체 등으로 6년 연속 하락하였습니다.

1당 기준시가는 송파구의 잠실주공5단지 종합상가25,948천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전년도 최고가였던 동대문종합상가 디동(23,815천원) 순위가 바뀌었습니다.

< 단위면적당 기준시가 전국 상위 5 >

오피스텔

(단위:천 원/)

순위

소재지

명칭

기준시가 (전년도)

1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ASTY 논현

15,967 (신규)

2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논현동 상지카일룸 M

14,826 (신규)

3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THE POEM

13,512 (신규)

4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

더 리버스 청담

12,854 (12,855)

5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더헤븐리치

11,793 (신규)

상업용 건물

(단위:천 원/)

순위

소재지

명칭

기준시가 (전년도)

1

서울시 송파구 잠실동

잠실주공5단지 종합상가

25,948 (25,371)

2

서울시 종로구 종로6

동대문종합상가 디동

23,815 (26,425)

3

서울시 종로구 종로6

동대문종합상가 비동

19,543 (21,685)

4

서울시 송파구 문정동

올림픽훼밀리타운아파트 상가1

19,252 (15,141)

5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은마상가 에이동

18,488 (17,398)

복합용 건물

(단위:천 원/)

순위

소재지

명칭

기준시가 (전년도)

1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펄세이

16,490 (신규)

2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루시아 도산 208

14,307 (13,415)

3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아츠 논현

13,816 (신규)

4

서울시 중구 신당동

디오트

13,753 (14,492)

5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PARK TEN 삼성

13,532 (13,685)

3. 고시 열람 및 재산정 신청 방법

열람 방법

2024.12.31.() 09:00부터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모바일 홈택스(손택스)에서 열람*할 수 있습니다.

* (접근경로) 홈택스상담·불복·제보기타기준시가 조회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재산정 신청 방법

2025년 기준시가에 이의가 있는 소유자나 그 밖의 이해관계자는 기준시가 재산정신청할 수 있습니다.

-국세청 누리집(www.nts.go.kr) 초기 화면(우측) 알림판 또는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 기준시가 조회화면 하단의 2025년 오피스텔·업용 건물 기준시가 열람 및 재산정 신청배너에 접속한 후

-(인터넷 신청) 화면 좌측 인터넷 재산정 신청메뉴를 선택하여 재산정 신청하거나,

-(우편 제출) 해당 화면에서 재산청 신청서서식을 내려받아 작성 후 관할 세무서에 우편 또는 방문하여 제출할 수 있습니다.

재산정 신청은 2025.1.2.()부터 1.31.()까지 가능하며, 접수된 물건에 대하여는 기준시가를 재조사하여 그 결과를 2025.2.28.()까지 통지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기준시가 열람 및 재산정 신청 등과 관련한 문의가 있는 경우 편리한 상담을 위해 전용 안내센터(1644-2828)2025.1.31.()까지 운영합니다.

2

 

2025건물 기준시가 계산방법정기 고시

1. 고시개요

국세청은 호별로 기준시가가 구분 고시되는 오피스텔 등을 제외한 일반 건물건물 기준시가 계산방법정기 고시합니다.

건물 기준시가 계산 방법

건물 기준시가는 신축가격기준액에 구조지수, 용도지수, 위치지수 등을 곱하여 산출하며, 상속증여의 경우 개별특성조정률을 추가로 반영하여 계산합니다.

건물 기준시가

당 금액*

×

평가대상 건물 면적

*금액건물 신축가격기준액×구조지수×용도지수

×위치지수×경과연수별 잔가율×개별특성조정률*

개별특성조정률은 상속.증여세만 적용하고, 양도소득세는 적용하지 않음

* 전체 기준시가=건물(건물 기준시가 계산방법에 따른 가격)+토지(개별공시지가×면적)

2. 주요 조정사항

건물 신축가격기준액 원자재 상승률 등을 반영하여 전년보다 2만원 상향하였으며, 공시가격 현실화율 및 과세 형평성 등을 감안하여 구조용도위치 지수조정하였습니다.

