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2016년에 신용카드로 13조 7천억 원 썼다

쇼핑 7조, 숙박 3조, 음식 1조, 의료 5천억 원 등 지출, 2015년 대비 32% 증가
중국 8조 3천억(61%), 일본 1조 9천억(14%), 미국 1조 3천억 원(9%) 등 지출
김영호 기자 | kyh3628@hanmail.net | 입력 2017-02-23 09:49:32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문화체육관광부는 ㈜신한카드와의 협업을 통해 2016년 동안 외국인이 대한민국에서 사용한 신용카드[VISA, MASTER, American Express, JCB, 銀聯(은련)]의 사용 내역을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함께 분석해 발표했다. 이는 2016년도 외국인 입국자 1,724만 2천 명과 국내 거주 등록외국인 116만 2천 명의 외국카드 총 1,509만 7천 개의 사용 실적을 분석한 것이다. 
  
 이번 발표에 따르면, 2016년 중 외국인이 국내에서 사용한 신용카드의 총지출액은 13조 7천억 원으로서, 2015년도 10조 4천억 원 대비 32%, 2014년도 10조 9천억 원 대비 26%가 각각 증가했다. 이는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의 기저효과가 반영된 것이다. 


기저효과란 비교대상시점(기준시점)의 상황이 현재 상황과 너무 큰 차이가 있어 결과가 왜곡되는 현상을 말한다.
  
  국가별로는 중국 3조 8천억 원(61%), 일본 1조 9천억 원(14%), 미국 1조3천억 원(9.4%) 등의 순으로, 중국은 전년 대비 46.2% 증가해 입국자 수 증가율(34.8%)보다 11.4%포인트(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입국자 수는 230만 명으로 전년 대비 25% 증가해 2014년 수준을 회복하였으나, 신용카드 지출액은 1조 9천억 원으로 전년 대비 2.7%가 증가했다. 미국을 포함한 아메리카와 오세아니아는 1조 9천억 원으로 전년 대비 23% 증가해 입국자 수 증가율(14%)보다 높게 나타났다. 
  
  주요 부문별 2016년도 지출 내역은 ▲관광 관련 부문(쇼핑, 숙박, 음식 등 포함)이 약 10조 1천억 원으로 전년 대비 38.8% 증가했고, ▲스포츠 관련 부문(스키, 골프, 레저 등 포함)이 695억 원으로 전년 대비 33.9% 증가했다. ▲의료 관련 부문(종합병원, 성형외과 및 치과 등 개인병원 포함)은 5,1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8.7% 증가했으며, ▲문화체험 관련 부문(공연장, 이·미용업, 대중목욕탕 등 포함)은 934억 원으로 전년 대비 35.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 관련 부문에서는 ▲쇼핑 7조 2천억 원, ▲숙박 3조 4백억 원, ▲음식 1조 2천억 원 등의 순으로, 2015년에 비해 ▲쇼핑 28.6%, ▲숙박 14.9%, ▲음식 40.9%가 각각 증가했다. 쇼핑은 면세점 2조 1천억 원, 백화점 1조 2천억 원으로 2015년에 비해 각각 44.1%와 34.5% 상승했으며, 의류잡화 구매는 전년 대비 42.7%가 증가한 9천억 원, 할인점 및 편의점은 전년 대비 47.6%가 증가한 약 6천5백억 원을 기록해 외국인의 쇼핑 형태가 고가품에서 생필품 구입까지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를 보였다. 

 

숙박의 경우에는 특급호텔 2조 1천억 원, 1-2급 호텔 3천7백억 원, 기타 숙박시설 5천억 원 등의 순으로 조사되어 2015년에 비해 각각 31.5%, 26.1%, 36.5%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료 관련 부문의 경우, 중국은 2,906억 원, 아메리카 및 오세아니아는 792억 원, 유럽은 495억 원을 지출했다. 의료 부문의 업종별로는 개인병원 2,540억 원, 종합병원 1,715억 원, 치과병원 306억 원 등을 사용했으며, 서울지역에서 4,021억 원(78.5%)을 집중적으로 사용했다. 그 중 서울 강남구에서 1,933억 원이 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김영호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