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무플랫폼 비즈넵, 정보통신망법 위반으로 과태료 1,500만원 처분 받아

세무사회, 지난해 12월 비즈넵을 정보통신망법 위반으로 인터넷진흥원에 신고 조치
한국인터넷진흥원, 16일 비즈넵 정보통신망법 제50조 위반혐의 인정해 과태료 처분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4-02-22 09:23:49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비즈넵 환급 서비스 첫 화면

 

세무플랫폼 비즈넵이 정보통신망법 제50조 위반혐의로 한국인터넷진흥원으로부터 과태료 1,500만원 처분을 받았다.

 

21일 한국세무사회는 경정청구 부당 환급광고 관련단속의 일환으로 지난해 비즈넵 운영 업체인 지엔터프라이즈를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 위반 혐의로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신고한 결과 지엔터프라이즈의 정보통신망법 제50조 등 위반혐의를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인정해 지난 16일 과태료를 부과했다고 밝혔다.
 

세무사회에 따르면, ‘비즈넵 환급’ 서비스와 ‘세금을 되찾는 순간 1분’ 서비스를 운영 중인 지엔터프라이즈는 회계사가 대표이사인 회사다.

지엔터프라이즈는 비즈넵 사업운영 초기에는 세무회계프로그램인 ‘비즈넵 Pro’ 서비스를 운영해 세무사 회원을 대상으로 세무대리업무 보조 서비스를 제공했다.

당시 지엔터프라이즈는 비즈넵 Pro에 가입한 회원뿐만 아니라, 가입 세무사 회원의 사업체 구성원 등 비회원에 대해서도 이메일 초대의 방식을 활용해 이메일 주소를 수집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엔터프라이즈는 2022년 11월 즈음 ‘비즈넵 Pro’서 비스를 종료하면서 앞서 2022년 9월경 새롭게 개시한 ‘비즈넵 환급’서비스와 관련해 ‘비즈넵 Pro’를 이용해 취득한 세무사 회원들의 거래처정보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비즈넵 환급’을 홍보한 의혹이 제기됐다.


문제는 ‘비즈넵 환급’ 서비스는 신고서 검토를 세무사가 수행함에 따라 무자격 세무대리 등 세무사법 위반혐의 성립을 입증하는 게 쉽지 않았다는 점이다. 하지만 세무사회는 정보통신망법 제50조 위반혐의에 대한 증거자료를 면밀하게 수집해 신고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국세무사회는 제33대 집행부 출범 후 삼쩜삼 코스닥상장 저지, 비즈넵 정보통신망법 위반행위 등 법률위반 행위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현재 지엔터프라이즈의 ‘세금을 되찾는 순간 1분’ 서비스에 대해서도 무자격 세무대리 등 세무사법 위반 혐의로 지난 2022년 7월 서울 강남경찰서에 고발, 지난해 3월 서울중앙지검에 송치되어 현재 해당 사건은 서울고등검찰청에서 수사 중이다.

이와 관련해 한국세무사회 구재이 회장은“인공지능과 IT기술 발전이 눈부신데도 전문자격사들의 전문직역 서비스에 왜 플랫폼 기업이 나서지 않는지 되짚어봐야 한다”면서 “국민의 개인정보와 납세정보를 영리기업이 상업적 이익을 위해 마음껏 유린하는 것은 어떤 명분으로도 허용될 수 없기에, 전문성과 책임성을 갖춘 세무사들이 나서서 국민과 기업들이 개인정보 문제없이 안전하게 납세할 수 있는 공공플랫폼을 개발해 곧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나홍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