건물신축가격 기준액 : 850,000(전년도 830,000)

구조지수 조정

(단위:%)

번호

구 조 별

지수

’24

’25

2

목구조

125

120

5

연와조, 철골조, 보강콘크리트조, 보강블록조

97

95

6

시멘트벽돌조, 황토조, 시멘트블록조, 와이어패널조

95

90

용도지수 조정

(단위:%)

번호

대 상 건 물

지수

’24

’25

6

여관(모텔 포함)

117

112

11

일반상점

100

95

15

유흥주점, 카지노영업소 등

135

130

41

12종 근린생활시설

100

95

52

냉동냉장창고 외의 창고, 하역장, 물류터미널 등

80

75

위치지수 조정

(단위:%)

번호

건물부속토지의 당 개별공시지가

지수

’24

’25

11

300,000원 이상350,000원 미만

94

93

12

350,000원 이상500,000원 미만

96

94

13

500,000원 이상650,000원 미만

98

97

3. 건물 기준시가 자동계산 서비스 제공

건물 기준시가 자동계산 서비스 이용 방법

국세청은 건물 기준시가를 쉽게 계산할 수 있도록 홈택스(www.hometax.go.kr)모바일 홈택스를 통해 자동계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접근경로) 홈택스 상담·불복·제보 기타 기준시가 조회 건물 기준시가(상속·증여, 양도)

-건물 기준시가 조회화면에서 해당 건물의 건축물대장에 표기된 구조·용도·신축연도토지 공시지가입력하면 기준시가자동 계산됩니다.

또한, 계산사례 및 작성요령 등을 수록한 건물 기준시가 계산방법 해설책자20251월 중 국세청 누리집에 실을 예정이니, 건물 기준시가 계산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붙임 1

법적 근거 및 고시 범위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정기 고시

(법적근거) 건물의 종류.규모.거래상황.위치 등을 고려하여 국세청장토지와 건물의 가액을 일괄하여 산정.고시

- 상속세 및 증여세법61부동산 등의 평가1항 제3

- 소득세법99기준시가의 산정1항 제1호 다목

(고시지역)

-오피스텔: 전국

-상업용 건물: 수도권(서울.인천.경기), 광역시(대전.광주.대구.부산.울산), 세종시

(고시대상) 20248월 말까지 준공되었거나 사용승인된 것으로서, 구분 소유된 오피스텔 전체 및 일정 규모(근린생활시설·판매시설이 포함된 건물 면적이 3,000또는 100) 이상의 구분 소유된 건물 전체

해당 건물이 미분양이나 상권 퇴조 등으로 공실률과다한 경우는 고시 제외 (기고시 건물은 계속 고시)

건물 기준시가 계산방법정기 고시

(법적근거) 국토교통부에서 공시하는 개별·공동주택과 국세청이 고시하는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을 제외한 건물신축가격.구조.용도..신축연도 등을 고려하여 국세청장산정.고시

- 상속세 및 증여세법61부동산 등의 평가1항 제2

- 소득세법99기준시가의 산정1항 제1호 나목

 

 

붙임 2

단위 면적당 기준시가 전국 상위 5

오피스텔

(단위:천 원/)

순위

소재지

명칭

기준시가

(전년도)

1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ASTY 논현

15,967

(신규)

2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논현동 상지카일룸 M

14,826

(신규)

3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THE POEM

13,512

(신규)

4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

더 리버스 청담

12,854

(12,855)

5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더헤븐리치

11,793

(신규)

상업용 건물

(단위:천 원/)

순위

소재지

명칭

기준시가

(전년도)

1

서울시 송파구 잠실동

잠실주공5단지 종합상가

25,948

(25,371)

2

서울시 종로구 종로6

동대문종합상가 디동

23,815

(26,425)

3

서울시 종로구 종로6

동대문종합상가 비동

19,543

(21,685)

4

서울시 송파구 문정동

올림픽훼밀리타운아파트 상가1

19,252

(15,141)

5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은마상가 에이동

18,488

(17,398)

복합용 건물

(단위:천 원/)

순위

소재지

명칭

기준시가

(전년도)

1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펄세이

16,490

(신규)

2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루시아 도산 208

14,307

(13,415)

3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아츠 논현

13,816

(신규)

4

서울시 중구 신당동

디오트

13,753

(14,492)

5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PARK TEN 삼성

13,532

(13,685)

 

 

붙임 3

단위 면적당 기준시가 고시지역별 상위 3

서울

(단위:천 원/)

