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수출액 역대 최고치 경신…’21년 6,400억달러 넘어, 새로운 수출역사 달성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1-12-13 12:23:55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관세청산업통상자원부는 131136분 집계 결과, 올해 연간 수출액이 기존 수출 최대실적인 ’18년의 6,049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대실적을 경신했다고 밝혔다.<* 역대 연간 수출규모(달러) : (1)6,400(’21e), (2)6,049(’18), (3)5,737(‘17)>

 

이 같은 실적은 ’64년 첫 수출 1달러를 달성한 이후 ’77(100달러).‘95(1,000달러).’18(6,000달러)에 이어, ’21년이 연간 수출액 최고기록을 달성하며 1956년 이래 66년 무역 발자취에 새로운 한 획을 그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우리 무역의 발자취 : (‘56)무역통계 작성(‘64)수출 1달러(’77)수출 100달러(’86)무역수지 최초 흑자전환(’95)수출 1,000달러(’11)무역 1달러, 수출 5,000달러(’18) 수출 6,000달러(‘21) 수출 최고치

 

사상 최대 수출실적 달성의 원동력

올해 11월까지 누계 기준으로 과거 최대 수출을 기록한 ’18년과 수출액을 비교할 경우 271달러 상회했다.<* 1~11월 누계 수출액 : (’18) 5,567달러 (‘21) 5,838달러 (+271달러)>

 

’18년을 넘어 역대 최대의 수출실적을 달성할 수 있었던 원동력으로
주력 수출산업의 주도적 역할, 수출 품목의 약진, 수출 품목 고부가가치등을 꼽을 수 있음

 

. 주력산업 수출의 견조한 증가

 

우리나라가 주요국 대비 빠른 회복세를 나타내며 사상 최대 수출 실적을 달성할 수 있었던 것은 탄탄한 제조업 경쟁력을 바탕으로 주력산업 수출이 견조하게 성장하였기 때문

 

ㅇ 코로나19 상황에서도 국내 생산 차질을 최소화하는 가운데, 반도체조선자동차 등 주력 산업은 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에서의 지위를 공고히 다졌으며,

 

ㅇ 세계 경기 및 수요 회복에 맞춰 발 빠르게 대응한 결과, 주요 산업이 모두 두 자릿수대 가파른 수출 증가율을 보였음

 

 

주력 산업의 글로벌 수출 경쟁력 현황

 

 

 

 

(반도체) 메모리 반도체 시장 점유율 1위 유지(1~9월 기준, OMDIA)

 

국적별 글로벌 시장 점유율(달러)

기업별 글로벌 시장 점유율(달러)

국 가

‘18

‘19

‘20

‘21.1-9

(잠정)

1

한국

1,016

657

729

728

(61.7%)

(58.4%)

(56.9%)

(58.9%)

2

미국

445

323

366

326

(27.0%)

(28.7%)

(28.6%)

(26.3%)

3

일본

118

92

112

98

(7.2%)

(8.2%)

(8.7%)

(7.9%)

4

대만

60

45

54

59

(3.6%)

(4.0%)

(4.2%)

(4.8%)

기 업

‘18

‘19

‘20

‘21.1-9

(잠정)

1

Samsung
Electronics

655

431

469

469

(39.8%)

(38.3%)

(36.6%)

(37.9%)

2

SK Hynix

359

225

259

259

(21.8%)

(20.0%)

(20.2%)

(21.0%)

3

Micron
Technology

297

199

222

215

(18.0%)

(17.7%)

(17.3%)

(17.4%)

4

KIOXIA
Corporation

114

87

108

94

(6.9%)

(7.8%)

(8.4%)

(7.6%)

 

(자동차) 각 국별 누적 수출액 기준(ITC 통계*) 5대 수출국 지위 유지

 

* ITC통계 : WTO와 국제연합무역개발회의(UNCTAD)의 공동산하기구인 국제무역센터(ITC : International Trade Center)에서 발표하는 국제무역통계

