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여간 기재위 소관 기관에 대한 해킹시도 3,397건
- 유성걸 의원, 재정정보 유출 예방 위한 선제적 예방책 마련 필요
-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3-09-05 11:04:04
![]() |
해킹시도는 국내외를 합쳐 2018년 531건, 2019년 1,380건, 2020년 560건, 2021년 278건, 2022년 278건 등 감소추세를 유지했으나 올해 7월 기준 370건으로 급증하면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5년여간 발생한 해킹시도 3,397건 중 2,795건(82.2%)은 해외 발이었으며, 올해 발생한 해외 발 해킹시도는 327건(88.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여간(2018-2023.7월) 기재위 소관 기관 해킹시도 현황>
(단위 : 건)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7. | 합계 | |||||||
531 | 1,380 | 560 | 278 | 278 | 370 | 3,397 | |||||||
국내 | 국외 | 국내 | 국외 | 국내 | 국외 | 국내 | 국외 | 국내 | 국외 | 국내 | 국외 | 국내 | 국외 |
103 | 428 | 246 | 1,134 | 93 | 467 | 73 | 205 | 44 | 234 | 43 | 327 | 602 | 2795 |
자료: 한국재정정보원
최근 5년여간(2018-2023.7월) 기관별 해킹시도 현황으로는 한국조폐공사가 778건으로 가장 많았고, 기획재정부(668건), 한국투자공사(660건), 한국은행(361건), 한국재정정보원(281건), 조달청(254건), 한국수출입은행(205건), 통계청(133건), 관세청(120건) 등의 순이었다.
<기재위 소관 기관별 해킹시도 현황>
(단위 : 건)
구분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7. | 합계 |
기획재정부 | 86 | 183 | 112 | 64 | 68 | 155 | 668 |
관세청 | 29 | 52 | 22 | 10 | 2 | 5 | 120 |
조달청 | 24 | 138 | 42 | 13 | 24 | 13 | 254 |
통계청 | 9 | 48 | 46 | 16 | 13 | 1 | 133 |
한국은행 | 29 | 113 | 61 | 36 | 42 | 80 | 361 |
한국투자공사 | 142 | 343 | 54 | 33 | 38 | 50 | 660 |
한국수출입은행 | 21 | 61 | 33 | 18 | 30 | 42 | 205 |
한국조폐공사 | 188 | 435 | 122 | 12 | 6 | 15 | 778 |
한국재정정보원 | 3 | 7 | 68 | 76 | 55 | 9 | 218 |
합계 | 531 | 1,380 | 560 | 278 | 278 | 370 | 3,397 |
자료: 한국재정정보원
국가별로는 미국(683건), 중국(677건), 네덜란드 (152건), 러시아(100건), 독일(93건), 일본(46건), 기타 국가(1,044건) 등의 순이었다. 특히 올해 발생한 국외 해킹 시도 327건 중 174건(53.2%)이 중국발 해킹 시도인 것으로 드러났다.
<기재위 소관 기관 대상 국가별 해킹시도 현황>
(단위 : 건)
구분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7. | 합계 |
국외 합계 | 428 | 1,134 | 467 | 205 | 234 | 327 | 2,795 |
미국 | 123 | 249 | 169 | 54 | 58 | 30 | 683 |
중국 | 68 | 303 | 71 | 34 | 27 | 174 | 677 |
러시아 | 5 | 41 | 11 | 22 | 11 | 10 | 100 |
네덜란드 | 46 | 35 | 22 | 8 | 22 | 19 | 152 |
독일 | 11 | 28 | 9 | 18 | 14 | 13 | 93 |
일본 | 18 | 10 | 3 | 6 | 6 | 3 | 46 |
기타* | 157 | 468 | 182 | 63 | 96 | 78 | 1,044 |
자료: 한국재정정보원 *기타: 싱가포르, 홍콩, 영국, 캐나다, 프랑스
한편, 유형별 해킹시도 현황은 유해IP주소 접속이 1,451건으로 가장 빈번했으며, 웹접근시도(1,129건), 웜/바이러스(749건), 스캐닝(60건), DDoS(8건) 등이 뒤를 이었다.
<기재위 소관 기관 대상 유형별 해킹시도 현황>
(단위 : 건)
구분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7. | 합계 |
웜/바이러스 | 274 | 354 | 57 | 30 | 30 | 4 | 749 |
DDoS | 4 | - | - | 2 | 1 | 1 | 8 |
스캐닝 | 19 | 7 | 19 | 9 | 6 | - | 60 |
웹접근시도 | 106 | 496 | 206 | 101 | 103 | 117 | 1,129 |
유해IP주소 접속 등 | 128 | 523 | 278 | 136 | 138 | 248 | 1,451 |
합계 | 531 | 1,380 | 560 | 278 | 278 | 370 | 3,397 |
자료: 한국재정정보원
류성걸 의원은 “재정정보를 노린 해킹시도가 다시금 증가세로 돌아서 우려가 된다”며 “재정정보 유출은 국가의 곳간을 내어주는 격이기 때문에 인력과 예산을 추가 배치하는 등 선제적 예방책을 마련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