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조세회피처 투자 100억달러 넘어... 전체 해외투자의 15%

해외금융계좌 미신고 금액, 8천364억원으로 전년보다 2배 이상 증가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2-10-10 10:02:05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케이맨제도·파나마 등 조세회피처로 꼽히는 지역에 대한 국내 기업·개인 등의 직접투자가 지난해 100억달러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강준현 의원(사진-더불어민주당, 세종을)이 한국수출입은행에서 받은 해외직접투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조세회피처에 대한 직접 투자액은 1121천만달러였다. 이는 전체 해외직접투자 금액(7644600만달러)14.66%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조세회피처는 개인이나 법인에 대한 세금을 매기지 않거나 세율이 매우 낮은 곳을 말한다. 자료는 케이맨제도, 파나마, , 오만, 피지 등 20202월 유럽연합(EU)이 조세회피처로 발표한 지역을 기준으로 작성됐다.

 

조세회피처에 대한 직접투자 금액은 2012181200만달러에서 2016473800만달러, 2019867100만달러 등으로 최근 10년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 해외직접투자 대비 조세회피처 투자 비율도 20126.10%에서 201611.65%, 201913.32% 등으로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조세회피처 투자 중 상호출자제한기업 등 대기업의 투자액이 581100만달러로 절반 이상(51.8%)을 차지했다. 대기업 투자액은 대부분 케이맨 제도(579400만달러)로 갔다.

 

중소기업 투자액은 211500만달러(18.9%), 개인은 4800만달러(0.4%)였다. 국내에서 조세회피처로의 송금도 늘었다.

 

강 의원이 받은 한국은행의 '조세회피처 송금 현황' 자료에 따르면 케이맨제도·버뮤다·바하마 등 조세회피처로의 송금액은 지난해 2635천만달러로 전년(2041천만달러)보다 29.1% 증가했다.

 

강 의원은 조세회피처로의 투자나 송금이 모두 탈세 목적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조세회피처로의 투자가 탈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관련 추이를 주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했다.

 

국세청의 역외탈세 세무조사 실적을 보면 부과세액이 20128258억원에서 20161372억원으로 증가한 이후 지난해까지 5년간 13천억원 내외를 기록하는 등 역외탈세가 고착화하는 양상이다지난해 해외금융계좌 미신고 금액은 8364억원으로 전년(3999억원)보다 2배 넘게 늘었다.

 

국세청은 역외 자산 양성화를 위해 해외금융계좌 잔액 합계액이 매월 말일 중 어느 하루라도 5억원을 초과한 경우 계좌 정보를 신고하도록 하는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미신고 시 금액에 따라 형사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

 

강준현 의원은 "조세회피처에 대한 투자 및 송금 확대는 국내 자본의 해외유출 측면과 더불어 탈세, 탈루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아지는 것"이라며 "국세청은 관계기관과 정보 교류를 확대하고 미신고 해외금융계좌를 파악하는 등 역외탈세를 막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나홍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