’19

’20

’211~9

순 위

수출액

순 위

수출액

순 위

수출액

1

독 일

1,434달러

1

독 일

1,222달러

1

독 일

1,017달러

2

일 본

980달러

2

일 본

810달러

2

일 본

639달러

3

미 국

562달러

3

미 국

456달러

3

미 국

412달러

4

멕시코

506달러

4

멕시코

395달러

4

멕시코

-

5

캐나다

407달러

5

한 국

356달러

5

한 국

327달러

6

한 국

405달러

6

캐나다

323달러

6

스페인

252달러

* 21년 멕시코 수출 실적은 발표

 

(조 선) 올해 1~11월 기준, 전세계 LNG선과 친환경 선박에 대한 우리나라의 수주량이 모두 1를 차지(클락슨)

 

LNG67척 중 62을 우리나라가 수주하였고(93%), 친환경 선박 전체 수주량 1,623CGT 64%1,045CGT를 수주

 

올해 수출액*2이며, 시장 점유율은 전년대비 확대(ITC 통계)

 

 

* 수주에서 수출까지는 통상 2~3년이 소요되어, 수주 순위와 수출액 순위가 상이함

’20

’211~9

순 위

수출액

점유율

순 위

수출액

점유율

1

중 국

217달러

20.7%

1

중 국

181달러

23.7%

2

한 국

187달러

17.8%

2

한 국

158달러

20.6%

3

일 본

109달러

10.3%

3

일 본

78달러

10.2%

4

이탈리아

56달러

5.4%

4

이탈리아

62달러

8.1%

5

독 일

54달러

5.1%

5

네덜란드

47달러

6.1%

 

(전기차 배터리) 우리 기업들 모두 전년 동기대비 두 배 이상 성장하면서, 우리나라는 세계 점유율 2위 순위를 유지 (SNE 리서치)

순위

기업명

사용량(GWh)

‘201~9

‘211~9

증감률

1

CATL

19.2

61.3

219.3%

2

LG에너지솔루션

19.3

43.3

124.4%

3

파나소닉

17.9

25.5

42.5%

4

BYD

6.0

15.4

156.7%

5

SK ON

4.6

10.1

119.6%

6

삼성 SDI

5.2

8.4

61.5%

* 연도별 세계 시장 점유율 국가 순위

‘19: (1) 중국, (2) 일본, (3) 한국 // ‘20: (1) 중국, (2) 한국, (3) 일본

‘21: (1) 중국, (2) 한국, (3) 일본

 

 

 

(디스플레이) OLED9월 누계 기준 절대적인 시장 지배력 유지(OMDIA)

 

ㅇ 기업별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60.4%,
LG디스플레이가 22.7% 차지

OLED 시장 점유율(금액 기준)

국 가

‘19

‘20

‘21.1~9

1

한 국

89.4%

86.9%

83.1%

2

중 국

9.8%

12.2%

16.0%

3

일 본

0.3%

0.5%

0.5%

4

대 만

0.4%

0.3%

0.3%

 

 

(스마트폰) 작년 4분기 2위였던 우리 업체는 올해 들어 3분기 연속으로 시장 점유율 1위로 부상(카운터포인트 리서치)

 

[ 주요 업체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순위 ]

구 분

삼 성

샤오미

애 플

오 포

비 보

‘204분기

216%

311%

121%

49%

58%

‘211분기

1 22%

314%

217%

411%

510%

‘212분기

1 18%

216%

315%

410%

510%

‘213분기

1 20%

313%

214%

510%

410%

 

(SSD) ’1711위에서 단기간에 세계 1위 국가로 부상(ITC 통계)

’17

’18

’19

’20

’211~9

순위

점유율

순위

점유율

순위

점유율

순위

점유율

순위

점유율

11

1.9%

7

7.0%

2

15.3%

1

25.0%

1

28.8%(추정)

 

SSD 수출은 작년 처음으로 100달러를 돌파했는데, 올해 1~11누계 수출액은 전년대비 +26.0% 증가하며 역대 최고 수출 흐름 지속

 

 

* SSD 수출액(달러) : (‘18)71.4(’19)49.9(‘20)100.6(’21.1~11)116.8(+26.0%)

