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와 중기부의 이원화된 정책기능 등 비효율…전략적 기능 연계한 개편 필요"

국회미래연구원, 연구보고서 ‘산업정책 추진체계 및 정부조직 개편방향’발간
박정선 기자 | news@joseplus.com | 입력 2025-08-21 15:41:52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정부 조직개편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산업부와 중기부의 이원화된 정책기능이 기업 생애주기에 따른 지원체계 단절, 정책수단의 파편화, 정책기능 중복 등의 구조적 비효율이 초래되고 있는 만큼 이들 두 부처의 전략적 기능을 연계한 정부조직 개편이 필요하다는 연구보고서가 발표돼 눈길을 끈다.

 

국회 국회미래연구원(원장 김기식)은 21일 연구보고서 ‘산업정책 추진체계 및 정부조직 개편방향’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이번 보고서에서 산업정책의 세 핵심전략 분야(산업지원, 정보통신, 기후·에너지)의 현황을 거버넌스 측면으로 분석하고, 미래지향적이고 전략적인 방향에 부합하는 정부조직 재설계 방안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산업정책은 기술개발, 산업지원, 공급망 재편, 인프라 구축, 탄소중립 등 다층적 목표를 포괄하는 영역으로, 정책 통합성과 실행력 확보가 관건인데, 그간의 산업정책 관련 정부조직 개편은 정치적 기조나 상징성에 치우쳐 추진된 측면이 있으며, 정책기능 간 연계성과 복합수요 대응력 확보에는 한계가 있었다.


분야별로 보면 산업지원정책 현황에서는 산업부와 중기부의 이원화된 정책기능이 기업 생애주기에 따른 지원체계 단절, 정책수단의 파편화, 정책기능 중복 등의 구조적 비효율을 초래하고 있다”면서, “정책기능 분절로 인해 기업의 기술개발 이후 사업화 및 시장 확산으로 이어지는 전주기 파이프라인이 다소 부재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또, 정보통신 분야에 대해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방송통신위원회 등으로 업무와 기능이 분산되고 정보통신정책을 선도하는 부처가 부재하여 정보통신정책의 ‘주변화’ 현상이 나타났으며, AI 등 빠르게 진화하는 기술과 글로벌 무한경쟁에 대응하기 위한 리스크 감수형 도전적 전략 수립 및 신속한 정책결정과 집행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가 미비하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기후위기 대응과 관련해서는 “온실가스 배출의 94%에 해당하는 에너지 부문 등 업무는 산업자원부가 담당하나, 탄소감축 목표는 실제로 영향력 행사가 어려운 환경부가 설정하고 있으며,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는 실질적인 정책조정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 조직 개편방향에 대해 보고서는 글로벌 경제통상질서의 재편, 기술패권경쟁 심화, AI 혁신 가속화, 기후위기 등 복합 전략과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부와 중기부의 전략적 기능을 연계한 정부조직 개편을 통해, 산업기술 R&D, 창업‧벤처 생태계 조성, 중소·중견기업 성장지원 등 핵심 산업지원 기능의 일관성과 실행력을 제고하고, 생활경제 지원기능은 별도 전문 조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AI 시대 대응력 제고를 위해 정보통신과 산업정책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정부조직을 개편하고, 여러 부처에 분산된 정보통신 분야 업무를 단일 부처로 통합해 컨트롤타워 기능 강화할 것을 제안했다.


아울러 규제중심(환경부)과 산업중심(산업부)의 경로의존 경향을 보일 수 있는 기존 부처 중심의 기후전담 부처 설치 대신 기후와 에너지 정책기능을 통합한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고, 탄녹위의 정책 이행력 확보를 위한 합의‧조정 기능 강화 등을 추진할 것을 제시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여영준 부연구위원 등은 “산업생태계의 질적 전환, AI 기반 산업구조 재편, 탄소중립 이행력 강화 등 복합적 도전과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책기능 간 정합성과 일관성 확보가 중요하다”면서 “보고서에서 제시한 정부조직 개편방안을 통해 정책 간 시너지 창출과 복합 문제 대응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박정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