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시효 완성으로 소멸하는 국세체납액 8.8조 원…국세 누계체납액은 107조 원
- 최기상 의원, 세수결손 상황에 국민 피해 줄이기 위해 체납세금 징수 위한 대책 필요
- 박정선 기자 | news@joseplus.com | 입력 2024-10-09 10:57:52
![]() |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최기상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소멸시효가 완성된 체납 세금은 8조 8천억 원이고, 2024년 6월 기준 국세의 누계체납액은 107조 원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세기본법에 따르면 5억 원 미만의 국세는 5년, 5억 원 이상의 국세는 10년이 지나면 징수권의 소멸시효가 완성되어 세금을 걷을 수 없다. 연도별 국세징수권의 시효 만료로 소멸한 체납액은 2019년 3,399억 원, 2020년 13,411억 원, 2021년 28,079억 원, 2022년 19,263억 원, 2023년 24,251억 원으로 나타났다[표1].
세목별로 살펴보면, 5년간 소멸 시효가 완성된 체납액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세목은 부가가치세로 전체의 41.7%를 차지했으며, 그 다음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세목은 소득세로 전체의 32.6%, 법인세 10.3% 순으로 나타났다[표2].
2024년 6월까지 누적된 체납 건수는 5,172,940건, 체납 금액은 107조 7천억 원에 이른다. 이 중에서 징수 가능성이 낮은 ‘정리 보류 체납액’은 89조 9천억 원으로 전체의 83.5%에 달하며, 징수 가능성이 높은 ‘정리 중 체납액’은 17조 7천억 원으로 전체의 16.5%에 불과하다[표3]. 금액별 구분으로는 5억 미만 누계체납액이 439,150억 원이며 체납 인원은 120만 명에 달하고, 5억 이상 누계체납액은 637,855억 원이며 체납 인원은 3만 4천여 명인 것으로 나타났다[표4].
이와 관련하여 최기상 의원은 “2년 연속 수십조 원의 세수 결손이 발생하여 중앙정부, 지자체와 교육청의 재정사업에 큰 차질이 예상되는 상황에 소멸하는 체납액의 규모가 큰 상황”이라며, “체납 징수 역량을 강화하고, 악성 체납자에 대한 강제징수와 행정제재를 강화하는 등 체납 세금 징수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소멸시효 완성 현황(2019년~2023년)
(억 원)
구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합계 | 3,399 | 13,411 | 28,079 | 19,263 | 24,251 |
- 자료: 국세청
세목별 소멸시효 완성현황(2019년~2024년 6월)
(억 원)
구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6 |
합계 | 3,399 | 13,411 | 28,079 | 19,263 | 24,251 | 10,064 |
부가가치세 | 1,560 | 5,662 | 11,526 | 8,234 | 9,905 | 4,179 |
소득세 | 1,003 | 4,377 | 8,858 | 6,184 | 8,407 | 3,483 |
법인세 | 305 | 1,311 | 2,556 | 2,046 | 2,883 | 1,152 |
상속·증여세 | 33 | 240 | 504 | 327 | 374 | 161 |
기타 | 493 | 1,821 | 4,635 | 2,472 | 2,682 | 1,089 |
- 자료: 국세청
누계체납 관리 유형별 체납액 현황(2019년~2024년 6월)
(건, 억 원)
구분 | 누계체납액 | 정리중체납 | 정리보류 | |||
건수 | 금액 | 건수 | 금액 | 건수 | 금액 | |
2019년 | | | 2,302,542 | 92,844 | | |
2020년 | | | 2,185,899 | 95,284 | | |
2021년 | 4,858,022 | 998,607 | 2,229,736 | 114,536 | 2,628,286 | 884,071 |
2022년 | 4,992,052 | 1,025,140 | 2,617,929 | 155,673 | 2,374,123 | 869,467 |
2023년 | 5,248,272 | 1,060,597 | 2,963,980 | 177,491 | 2,284,292 | 883,106 |
2024.6 | 5,172,940 | 1,077,005 | 2,899,644 | 177,555 | 2,273,296 | 899,450 |
*누계체납액은 2021년부터 통계생성
- 자료: 국세청
누계체납 금액별 체납액 현황(2019년~2024년 6월)
(명, 건, 억 원)
구분 | 5억미만 | 5억이상 | ||||
인원 | 건수 | 금액 | 인원 | 건수 | 금액 | |
2021년 | 1,244,025 | 4,560,853 | 427,780 | 31,488 | 297,169 | 570,827 |
2022년 | 1,293,898 | 4,691,549 | 431,123 | 32,039 | 300,503 | 594,017 |
2023년 | 1,303,500 | 4,930,143 | 437,403 | 33,259 | 318,129 | 623,194 |
2024.6 | 1,205,337 | 4,842,464 | 439,150 | 34,046 | 330,476 | 637,855 |
*누계체납액은 2021년부터 통계생성
- 자료: 국세청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