 

(TV) 우리 기업들이 올해도 세계 시장의 1, 2위를 점유 (OMDIA)

 

주요 업체별 TV 시장 점유율 순위

‘20년 연간

‘211~9(OMDIA)

기 업

점유율

기 업

점유율

1

삼성전자

31.9%

1

삼성전자

28.7%

2

LG전자

16.5%

2

LG전자

18.4%

3

소니

9.1%

3

소니

9.4%

4

TCL

7.4%

4

TCL

8.6%

5

하이센스

7.1%

5

하이센스

8.0%

 

. 수출 유망 품목의 약진

 

반도체, 자동차, 석유화학 등 전통산업 바이오, 농수산, 화장품 등으로 수출 품목의 세대전환이 진행되면서 주력품목 집중도*는 낮아짐

 

* 13대 주력품목의 수출 집중도 : (‘11) 82.1% (’16) 77.9%(‘21.1~11) 74.3%

 

ㅇ 시스템 반도체, 친환경차, 바이오헬스, 이차전지, OLED, 농수산식품, 화장품 등 수출 유망 품목들이 모두 ‘18년을 넘어 최대 수출규모로 성장한 것이 올해 연간 수출액 최고치의 원동력

 

특히, 바이오이차전지농수산식품화장품 등 4개 품목에서만 ’18년 대비 123달러 증가하며 수출 증가분의 45%를 차지하는 등 유망품목의 약진이 수출 최대실적에 기여

 

구 분

‘18년 수출 (1~11)

‘21년 수출(1~11)

‘18년 대비 차이

수출액

비중

수출액

비중

수출액

바이오헬스

76.5억 달러

1.4%

143.4억 달러

2.5%

+66.9억 달러

이차전지

66.1억 달러

1.2%

79.3억 달러

1.4%

+13.2억 달러

농수산식품

76.4억 달러

1.4%

92.6억 달러

1.6%

+16.2억 달러

화장품

58.2억 달러

1.0%

85.1억 달러

1.5%

+26.9억 달러

4개 품목 합계

277.2억 달러

5.0%

400.4억 달러

7.0%

+123.2억 달러

 

ㅇ 화장품 연간 수출액은 ’00년 이후 매해 최고치를 경신하며, 올해 처음으로 화장품 수출 5위국 반열에 진입(ITC 통계) 

* 화장품 수출액(달러) : (‘18)62.7(’19)65.4(‘20)75.6(’21.1~11)85.1(+23.6%)

 

ㅇ 바이오헬스 중 진단용제품은 코로나19 진단키트 등의 수출 호조로 ’19년 수출 순위 20위에서 ’21년에는 6위권을 기록(ITC 통계)

 

* 진단용제품 수출액(달러) : (‘19)2.5억 달러(20)(’21.1~9)14.6(6)

. 수출 품목의 고부가가치화

 

올해 1~11월 누계 수출단가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18년을 넘어 최대 수출실적 달성에 기여하였음 (올해 수출 단가는 ’18년 대비 +12.6% 증가)

 

ㅇ 최근 단가 상승세는 수출 품목의 시장 경쟁력을 토대로, 주력 품목 LNG전기차OLED 등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가 주요인

 

- (선 박) 부가 LNG선 수출이 증가(‘1823’2143척 수출)하며 ’18년 대비 선박 수출단가는 +10.2% 상승했고, 수출액은 34달러 증가하며 올해 수출 최대치 달성에 큰 기여

 

* ‘18년 대비 전체 선박 수출 증가액 34달러 중, LNG선 증가분이 23달러 차지

 

구 분

‘18(1~11)

‘21(1~11)

수출 대수

총 수출액

수출 대수

총 수출액

LNG선 수출 실적

23

50.5달러

43

(+20, +87.0%)

73.5달러

(+23달러, +45.4%)

 

- (전기차OLED) 내연기관 차량, LCD에 비해, 고부가 제품들이 자동차디스플레이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면서 자동차디스플레이 전체 수출 단가 상승에도 영향을 미침 

