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미국 비특혜원산지 판정 대응 체크포인트 제2편 – 자동차부품」 배포
- 생소한 ‘비특혜원산지 기준’에 대한 실무 활용 중심 안내로 기업 부담 완화
- 박정선 기자 | news@joseplus.com | 입력 2025-05-16 10:35:27
관세청은 16일 한국원산지정보원과의 협업으로 자동차부품에 대한 「미국 비특혜원산지 판정 대응 체크포인트」를 제작,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등을 통해 관련 기업에 제공했다.
이는 지난 4월 30일(수) 공개한 철강제품에 이은 두 번째 사례집으로, 5월 3일부터 미 행정부가 미국 품목번호(HTS) 4∼10단위 기준 130개의 자동차부품에 대해 25% 추가 관세를 시행함에 따라 대미 수출기업의 원산지 대응을 지원하고자 마련한 것이다.
미국은 우리나라 자동차부품의 최대 수출시장으로, 2024년 기준으로 연간 2천 6백여 개사의 약 152억 불에 상당하는 대미 수출 자동차 부품이 25% 추가 관세의 대상*이 된다.
* 추가 관세 대상 여부는 관세청이 4월 18일(금) 발표한 ‘자동차 부품에 대한 미국 품목번호(THS)와 한국 품목번호(HSK) 연계표’를 통해 확인 가능
배포된 자료는 LED 부품, 전기차 충전 케이블 등 자동차부품에 대한 최근 미국의 원산지 판정 사례를 중심으로 ‘비특혜원산지 기준’을 상세하게 설명하여, 기업들이 원산지 판정에 참고할 수 있도록 했다.
‘비특혜원산지 기준’은 최근 발표된 품목별 관세, 상호관세 등에 적용하는 미국 자체기준으로, 명시된 기준이 없고 사례 중심의 정성적 판단에 따르고 있어 우리 기업들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제도이다.
그동안 한-미 FTA 원산지기준에 따라 ‘한국산’으로 수출하던 물품이라 하더라도, 비특혜원산지 기준으로 ‘제3국산’으로 판정되면 고세율의 관세가 부과될 수도 있어 기업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관세청이 공개한 「미국 비특혜원산지 판정 대응 체크포인트」는 관세청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관세청 FTA포털(https://www.customs.go.kr/ftaportalkor/main.do)
고광효 관세청장은 “관세청은 ‘미국 관세행정 대응 및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한 관세청 특별대응본부’를 중심으로 맞춤형 기업지원에 총력을 기우리고 있다”고 언급하며, “앞으로도 우리 수출기업이 비특혜원산지 관리를 잘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