구분

소재지

명칭

기준시가

오피스텔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ASTY 논현

15,967

상업용 건물

서울시 송파구 잠실동

잠실주공5단지 종합상가

25,948

복합용 건물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펄세이

16,490

경기

(단위:천 원/)

구분

소재지

명칭

기준시가

오피스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힐스테이트 판교역(101)

6,477

상업용 건물

경기도 과천시 별양동

과천자이

9,366

복합용 건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라포르테 블랑 서현

10,238

 

인천

(단위:천 원/)

구분

소재지

명칭

기준시가

오피스텔

인천시 부평구 청천동

안에안

3,101

상업용 건물

인천시 중구 항동7

인천종합어시장

7,192

복합용 건물

인천시 서구 원당동

메가타워

4,210

대전

(단위:천 원/)

구분

소재지

명칭

기준시가

오피스텔

대전시 유성구 하기동

하기동제로에너지타운하우스1

3,174

상업용 건물

대전시 서구 도안동

도안레이크타워

8,095

복합용 건물

대전시 유성구 장대동

넥스투빌

5,221

광주

(단위:천 원/)

구분

소재지

명칭

기준시가

오피스텔

광주시 광산 쌍암동

첨단AM-STAY 센트럴파크

3,287

상업용 건물

광주시 광산 쌍암동

하이하이 첨단

5,004

복합용 건물

광주시 남구 봉선동

남양 휴튼 엠브이지

3,127

대구

(단위:천 원/)

구분

소재지

명칭

기준시가

오피스텔

대구시 수성구 범어동

수성 범어W 101

2,690

상업용 건물

대구시 중구 대신동

동산상가

16,802

복합용 건물

대구시 수성구 범어동

범어라온프라이빗 101

3,774

부산

(단위:천 원/)

구분

소재지

명칭

기준시가

오피스텔

부산시 해운대구 우동

매직텔

4,685

상업용 건물

부산시 수영구 남천동

비치아파트 A상가

11,612

복합용 건물

부산시 해운대구 중동

더 타임 해운대

6,206

울산

(단위:천 원/)

구분

소재지

명칭

기준시가

오피스텔

울산시 중구 반구동

로웰하우스

2,374

상업용 건물

울산시 북구 진장동

진장수산회센타

5,666

복합용 건물

울산시 남구 무거동

울산대 이즈플레이스

2,967

세종

(단위:천 원/)

구분

소재지

명칭

기준시가

오피스텔

세종시 소담동

새샘마을 7단지 오피스텔동

1,851

상업용 건물

세종시 다정동

세종 지웰 푸르지오 근린생활시설A

5,959

복합용 건물

세종시 대평동

Pentvill

3,707

 

 

붙임 4

기준시가 총액 전국 상위 5

기준시가 총액은 해당 건물의 기준시가에 고시면적을 곱하여 동별로 단순 합계한 금액임

오피스텔

(단위:억 원, )

순위

소재지

명칭

기준시가

고시 면적

1

서울시 송파구 신천동

롯데월드타워앤드

롯데월드몰 월드타워동

13,411

123,678

2

서울시 양천구 목동

하이페리온

5,519

83,744

3

서울시 송파구 문정동

송파파크하비오

푸르지오202

4,319

116,282

4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브라이튼 여의도 오피스텔

4,317

70,328

5

경남 창원시 성산구 대원동

더시티세븐

4,127

251,094

상업용 건물

(단위:억 원, )

순위

소재지

명칭

기준시가

고시 면적

1

부산시 해운대구 중동

엘시티랜드마크타워동

14,595

249,374

2

서울시 종로구 공평동

센트로폴리스

8,602

135,144

3

서울시 종로구 청진동

그랑서울

8,291

175,537

4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동

다산 현대프리미어캠퍼스

7,923

317,300

5

서울시 구로구 신도림동

디큐브시티 타워동

7,784

229,988

복합용 건물

(단위:억 원, )

순위

소재지

명칭

기준시가

고시 면적

1

서울시 양천구 목동

목동파라곤

8,603

132,414

2

서울시 용산구 한강로2

래미안 용산 더 센트럴

8,100

145,223

3

경기도 하남시 망월동

힐스테이트 미사역

그랑파사쥬(12-1BL)

8,012

228,472

4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분당두산위브파빌리온

7,976

194,432

5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하동

포레나 광교

7,667

160,382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나홍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