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e-로움’, K-역직구의 새로운 길을 연다

관세청, 정책 브랜드 ‘수출 e-로움’과 함께 「전자상거래 수출 활성화 10대 과제」 발표
박정선 기자 | news@joseplus.com | 입력 2025-08-28 18:44:48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이명구 관세청장(오른쪽에서 두번째)이 서울세관에서 전자상거래 수출업체와 간담회를 갖고 있다

관세청은 828일 이명구 관세청장 주재로 전자상거래 수출업체와 간담회를 개최하고, “작은 기업도 글로벌로, 관세청이 함께 합니다라는 구호 아래 정책 브랜드 수출 e-로움전자상거래 수출 활성화 10대 과제를 발표했다. 

 

간담회 개요 : ‘25.8.28() 14:00, 서울세관 10층 대회의실, 전자상거래 수출업계 대표 등 참석
(쿠팡, 올리브영, 몰테일, 무신사, 아마존, 이베이, ktown4u, 한국온라인쇼핑협회 등)

 

관세청은 그간 간이수출신고 금액 상향, 합포장 배송 허용 등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적극적인 통관·세정 지원*을 통해 전자상거래 수출의 기반을 다져왔다.

 

* 전자상거래 수출기업 관세행정 지원방안(’24.8) : 간이정액환급 대상 요건인 연간 환급실적 기준 완화(6억 원 이하 8억 원 이하)

 

그 결과, 불확실한 대외 여건 속에서도 전자상거래 수출은 전년 대비 20% 이상 성장*하여 우리 수출의 새로운 동력으로 자리매김했다.

 

* (’24.6) 28,801천건, 1,319백만불 (’25.6) 34,557천건(20%), 1,604백만불(22%)

 

관세청은 우리 중소기업들이 이 성장세를 이어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소규모 업체의 시장 진출을 총력 지원하기 위해 새로운 정책 브랜드 수출 e-로움을 공개했다.

 

수출 e-로움은 수출 과정의 수월함과 기업에 돌아가는 이로움’, 전자상거래(e-commerce)를 상징하는 알파벳 ‘e’를 결합한 이름으로, 디지털 시대에 맞는 수출 편의를 제공하여 우리 기업에 실질적인 혜택을 주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수출 e-로움정책 브랜드 아래 추진되는 10대 과제의 주요 내용은 수출신고 체계 개선, 소상공인·수출 초보 기업 해외 진출 지원, 해외 통관 환경 대응 및 수출 사후 지원 확대이다.

 

[핵심분야 1] 전자상거래 수출신고 체계 개선

 

(간이수출신고 기준 상향

간이수출신고의 금액 기준을 기존 400만 원에서 최고 한도인 500만 원으로 대폭 상향하여 기업의 신고 부담을 줄인다.

 

(우편물 활용 수출 지원) 

우정사업본부의 우편물 통관 데이터를 전자통관시스템과 연계하여, 국제우편을 이용해 수출할 때도 특송업체와 동일하게 부가가치세 영세율 적용·수출실적 인정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확정가격 신고기한 연장

다품종 소량 판매라는 특성상 가격 정리에 긴 시간이 필요한 풀필먼트 수출기업*을 고려하여 확정가격 신고 기한을 기존 판매대금 확정·입금일로부터 60에서 90일로 연장한다.

 

* 판매 상품을 해외물류센터에 보관하고 고객의 주문에 맞춰 상품 선별, 포장, 배송, 사후 교환 등을 물류센터에서 대행하는 서비스 제공

 

(수출목록 변환 신고 개선) 

수출목록변환 신고 시스템*의 기능을 개선하여, 해외 구매자의 주문번호만으로도 수출신고필증 및 적재 이행 내역을 조회·발급할 수 있도록 한다.

 

* 목록통관 물품의 배송정보를 수출신고로 자동 변환하여 간편하게 신고하는 시스템

 

[핵심분야 2] 소상공인·수출 초보 기업 해외 진출 지원

 

(소상공인 과태료 경감

수출신고 후 30일 내 선적하지 않으면 부과되는 과태료 등에 대해, 소상공인기본법에 따른 소상공인에 해당하는 경우 과태료의 50%를 경감하는 기준을 신설한다.

 

(이커머스 플랫폼 지원

플랫폼과의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입점 기업에 대해 서류제출대상 선별 제외, 검사 비율 하향 조정 등 통관 혜택을 발굴하고, 국가별 수출 통계 등 맞춤형 정보를 지원한다.

 

(수출 100대 품목 HSK 제공) 전자상거래 수출 상위 100대 품목의 HSK 10단위 코드를 제공하여, 기업들이 목록통관 신고 시 정확한 품목분류(HS) 번호를 기재하도록 유도하고 신고 부담을 완화한다.

 

[핵심분야 3] 해외 통관 환경 대응 및 수출 사후 지원 확대

 

(해외통관 정보 제공

기업들이 FTA 활용, 현지 HS 분류 등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해외 통관 정보를 제공하고 애로사항 해소를 지원한다.

 

(일본 해상 수출 활성화)

20251012일부터 시행되는 '일본 해상 간이통관 제도'를 우리 기업들이 적극 활용하여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설명회 개최, 상담센터 운영 등 지원을 강화한다.

 

(해외 반품 물품 처리 개선) 

주문 취소 등으로 반품되는 물품의 국내 재반입 지침*을 개선하여 재수입 면세 대상을 확대(총액 150란별 150)하고, 사전등록 시 '반품거래등록 번호'를 비대면으로 발급하는 등 절차를 간소화한다.

 

* 전자상거래 반품 재수입통관 업무처리 지침 : 전자상거래 수출 물품이 반품되어 재수입(면세) 신청 시 P/L 신고 가능, 반품거래 당사자 사전등록 필요

 

이명구 관세청장은 이번 수출 e-로움’ 10대 과제는 수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책을 담는 데 집중했다면서, “우리 중소기업들이 더 수월하게 세계시장으로 뻗어나가 이로움을 얻을 수 있도록 관세행정의 모든 역량을 동원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박정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