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치된 공공시설이 주민참여·청년창업 공간 등으로 재탄생

행안부, 올해 15개 시도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사업에 270억 원 투입
김희정 기자 | kunjuk@naver.com | 입력 2020-01-22 13:32:14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동네창고, 옛 주민센터 등 비어있는 공공 공간을 마을도서관이나 공유사무실 등 지역 주민의 삶을 변화시키는 공간으로 재탄생시키는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사업이 올해 전국 24개소에서 시행된다.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올해 총 27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15개 시·24개 지역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사업을 추진한다.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사업은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공간을 개선한 후 시민에게 개방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주민이 사업초기부터 직접 참여해 공간 활용계획을 세우고 공간조성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 공간 운영 권한을 주민에게 제공해 실질적인 주민주도 운영이 가능하다.

 

행안부는 지난 2018년 공모사업을 통해 서울시 금천구, 부산시 동래구, 경기도 시흥시, 강원도 동해시 등 4곳에서 시범사업을 한 바 있다.

2019년에는 부산 사하구 감내 행복나눔센터 조성 광주 서구 사회적가치 공동체지원센터 조성 경기 고양시 우리마을 행복충전소 등 17개 시.25개 사업이 선정돼 올 연말까지 공간조성완료를 목표로 진행 중이다.

 

올해는 부산 진구 노인돌봄 커뮤니티 하우스 조성 대구 남구 1인 가구 커뮤니티 활성화 플랫폼 조성 등 15개 시.도에서 24개 사업이 진행된다.

 

이재관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분권실장은 공공이 소유한 유휴공간을 방치하기 보다는 주민들의 삶을 변화시키는 공유공간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면서 지역현안 해결과 지역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필요한 절차들을 구체화한 표준절차를 제시하고, 전문가 컨설팅, 우수사례 성과공유 등을 통해 사업성과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김희정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