ㅇ 석유화학 수출 단가는 올해 유가가 ’18년 대비 감소(2.3%)했음에도 고부가 제품인 합성수지(ABS ) 수출 증가 영향으로 +5.2% 상승

 

수출 단가 상승과 함께 세계경기 회복에 따른 주요국의 수요 증가 등으로 수출 물량도 증가세로 전환하며 수출 최고실적에 기여

 

ㅇ 올해 1분기 감소(11.2%)했던 수출 물량은 점차 회복하여 10월 이후 증가세로 전환하여 11월은 증가 폭이 확대

 

달라진 대한민국 수출산업의 위상

 

우리나라의 올해 수출 순위는 작년과 동일한 7, 무역 순위는 9년 만에 8위로 도약하며 무역 강국으로서의 입지를 강화

 

(수출) 코로나19 위기를 겪으며 영국·프랑스 등은 전년대비 순위가 하락한 반면, 우리나라는 작년에 이어 7위를 수성하였음

 

(무역) 글로벌 경기 회복으로 주요국의 무역이 동반 성장하는 가운데, 무역 순위를 끌어올리며 9년 만에 8(최고치)로 올라선 것은 유의미

 

주요국의 수입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위상 변화를 10년 전과 비교하면, 미국·EU·아세안(대만 등)·CIS(러시아 등) 등 시장에서는 점유율이 상승

 

ㅇ 중국·일본점유율은 감소했으나 수입국 순위는 동일 또는 상승

 

주요국의 수입시장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 변화

구 분

‘11

‘16

‘21

미 국

수입시장 점유율

2.6%

3.2%

3.4%(1~9)

수입국 순위

6

6

7

E U

수입시장 점유율

0.8%

0.9%

1.0%(1~8)

수입국 순위(EU국 제외)

12

9

8

대 만

수입시장 점유율

6.8%

6.3%

7.9%(1~7)

수입국 순위

4

4

4

러시아

수입시장 점유율

4.1%

2.8%

4.7%(1~9)

수입국 순위

7

8

5

중 국

수입시장 점유율

9.3%

10.4%

7.9%(1~9)

수입국 순위

2

1

2

일 본

수입시장 점유율

4.7%

4.1%

4.2%(1~10)

수입국 순위

6

4

5

 

 

2022년 수출 전망 

내년에도 글로벌 교역 및 수요 증가 등 실물경제 회복세가 지속되며 수출 증가세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나, 코로나19 변이 확산, 공급망 불안정성, 중국 성장둔화 가능성 등 하방요인이 상존

 

* WTO‘22년 세계 무역규모 증가율을 당초 +4.0%에서 +4.7%로 상향(’21.10)

 

ㅇ 주요 기관들도 모두 내년 수출이 비록 증가세는 둔화되지만, 금년 실적을 소폭 상회할 것으로 전망 (무역수지는 14년 연속 흑자 전망)

 

주요 기관의 2022년 수출 전망

구 분

한국은행

산업

국제무역

KDI

현대

수출 증가율

+1.1%

+1.3%

+2.1%

+4.7%

+1.0%

무역흑자 규모

320달러

325달러

344달러

690달러

402달러

발표시점

11.25

11.24

11.22

11.11

10.12

* 한국은행 수출 증가율 +1.1%는 통관 수출 기준

 

관세청 임재현 청장은 올해 우리 수출은 선복 부족과 운임급등 등 수출 물류대란 속에서도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넘어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하였다고 밝히며,

 

앞으로도 우리기업의 수출입 여건을 지속적으로 개선해나가기 위해 물류지체 해소, 행정제재 완화, 세정 지원 등 관세행정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함

 

한편, 산업부 문승욱 장관은 수출액 사상 최대실적 경신은 수출입 물류 애로, 변이 바이러스 지속, 공급망 차질 등 여러 난관을 극복하고 민·관이 함께 이루어낸 값진 성과라며,

 

올해의 수출 성장 모멘텀을 이어나가 내년 수출도 증가세를 지속할 수 있도록 수출입 현장애로 해소, 중소기업 수출역량 강화, 미래 무역기반 확충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힘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나홍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