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세 폭탄 걱정에 ‘국민의세무사’ 찾는 발걸음 급증
- 불법 플랫폼 피해에 세무사 직접 매칭되는‘국민의세무사’로 이동 늘어
과거 환급부터 올해 신고까지‘국민의세무사’ 앱 하나로 책임 신고 가능 -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5-05-27 22:38:35
![]() |
▲고영식 세무사가 27일 가락동 동남권노동자센터를 찾아 세무상담을 실시하고 있다.[한국세무사회 제공] |
“수수료 몇 푼 아끼려다 가산세 폭탄 맞을 뻔했어요. 이제는 무조건 ‘국민의세무사’로 신고합니다.”
지난해 종합소득세 신고 당시 수수료 몇 푼 아끼려다 생각지도 않은 가산세로 인해 마음 고생을 했던 플랫폼노동자 A씨는 지금은 한국세무사회가 제공하는 ‘국민의세무사’ 앱을 통해 마음 편하게 세무 신고를 했다고 말했다.
지난해 SNS 광고를 통해 알게 된 불법 세무대행 서비스를 이용했다가 주요 공제 항목이 누락돼 수십만 원의 세금을 추가 부담했었기에 올해는 합법적인 세무사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민의세무사’ 앱을 알게 된 그는 더 많은 이들이 이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바람도 밝혔다.
A씨의 사례처럼 최근 몇 년간 저렴한 수수료를 앞세운 무등록 세무플랫폼 이용 후 정산오류, 소득 누락, 가산세 부과 등 피해 사례가 늘고 있다. 따라서 단순한 ‘가격’보다 ‘신뢰성과 안정성’을 기준으로 세무서비스를 선택하는 게 중요하다는 게 많은 세무사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한국세무사회는 납세자의 권익 보호와 안정적인 신고를 위해 개발한 공공플랫폼 ‘국민의세무사’ 앱 가입자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한국세무사회는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플랫폼노동자 보호를 위한 세무상담 활동을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세무사회에 따르면, 고영식 세무사는 27일 한국노총과 협약을 맺은 상담 사례의 일환으로 가락동 동남권노동자센터를 찾아 현장 세무상담을 실시했다.
고영식 세무사는 “현장에서 만난 노동자분들이 단순한 세무상담을 넘어 자신의 권리와 절세 방법에 대해 배우는 데 큰 관심을 보였다”며 “국민의세무사 앱을 통해 이렇게 직접적인 상담과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의미 있었고, 앞으로도 이런 현장이 더욱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현장에서 직접 상담을 받은 B씨는 “국세청 ‘원클릭’ 서비스도 이용해봤지만, 실제로 어떤 공제를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기 어려웠고 과거 누락된 환급액을 확인하기도 쉽지 않았다”며 “국민의세무사는 상담 신청만 하면 세무사가 과거 누락된 환급액부터 올해 종소세 신고까지 신고 과정 전체를 세무사가 확인해주고, 문제가 생겨도 책임 있는 대응을 해주는 구조라 안심이 됐다”고 말했다.
한국세무사회 임순천 부회장은 “플랫폼노동자들이 비용을 아끼려다 가산세를 물거나 불법 대행 피해를 입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며 “세무사는 단순 신고 대행자가 아닌, 국민의 권익을 지키는 공적 책무를 가진 전문가”라며 “국민의세무사는 바로 그런 책임 있는 세무사들이 직접 매칭되어 상담부터 신고까지 책임지는 공공플랫폼으로, 누구나 믿고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임 부회장은 이어 “실제 노동자들이 납세의 불안에서 벗어나 안정적인 세무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현장 사례를 바탕으로 국민과 소통하고 신뢰받는 세무서비스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현재 국민의세무사 앱은 종합소득세 신고 시즌을 맞아 상담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한국세무사회는 이를 기반으로 노동계와의 협업을 더욱 확대해 세무사 직무의 공공성과 사회적 신뢰를 높여나가겠다는 방침이다.
한편 세무사회는 앱 이용 활성화를 위해 이벤트도 함께 운영 중이다. 앱 가입자 중 555명을 추첨해 스타벅스 커피 쿠폰을 증정하고, 신고 완료자에게는 선착순으로 추가 쿠폰을 제공하는 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참여 방법은 이벤트 안내 페이지(https://tinyurl.com/yfr9mfvs)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 AI 환급의 함정…“삼쩜삼·토스, 전국민을 탈세범으로 만든다”2025.05.12
- 가산세 폭탄 걱정에 ‘국민의세무사’ 찾는 발걸음 급증2025.05.27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