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형 칼럼]세무사계, 시국도 어수선한데 끝내 ‘분란’인가
- 지금, 세무사회의 화급한 일은 ‘업계 안정’인데
現집행부 연속성보다 새 선거전 택한 세무사계
중진 회원간 고소-고발 등 비방전 또 고개 들어
어차피 치루게 된 선거, 능력중시 인물 선택을… - 심재형 기자 | shim0040@naver.com | 입력 2017-06-01 08:00:13
![]() |
그런데 왠지 총회를 앞둔 업계 분위기는 수심(愁心)이 가득하다. 이번 경선이 순수한 동기에서 보다는 세무사계의 고질적 편 가르기로 인한 집안 분란(紛亂)으로 보는 시각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또 한 차례 시끄러운 총회가 될 것”을 우려하는 표정들이 엿보인다.
회원 일각에서는 “시국(時局)도 불안정한 작금의 상황에선 현 집행부의 지속성이 되레 요구되거늘, 2년 임기 끝났다고 연임기회를 주지 않는 것에 안타까움을 느낀다”는 반응도 나온다. 새로운 후보 등장에 대해서는 능력여부를 떠나, ‘시기가 적절치 않다’는 견해가 적지 않다. 주변사회가 어수선한 시기에, 회장 선거로 인해 또 발생할 ‘집안 내홍(內訌)’을 염려해서다.
하지만 여기까지는 어차피 치러야할 집안행사로 치부할 수가 있다. 더욱 걱정스러운 점은, 내달 정총을 앞두고 백 회장의 실정(?)을 지적하는 장문의 성명서가 나도는가 하면, 중진회원간의 고소-고발 등 비방전이 낯 뜨겁게 고개를 들고 있다는 사실이다.
지금의 한국세무사회는 세무사들만의 친목단체가 아니다. 회원들끼리 울타리 치고 오순도순 정을 나누던 요순시대가 아니라, 1만2천여 회원의 권익과 복리를 지켜내야 하는 거대 조세전문인 단체로서의 체제유지가 필수다. 급변하는 세상변화 모른 체 식구들끼리 티격태격, 우물 안에 안주하다가는 생존경쟁에서 살아남지를 못한다. 때문에 지금, 세무사업계가 필요한 것은 외풍을 막아낼 수 있는 강력한 체제와 능력 있는 ‘리더’라는 점에 회원들은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
백운찬 현 회장은 지난 2년간의 회장 재임을 통해 경륜과 능력을 이미 검증받은바 있으며, 경선에 뛰어든 이창규 전 서울회장 역시 세무사업계 중진으로서 오랜 관직 생활과 함께 특유의 친화력을 소유한 인물로 평이 나있다. 하지만 회원들은 현 시점이 그리 만만치 않은 시기라는 점에서 회장선출에 감성보다는 이성적 판단으로 회장을 선택해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하다.
사실 정권이 바뀌고 사회저변이 어수선한 지금은, 세무사회라는 거대 단체를 이끌 수 있는 종합적인 역량을 검증, 회장을 뽑으려는 높은 안목이 있어야 한다. 세무사업계 생존과 관련한 거센 파고가 밀려오는 심상찮은 시점에서 회원들이 부여하는 임무와 소명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는 적임자를 택해야 한다.
더구나 지금, 세무사업계는 외각의 유사 전문직 단체들이 세무시장 생태계를 흔들려고 온갖 세(勢)를 결집하고 있다. 이렇듯 세무사계를 위협하는 외부 도전세력에 지혜롭게 대응, 회원들의 권익을 수호하고 복리를 담보해줘야 하는 것이 차기 회장의 시대적 소명인 것이다.
이에 부합하는 회장을 고르려면 우선, 높은 전문성과 식견을 가진 책임 있는 ‘적임자’인지를 판단해야 한다. 그냥 평범한 보통 회원으로는 힘에 부친다. 그러기에 리더로서의 능력 보다는, 친소(親疏)관계나 호인성품을 지닌 인물에 시선을 빼앗기다가는 세무사회가 패가망신 할 수도 있다.
또 블루오션을 찾아 회원들의 먹거리를 창출하고, 세무시장을 견고히 다져 외부 도전세력에 철저히 방어막을 쳐야 한다. 내적으로는 기장업무 등 안일한 수익구조 프레임을 체계적으로 개편, 조세전문가의 격(格)에 걸맞게 고유업무의 질(質)도 한층 높여야 한다.
특히나 변호사업계가 세무전문가들의 영역인 세무조정업무를 탐내는 터에 세무사들의 조세소송대리권 쟁취야말로 좋은 명분꺼리가 된다. 이런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도 능력이 출중한 인물을 ‘리더’로 선택해 기회를 낚아채야 한다.
선진사회도 예외가 아니지만 특히 우리사회는 유별나게 인맥을 중시 한다. 정계나 관변(官邊)에 연(緣)이 많을수록 세무사계엔 이익이다. 비유가 적정할지 모르겠으나 지난해 한국공인회계사회 정총에서 특정인을 회장으로 선출한 것을 보면 그곳 회원들의 진의를 읽을 수 있다.
세무사회도 이제 국회만 쳐다보고 감 떨어지기를 기대하던 관행은 여기서 멈춰야 한다. 정당한 고유업무 쟁취에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국회가 아닌, 사회 저변을 향한 폭 넓은 여론전이 우선이다.
모쪼록 눈 부릅뜨고 현재와 미래를 직시하는 인물인지를 검증해야 한다. 앞으로 남은 몇 날이나마 숙고하고 또 숙고해, 후회 없는 한 표를 행사함으로써 업계를 책임질 적임자를 골라야 한다. 세무사계 발전을 염원하는 국외자로서 재차 드리는 고언이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